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mory Impairment

검색결과 430건 처리시간 0.027초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증상과 인지기능:6개월 개월 추적연구 (Symptoms and Cognitive Function in Chronic Schizophrenia: 6 Months Follow-up Study)

  • 김철권;김성환;최병무
    • 수면정신생리
    • /
    • 제11권1호
    • /
    • pp.44-49
    • /
    • 2004
  • 목 적 :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양성증상과 음성증상의 호전이 인지기능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방 법:증상의 호전이 예상되는 활성기 정신분열병 환자 68명을 대상으로 입원 직후에 증상과 인지기능을 측정하고 6개월 약물치료 후 증상과 인지기능을 재차 측정하여 두 영역에서의 변화간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또 약물치료에 의해 인지기능이 어느 수준까지 호전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나이와 교육수준이 비슷한 정상 대조군 20명의 인지기능과도 비교하였다. 증상은 PANSS로 평가하였고, 인지기능은 고난도 지속수행검사를 이용한 지속적 주의력, 위스콘신 카드분류검사를 이용한 실행능력, 숫자 주의력을 이용한 주의 집중력, 그리고 레이 청각 언어성 학습검사를 이용한 언어성 기억과 학습 등을 측정하였다. 결 과:양성증상과 음성증상에서의 호전은 각 인지검사 점수의 변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인지검사 점수의 변화에서 증상의 호전으로 설명될 수 있는 정도는 미미하였다. 또 정신분열병의 활성기에 비하여 6개월 약물치료 때의 관해기때 주의력, 실행능력, 기억력 모두 유의한 호전을 보였지만, 나이와 교육수준이 비슷한 정상대조군과 비교 시는 여전히 유의한 결손을 보였다. 결 론:이러한 결과는 정신분열병에서 증상과 인지기능이 서로 다른 영역일 가능성을 시사하며, 나아가 정신분열병 치료에 있어 증상의 호전뿐 아니라 인지기능의 호전에도 초점을 두어야 할 필요성을 부각시킨다.

  • PDF

여주의 amyloid beta 유도 알츠하이머질환 동물 모델에서 인지능력 개선 효과 (Cognitive improvement effects of Momordica charantia in amyloid beta-induced Alzheimer's disease mouse model)

  • 신승미;김지현;조은주;김현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4권3호
    • /
    • pp.299-307
    • /
    • 2021
  • 뇌 내 amyloid beta (Aβ) 축적으로 인한 신경독성은 산화적 스트레스를 야기하여 알츠하이머 질환(Alzheimer's disease, AD)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여주(Momordica charantia L.)의 활성분획물인 butanol (BuOH) 분획물의 Aβ25-35 유도 AD 동물모델에서 인지능 개선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T-미로 실험 및 물체인지실험을 통해서 여주 BuOH 분획물 100 및 200 mg/kg/day 농도 투여군은 AD를 유도한 control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새로운 경로와 물체를 탐색하는 비율이 감소되어 공간인지 및 물체인지능력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수중미로실험을 통해 학습·기억력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한 결과, 여주 BuOH 분획물 투여군은 훈련을 반복할수록 숨겨진 도피대를 찾아가는 시간이 감소함을 통해 학습·기억력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여주 BuOH 분획물이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 효과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뇌, 간, 신장 조직에서 지질과 산화 함량 및 nitric oxideNO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여주 BuOH 분획물을 처리한 군은 Aβ25-35를 주입한 control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뇌, 간, 신장 조직에서 지질과산화 함량 및 NO 생성량이 감소되어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여주 BuOH 분획물이 Aβ25-35 유도 AD 동물모델에서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을 통해 인지능력 개선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라 여주는 AD 예방 및 개선용 소재로써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알츠하이머 질환 마우스에서 중첩주파수를 활용한 미세전류가 인지능력 개선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Microcurrent Wave Superposition on Cognitive Improvement in Alzheimer's Disease Mice Model)

  • 김민정;이아영;조동식;조은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241-251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Alzheimer's disease(AD) 마우스 모델에서 미세전류의 적용을 통한 인지능력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ICR 마우스에 amyloid beta($A{\beta}$)를 뇌 내 주입하여 인지능력 손상을 유도한 후, 4가지 파형의 미세전류를 각각 적용하여 손상된 인지능력에 미치는 미세전류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AD 마우스의 공간 및 물체 인지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행동실험을 실시한 결과, novel object recognition test와 Morris water maze test에서 $A{\beta}$로 인해 손상되었던 인지능력이 미세전류 적용군에서 유의적으로 개선됨을 확인하였으며, 지질과산화 반응으로 인한 malondialdehyde의 뇌 내 생성량 또한 감소하였다. 뇌 조직에서 AD 관련 단백질 발현을 측정한 결과, 특히 미세전류 Wave4 [STEP FORM 파형(0, 1.5, 3, 5V), 중첩Hz 적용] 적용군에서 $A{\beta}$ 생성 관련 단백질인 ${\beta}$-secretase, presenilin 1, presenilin 2의 발현이 감소하였고 신경영양인자인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AD 마우스에서 미세전류를 이용한 손상된 인지능력에 대한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AD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비약물적인 방법으로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ffects of GV1001 on Language Dysfunction in Patients With Moderate-to-Severe Alzheimer's Disease: Post Hoc Analysis of Severe Impairment Battery Subscales

  • Hyuk Sung Kwon;Seong-Ho Koh;Seong Hye Choi;Jee Hyang Jeong;Hae Ri Na;Chan Nyoung Lee;YoungSoon Yang;Ae Young Lee;Jae-Hong Lee;Kyung Won Park;Hyun Jeong Han;Byeong C. Kim;Jinse Park;Jee-Young Lee;Kyu-Yong Lee;Sangjae Kim
    • 대한치매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00-108
    • /
    • 2023
  • Background and Purpose: The efficacy and safety of GV1001 have been demonstrated in patients with moderate-to-severe Alzheimer's disease (AD). In this study, we aimed to further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GV1001 using subscales of the Severe Impairment Battery (SIB), which is a validated measure to assess cognitive function in patients with moderate-to-severe AD. Methods: We performed a post hoc analysis of data from a 6 month, multicenter, phase 2,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with GV1001 (ClinicalTrials.gov, NCT03184467). Patients were randomized to receive either GV1001 or a placebo for 24 weeks. In the current study, nine subscales of SIB-social interaction, memory, orientation, language, attention, praxis, visuospatial ability, construction, and orientation to name-were compared between the treatment (GV1001 1.12 mg) and placebo groups at weeks 12 and 24. The safety endpoints for these patients were also determined based on adverse events. Results: In addition to the considerable beneficial effect of GV1001 on the SIB total score, GV1001 1.12 mg showed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language function at 24 weeks compared to placebo in both the full analysis set (FAS) and per-protocol set (PPS) (p=0.017 and p=0.011, respectively). The rate of adverse event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2 groups. Conclusions: Patients with moderate-to-severe AD receiving GV1001 had greater language benefits than those receiving placebo, as measured using the SIB language subscale.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tocin) 유발 당뇨 동물모델에서 황칠나무 잎 추출물의 학습 및 기억력 개선 효과 (Ameliorating Effect of Water Extract from Dendropanax morbifera Lev. on Memory Dysfunction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김지혜;배동혁;이욱;허호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75-283
    • /
    • 2016
  • 본 연구는 스트렙토조토신에 의해 당뇨가 유발된 기억력 감퇴 모델에서 황칠나무 잎 열수추출물(DMW)의 학습 및 기억력 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어졌다. 6주령의 SD-래트를 총 5개 군으로 분리 하였고, 11주간 24시간 간격으로 DMW를 100과 300 mg/kg b.w.농도로 경구 투여 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 donepezil (1 mg/kg b.w.)을 처리하였다. 7일 간격으로 체중과 혈당을 측정하였으며 STZ군에 비해 DMW군에서 유의한 체중 증가를 확인 할 수 있었다. 혈당 측정 결과 DMW군에서 6주째부터 혈당이 감소하기 시작하였으며, STZ군에 비해 유의적인 혈당 감소를 나타내었다. 혈청 내 바이오마커 측정 결과 혈중 포도당은 DMW 시료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인슐린 호르몬 농도와 혈액 요소질소 또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간 기능 수치와 TG, TC, 그리고 크레아틴 농도에서는 각 군 간의 유의적 차이는 확인할 수 없었다. Morris water maze test와 passive avoidance test를 통해 STZ로 유도한 당뇨 모델에서 학습 및 기억력 장애를 확인 하였으며, DMW를 투여함으로서 학습 및 기억력이 유의적으로 회복,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뇌 해마에서 Ach 함량과 AchE 활성 측정 결과, 당뇨 대조군에 비해 Ach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AchE의 활성은 유의적으로 감소 한 것을 확인 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 STZ로 유도된 고 혈당 동물모델에서 황칠나무 잎 열수추출물(DMW)의 당뇨 개선 및 학습, 기억력 개선 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당뇨의 개선 효과와 더불어 고 혈당으로 인한 퇴행성 치매의 예방과 치료에도 일부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황칠 열수추출물(DMW)이 당뇨에 의한 학습 및 기억력의 저하에 있어 효과적인 대안으로서 보다 더 넓은 분야에서 연구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Oral Administration of Gintonin Attenuates Cholinergic Impairments by Scopolamine, Amyloid-β Protein, and Mouse Model of Alzheimer's Disease

  • Kim, Hyeon-Joong;Shin, Eun-Joo;Lee, Byung-Hwan;Choi, Sun-Hye;Jung, Seok-Won;Cho, Ik-Hyun;Hwang, Sung-Hee;Kim, Joon Yong;Han, Jung-Soo;Chung, ChiHye;Jang, Choon-Gon;Rhim, Hyewon;Kim, Hyoung-Chun;Nah, Seung-Yeol
    • Molecules and Cells
    • /
    • 제38권9호
    • /
    • pp.796-805
    • /
    • 2015
  • Gintonin is a novel ginseng-derived lysophosphatidic acid (LPA) receptor ligand. Oral administration of gintonin ameliorates learning and memory dysfunctions in Alzheimer's disease (AD) animal models. The brain cholinergic system plays a key role in cognitive functions. The brains of AD patients show a reduction in acetylcholine concentration caused by cholinergic system impairment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role of LPA in the cholinergic system. In this study, we used gintonin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PA receptor activation on the cholinergic system in vitro and in vivo using wild-type and AD animal models. Gintonin induced $[Ca^{2+}]_i $ transient in cultured mouse hippocampal neural progenitor cells (NPCs). Gintonin-mediated $[Ca^{2+}]_i $ transients were linked to stimulation of acetylcholine release through LPA receptor activation. Oral administration of gintonin-enriched fraction (25, 50, or 100 mg/kg, 3 weeks) significantly attenuated scopolamine-induced memory impairment. Oral administration of gintonin (25 or 50 mg/kg, 1 2 weeks) also significantly attenuated amyloid-${\beta}$ protein ($A{\beta}$)-induced cholinergic dysfunctions, such as decreased acetylcholine concentration, decreased choline acetyltransferase (ChAT) activity and immunoreactivity, and increased acetylcholine esterase (AChE) activity. In a transgenic AD mouse model, long-term oral administration of gintonin (25 or 50 mg/kg, 3 months) also attenuated AD-related cholinergic impairments. In this study, we showed that activation of G protein-coupled LPA receptors by gintonin is coupled to the regulation of cholinergic functions. Furthermore, this study showed that gintonin could be a novel agent for the restoration of cholinergic system damages due to $A{\beta}$ and could be utilized for AD prevention or therapy.

의식이 명료한 일산화탄소 중독환자를 대상으로 응급실에서 시행한 간이정신상태검사의 임상적 의의 (Incidence and Features of Cognitive Dysfunction Identified by Using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at the Emergency Department among Carbon Monoxide-poisoned Patients with an Alert Mental Status)

  • 육현;차용성;김현;김성훈;김지현;김오현;김형일;차경철;이강현;황성오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15-121
    • /
    • 2016
  • Purpose: Because carbon monoxide (CO)-intoxicated patients with an alert mental status and only mild cognitive dysfunction may be inadequately assessed by traditional bedside neurologic examination in the emergency department (ED), they may not receive appropriate treatment. Methods: We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the incidence and features of cognitive dysfunction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in ED patients with CO poisoning with alert mental statu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review of 43 consecutive mild CO poisoned patients with a Glasgow Coma Scale score of 15 based on documentation by the treating emergency physician in the ED between July 2014 and August 2015. Results: Cognitive dysfunction, defined as a score of less than 24 in the MMSE-K, was diagnosed in six patients (14%) in the ED. In the MMSE-K, orientation to time, memory recall, and concentration/calculation showed greater impairments. The mean age was significantly older in the cognitive dysfunction group than the non-cognitive dysfunction group (45.3 yrs vs. 66.5 yrs, p<0.001). Among the initial symptoms, experience of a transient change in mental status before ED arrival was significantly more common in the cognitive dysfunction group (32.4% vs. 100%, p=0.003). Conclusion: Patients with CO poisoning and an alert mental status may experience cognitive dysfunction as assessed using the MMSE-K during the early stages of evaluation in the ED. In the MMSE-K, orientation to time, memory recall, and concentration/calculation showed the greatest impairment.

수국 추출물이 알코올로 유도한 기억 장애 및 long-term potentiation 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Extract of Hydrangea Dulcis Folium on Alcohol-induced Psychiatric Deficits)

  • 김동현;박혜진;정지욱;이승헌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55-360
    • /
    • 2017
  • 다량의 에탄올을 섭취하면 기억 상실로 이어질 수 있으며, 종종 blackout으로 나타난다. Blackout의 불균형은 알코올 소비에 있어 다양한 사회 문제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알코올 유발 문제를 예방하는 치료법은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Hydrangeae dulcis folium은 Hydrangea serrata Seringe의 잎을 발효가공을 통해 만든 민간약 또는 차이다. 본 연구에서는 에탄올로 유도한 정신적 결핍에 대한 Hydrangeae dulcis folium의 에탄올 추출물(EHDF)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행동적 결핍 또는 장애를 테스트하기 위해 마우스에서 물체 인식 테스트가 수행하였다. 또한 시냅스 결손을 평가하기 위해, 마우스 해마 조각에서 에탄올에 취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에탄올로 유발한 기억 상실과 관련이 있는 N-methyl-D-aspartate (NMDA) 수용체-매개 흥분성 시냅스 후 전위 및 long-term potentiation (LTP)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에탄올(1 g/kg, i.p.)은 물체 인식 메모리를 손상 시켰지만, EHDF (10 또는 30 mg/kg)는 물체 인식 테스트에서 이러한 장애를 극복하였다. 흥미롭게도, EHDF ($30{\mu}g/ml$)는 해마 절편에서 에탄올 처리 후 억제되었던 LTP 및 NMDA 수용체 매개 시냅스 전달을 유의하게 개선시켰다. EHDF는 에탄올에 의해 유발된 물체 인식 기억력 결핍을 개선하였고, 또한 EHDF는 해마 절편에서 에탄올 유도성 LTP 및 NMDA 수용체 매개성 시냅스 전달을 상당히 개선시켰다.

천마 추출액이 Scopolamine으로 유발된 기억력 감퇴 흰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strodia elata Extracts on Scopolamine-induced Memory Impairment in Rats)

  • 김진호;추한나;박은혜;정종길;김경옥;김정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595-599
    • /
    • 2013
  • 알츠하이머병은 신경세포가 점차적으로 퇴화되는 질환으로 특히 해마와 기저쪽 앞뇌의 뇌조직이 위축되어 점진적으로 기억력을 잃어간다. 본 연구는 scopolamine(1 mg/kg, 7일 동안 1일 1회)으로 유발된 수컷 Sprague-Dawley 흰쥐 해마의 신경독성에 대한 천마 물 추출액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실험동물(n=25)은 5군으로 나누었으며, 각 군마다 5마리씩 사용하였다. 실험군은 생리식염수를 투여한 정상군(Nor), scopolamine으로 유발한 다음 생리식염수를 20일(C-20)과 30일(C-30) 동안 투여한 대조군, scopolamine으로 유발한 다음 천마 추출액(200 mg/kg)을 20일(G-20)과 30일(G-30) 동안 투여한 실험군으로 구분하였다.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해마의 신경세포 핵은 G-20과 G-30에 비하여 C-20과 C-30에서 보다 응축되었거나 위축되어 있었다. 해마의 CA1과 CA3의 세포밀도를 조사한 결과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해마 주변의 뇌세포를 PAS로 염색한 결과 amyloid ${\beta}$ 단백질을 함유한 PAS-양성물질이 대조군에 비하여 실험군에서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천마 물추출액은 scopolamine으로 유발된 신경 독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Ginseng improves cognitive deficit via the RAGE/NF-κB pathway in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induced rats

  • Tan, Xiaobin;Gu, Junfei;Zhao, Bingjie;Wang, Shuyuan;Yuan, Jiarui;Wang, Chunfei;Chen, Juan;Liu, Jiping;Feng, Liang;Jia, Xiaobi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9권2호
    • /
    • pp.116-124
    • /
    • 2015
  • Background: Ginseng, the root of Panax ginseng (PG), is used widely as a herbal medicine to prevent and treat various diseases. Panax ginseng has pharmacological effects on neurodegenerative diseases such as Alzheimer's disease (AD). The present study evaluated the neuroprotective effects of PG and its possible neuroprotective mechanisms in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 (AGE)-induced AD in a rat model. Methods: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were injected bilaterally into the CA3 region of the rats' brains. The Morris water maze test and step-down type passive avoidance test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ir memory and cognitive abilities. The oxidation indexes in the hippocampus were detected. Immunohistochemistry was conducted to visualize the receptors for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RAGEs) and nuclear factor-kappa-light-chain-enhancer of activated B cell (NF-${\kappa}B$). Results: Behavioral results showed that PG (1 g/kg, 0.5 g/kg, and 0.25 g/kg) significantly shortened the escape latency, remarkably increased the number of crossing time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number of errors, and prolonged the latency in rats with AGE-induced AD. Panax ginseng also significantly reduced the malondialdehyde level, increased the glutathione content, and increased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in the hippocampus. Panax ginseng significantly decreased the expression of RAGE and NF-${\kappa}B$. The blockade of anti-RAGE antibody could significantly reduce AGE-induced impairments and regulate these expressions. Conclusion: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PG significantly inhibits AGE-induced memory impairment and attenuates Alzheimer-like pathophysiological changes. These neuroprotective effects of PG may be associated with the RAGE/NF-${\kappa}B$ pathway. Our results provided the experimental basis for applying PG in preventing and treating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