• 제목/요약/키워드: Memory Retrieval

검색결과 152건 처리시간 0.036초

웨이블릿 변환의 저주파수 부대역을 이용한 왜곡 영상 데이터베이스 검색 (Distorted Image Database Retrieval Using Low Frequency Sub-band of Wavelet Transform)

  • 박하중;김경진;정호열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8-18
    • /
    • 2008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algorithm using wavelet transform for still image database retrieval. Especially, it uses only the lowest frequency sub-band in multi-level wavelet transform so that a retrieval system uses a smaller quantity of memory and takes a faster processing time. We extract different textured features, statistical information such as mean, variance and histogram, from low frequency sub-band. Then we measure the distances between the query image and the images in a database in terms of these features. To obtain good retrieval performance, we use the first feature (mean and variance of wavelet coefficients) to filter out most of the unlikely images. The rest of the images are considered to be candidate images. Then we apply the second feature (histogram of wavelet coefficient) to rank all the candidate images. To evaluate the algorithm, we create various distorted image databases using MIT VisTex texture images and PICS natural images. Through simulations, we demonstrate that our method can achieve performance satisfactorily in terms of the retrieval accuracy as well as the both memory requirement and computational complexity. Therefore it is expected to provide good retrieval solution for JPEG-2000 using wavelet transform.

  • PDF

Effects of Chongmyung-tang on Learning and Memory Performances in Mice

  • Lee, Seoung-Hee;Chang, Gyu-Tae;Kim, Jang-Hyun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471-476
    • /
    • 2006
  • Chongmyung-tang(CMT, 聰明湯), oriental herbal medicine which consists of Polygaglae Radix(遠志), Acori Graminei Rhizoma(石菖蒲) and Hoelen(白茯神) has effect on amnesia, dementia. In order to evaluate effect of CMT on memory and learning in mice, CMT extract was used for studies. This paper describes the effects of CMT extract on memory and learning processes by using the passive and active avoidance performance tests, novel object recognition task and water maze task. The CMT extract ameliorated the memory retrieval deficit induced by ethanol in the passive avoidance responses but did not affect ambulatory activity of normal mi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CMT has an ameliorating effect on memory retrieval impairment. CMT extract decreased spontaneous motor activity(SMA) in the latter sessions of memory registration in active avoidance respons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MT has partly transquilizing or antianxiety effects. In novel object recognition task to measure visual recognition memory, CMT-administered mice enhanced in long term memory for 1-3 days. In water maze task to measure spatial learning, which requires the activation of NMDA receptors in the hippocampus, spatial learning in CMT-administered mice was faster than in wild-type mi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CMT enhances memory and activates NMDA receptors.

학습과 기억의 생물학적 기초(I):신경심리학적 개관 (The Biological Base of Learing and Memory(I):A Neuropsychological Review)

  • 김문수
    • 인지과학
    • /
    • 제7권3호
    • /
    • pp.7-36
    • /
    • 1996
  • 본 논문에서는 인간을 대상으로 한 신경심리학적 연구결과들을 중심으로 기억의 뇌생리적 기초에 관하여 지금까지 알려진 바를 개관하고자 하였다. 현재 인지심리학자들은 기억이 하나의 단일한 체계가 아니라 여러가지 독자적인 하위체계들로 구분된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다중기억체계의 관점을 따라 본 논문에서는 뇌의 어느부위가 손상될때 어떤 종류의 기억에 장애가 생기는가,그리고 뇌영상 기법을 사용하요 특정 기억과제를 수행하는 도중에 뇌의 어느 부위가 그 제시방식에 따라 약간씩 다르지만 대개 후두염,두정엽,그리고 측두엽의 경계선을 중심으로 한 비교적 넓은 부위가 중요한 것으로 보인다. 장기기억의 경우,그 한 하위체계인 암묵기억은 하나의 단일한 기억체계가 아니어서 어떤 학습과제가 사용되는가에 다라 관련되는 부위가 많이 달라진다. 반면에 외현기억의 형성(즉,응고화)에는 내측측두엽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잘 알려져 있다. 일화기억과 의미기억의 저장 그리고/또는 인출에는 측두피질과 전두전피질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것으로 보인다. 끝으로,장기기억의 저장장소에 관한 최근의 견해가 소개되었다.

  • PDF

도시슬로건이 도시기억의 인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 :슬로건과 관련 없는 도시기억을 중심으로 (Negative Effects of City Slogan on the Retrieval of City Memory Unrelated to the Slogan)

  • 김도형;황인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224-236
    • /
    • 2022
  • 본 연구는 도시슬로건의 사용이 경우에 따라서는 도시 관련 기억의 인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전제로 관련 변수의 효과를 실험적으로 고찰하고 있다. 가설 검정을 위해 본 연구는 4 실험집단(2(슬로건의 도시 관련성: 고 혹은 저) × 2(슬로건의 구체성: 고 혹은 저)과 1개의 통제집단을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은 각 조건에 맞은 도시슬로건에 도출되었으며, 통제집단은 도시슬로건에 노출되지 않았다. 이후 각 집단의 기억인출 점수를 비교하게 된다. 표본은 대학 학부생 174명으로 구성되었으며, 남자 54%, 연령 분포 만 18-27세, 연령 평균 만 22.4세이다. 연구결과 도시슬로건은 슬로건과 관련 없는 도시기억의 인출을 방해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방해효과는 슬로건이 도시와 관련성이 높을수록, 구체적일수록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도시 관련성이 낮고 구체성이 낮은 슬로건에서는 방해효과가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 달리 도시슬로건의 부정적 효과를 다루고 있다는 차별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실무적으로도 관련 담당자들에게 도시슬로건의 제정과 관련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e Effect of Congruency and Familiarity of Background Music in TV Advertising on the Music's Role as a Retrieval Cue

  • Hwang, Insuk;Kim, Hwa-Kyung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6권4호
    • /
    • pp.1-18
    • /
    • 2015
  • Assuming that not all background music in advertising function as effective retrieval cues for the advertised messages, this study proposes that we should be able to distinguish the retrieval cue effect of music from the simple ad exposure effect. This study tries to identify which specific characteristics of music are related to the retrieval cue effect. Our experiment focuses on congruency and familiarity of music as key characteristics of music which affect the effectiveness of the music's role as a retrieval cue for the advertised messages. We used four groups of subjects to test the retrieval cue effect of the background music. Each group was exposed to one of the four different types of background music and was again sub-divided into an experimental and a control group (i.e., a total of eight independent sub-groups were included in the experiment.) The first two sub-groups were exposed to the experimental advertisement with the background music of high congruency and high familiarity. After the ad exposure, the background music was provided as a retrieval cue to only one of the two sub-groups. Comparison of the memory performance between the two sub-groups will reveal the net retrieval cue effect of the music of high congruency and high familiarity. Similarly, another two sub-groups watched the same ad but with the background music of high congruency and low familiarity. Also the same ad but with the music of low congruency/ high familiarity was shown to another two sub-groups and that of low congruency and low familiarity music was to another two. Among the two sub-groups with the same music, only one group had the music cue at the memory tasks. One hundred and seventy four undergraduate students at the college of one of authors in Asia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ir ages ranged from 18 to 24 with a median of 20. The sample was composed of 51.7 percent male subjects.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each of the eight sub-group. The results show that the music highly congruent with the advertised message facilitates the message retrieval, while the low congruency music cue does not. It was also found that the low familiarity music cue improves memory performance only when the music is perceived as congruent with the advertised message. From a theoretical and practical perspective, this study provides boundary conditions for effective retrieval and suggests that the congruent music specifically created for the ad is a more effective retrieval cue than other types of music cues.

플래시 메모리 저장 장치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실시간 재생 (Real-Time Retrieval of Multimedia Data from Flash Memory Storage Devices)

  • 한용철;양학모;류연승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705-1708
    • /
    • 2005
  • Recently, flash memory is becoming popular as storage system to store and retrieve multimedia files. However, there are few researches about multimedia file system for flash memory based storage devices. We have been designing and developing a novel multimedia file systems for flash memory.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semantics of real-time retrieval of multimedia data and present scheduling scheme to guarantee the real-time requirements in our multimedia file system.

  • PDF

Effect of Saenggitang on Learning and Memory Ability in Mice

  • Han Yun-Jeong;Chang Gyu-Tae;Kim Jang-Hyun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1-60
    • /
    • 2004
  • Objective : The effect Saenggitang (GT), which has been used for amnesia, in Oriental Medicine, on memory and learning ability, was investigated. Methods : Hot water extracts (HWE) of SGT were used for the studies. In passive avoidance performances (step through test), active avoidance performances (lever press test), Motor activity, pentobarbital-induced sleep, 20 and 50 mg/100g of SGT-HWE ameliorated the memory retrieval deficit induced by 40% ethanol. Results : The SGT-HWE did not affect the ambulatory activity of normal mice in normal condition. 20 and 50 mg/100g of SGT-HWE enhanced contextual fear memory, but not cued fear memory in a fear conditioning task, which requires the activation of the NMDA (N-methyl-D-aspartase) receptor. SGT-HWE did not affect the motor activity measured by the titling type ambulometer test performed immediately and 24 hr after the administration. SGT-HWE prolonged the sleeping time induced by 50 mg/kg pentobarbital in mice and decreased SMA (spontaneous motor activity) in active avoidance performances (lever press test). Conclusion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GT-HWE have an improving effect on the memory retrieval disability induced by ethanol and may act as a stimulating factor for activating the NMDA receptor. and the SGT-HWE has a tranquilizing and anti-anxiety action.

  • PDF

전기 침 자극의 기억 조절 효과 (Effects of Electroacupuncture on Memory Modulation)

  • 이상관;김민수;안련섭;김문수;성강경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1543-1548
    • /
    • 2007
  • Recent experiments investigating the analgesic or anti-stress effects of electro-acupuncture provide extensive evidence that opioid or stress hormone system is involved in those effects, respectively. It has been also suggested that opioid or stress hormones modulate long-term memory consolidation or retrieval in animals and human subjects. This article reviews the possibilitythat electroacupuncture can modulate memory consolidation or retrieval. The release of serum cortisol is enhanced or reduced by high-frequency or low-frequency electroacupuncture, respectively. Also the release of beta endorphin and enkephalin is enhanced by low-frequency electroacupuncture and the release of dynorphin is enhanced by high-frequency electroacupunture. The memory consolidation is enhanced by post-training injection of Glucocorticoids, Naloxone or Dynorphin. So this review suggests strongly that memory consolidation can be modulated by electroacupuncture.

시간적 일화기억인출에 관여하는 뇌기능연결성 연구 (Interactivity within large-scale brain network recruited for retrieval of temporally organized events)

  • 나윤진;이종현;한상훈
    • 인지과학
    • /
    • 제29권3호
    • /
    • pp.161-192
    • /
    • 2018
  • 부호화된 사건의 시간적 정보를 기반으로 한 인출은 일화기억의 중요한 통제기제 중 하나이다. 기억인출과 관련한 수많은 신경영상 연구들이 진행되었음에도 아직 시간적으로 구성된 일화기억의 인출에 관여하는 뇌신경연결망 패턴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두가지 다른 순차적 인출 뇌신경 기제를 구분하기 위하여 과제기반 기능적 연결성 다변량 패턴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참가자들은 시간적 일화기억과제를 수행하였고, 순서대로 부호화된 기억자극을 순방향 혹은 역방향으로 인출하도록 지시를 받았다. 부분적으로 분류된 국소적 신경네트워크 패턴은 두 인출기제를 잘 구분하지 못한 반면, 기억과 관련된 인지통제 영역과 목표-지향적 인지기제처리에 관련된 것으로 알려진 여러 피질-피질하 노드들을 아우르는 전뇌신경네트워크 패턴은 시간적 일화기억 인출기제를 잘 구분하였다. 이 영역들은 측면/내측 전전두엽 영역, 하부 두정엽, 중간 측두회, 선조체 영역 등을 포함하며 기계학습을 이용한 분류에서 높은 분류 예측률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일화기억의 시간적 인출기제에 관여하는 피질-피질하 여러 영역의 관여를 확인하였고, 대역적 네트워크 패턴의 기능적 연결성이 질적으로 다른 인출기제에 관여함을 확인하였다는데에 중요성을 갖는다.

{H_2}^{15}O$ PET을 이용한 정상인의 삽화기억 부호화 및 인출 중추 뇌기능지도화 (Functional Mapping of the Neural Basis for the Encoding and Retrieval of Human Episodic Memory Using ${H_2}^{15}O$ PET)

  • 이재성;남현우;이동수;이상건;장명진;안지영;박광석;정준기;이명철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0-21
    • /
    • 2000
  • 목적: 삽화기억은 어떠한 사실이나 정보에 관하여 기억해낼 때 그것들이 기억 구조 속으로 들어가던 순간의 개인적인 사건이나 과거의 사실들과 연관하여 기억하는 것으로 부호화 및 인출에 관여하는 중추가 서로 나뉘어져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O-15 $H_2O$ PET을 이용한 뇌활성화실험을 통해 삽화기억 부호화 및 인출 중추의 뇌기능지도를 구성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정상 성인 남자 6명 ($30.0{\pm}1.4$세)에 대하여 두 번의 대조과제와 각 한번의 삽화기억 부호화 및 인출 자극과제를 시키면서 동시에 $H_2O$ PET을 시행하였다. 부호화 자극과제에 대한 대조과제에서는 화면 중앙에 나타난 십자 모양 고정점을 자극과제와 같은 시간동안 보게하여 시자극 효과를 포함하게 하였으며, 인출 자극과제에 대한 대조과제에서는 30개의 화살표를 보여주며 화살표가 위(총 15개)를 가리키면 버튼을 누르게 하여 시자극과 손가락 운동에 의한 효과도 포함되게 하였다. 부호화 자극과제에서는 특정 단어가 연상되는 사물 그림 30개를 4초 간격으로 보여주면서 기억하도록 하였으며, 30분 후에 시행한 인출 자극과제에서는 앞에서 보여주었던 15개의 영상과 새로운 15개의 영상을 섞어서 동일한 간격으로 보여주며 기억할 수 있는 그림이 나오면 버튼을 누르게 하였다. 모든 영상을 표준지도에 정규화하고 공분산분석으로 전체 혈류차이를 제거한 후 각 자극과제와 해당 대조과제 사이에 국소혈류량이 차이나는 영역을 찾아 뇌기능지도를 구성하였다. 결과: 인출 자극과제에서 올바르게 기억해낸 그림의 평균 개수는 9.3개(${\pm}3.3$)였으며 없던 그림을 있었다고 잘못 지적한 경우는 평균 3.0개(${\pm}2.8$)였다. 부호화시에 좌측 대뇌반구에서는 하측전두이랑의 판개부와 삼각부, 후두엽의 1차 시각 피질과 시각 연합 피질 등이 활성화되었고, 우측에서는 전전두엽, 내전두엽 및 대상회, 청각-시각 연합영역인 중측두회전과 하측측두회전의 후부, 1차 시각 피질과 시각 연함 피질, 소뇌 등이 확성화죄었다. 인출 시에 좌측대뇌반구에서는 삼각부, 1차 시각 피질과 시각 연합 피질, 하측두회전, 1차 시각 피질과 시각 연합피질, 소뇌 등이 활성화되었고, 우측에서는 전전두엽, 시각 연합 피질, 소뇌, 내측두엽 등이 활성화되었다. 주로 활성화된 전두엽에서 좌측 판개부늘 삽화기억 부호화의, 우측 전전두엽은 인출의 중추라 해석되며, 좌측 삼각부는 다른 인지기능에 의하여 활성화된 것으로 보인다. 결론: O-15 $H_2O$ PET을 이용한 뇌활성화실험을 통하여 삽화기억의 부호화 및 인출 중추를 국소화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