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mbrane module

검색결과 347건 처리시간 0.037초

스트레쳐블 폴리머 디퓨저를 이용한 균질 레이저 디스플레이 해석 (Analysis of Homogenized Laser Beam Display by a Polymeric Stretchable Diffuser)

  • 이재원;이선봉;최해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7
    • /
    • 2014
  • 본 논문은 스트레쳐블 폴리머 디퓨저를 이용하여서 간섭성이 있는 레이저의 단점인 스페클 효과를 감소하는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자체 제작한 RGB 모듈을 기반으로 하여 빔 컴바이너를 거쳐서 레이저빔을 집속한 후 고전압 저주파수를 통해서 레이저빔을 균질화 하였다. 평균 180~300Hz 정도의 주파수를 가한 결과 레이저빔의 균질효과가 나타났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한 디퓨저와 DMD 반사경을 구현 하였으며, 808nm 레이저빔을 가상으로 조사하여서 디퓨저 유무에 따른 빔의 산란도 및 균질도를 검증 하였다. 결과적으로 디퓨저를 통한 빔의 균질도가 산란효과를 감소시켰고, 이를 통한 디스플레이 선명도를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청색레이저의 투과도가 83% 정도로 적색이나 녹색 레이저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취약하였는데, 이는 디퓨저 내부를 통과시 레이저 빔의 굴절의 양이 많아져서 확산 각이 증가하였기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레이저와 광학 장치 사이에 디퓨저를 사용하여 이미지 구현했을 때 스페클 패턴은 제거되었으며, 레드(650nm), 그린(532nm), 블루(405nm) 파장에서 10-20%정도의 밝기 감소가 나타났으며, 전체적인 밝기 감소는 13%정도 이루어졌다. 또한, 스트레쳐블 폴리머를 이용한 경우 시간축 균질도도 30fs에서 110fs로 개선 되었다.

Phosphoinositides Signaling and Epithelial-to-Mesenchymal Transition: Putative Topic for Basic Toxicological Research

  • Lee, Chang-Ho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4권1호
    • /
    • pp.1-9
    • /
    • 2008
  • Ptdlns(4,5)$P_2$ is a key cellular phosphoinositide that localizes in separate and distinctive pools in subcellular membrane and vesicular compartments. In membranes, Ptdlns(4,5)$P_2$ acts as a precursor to second messengers and is itself a main signaling and targeting molecule. Specific subcellular localization of type I PIP kinases directed by interacting with specific targeting module differentiates Ptdlns(4,5)$P_2$ production in a spatial and temporal manner. Several lines of evidences support the idea that Ptdlns(4,5)$P_2$ is generated in very specific pools in a spatial and temporal manner or by feeding Ptdlns(4,5)$P_2$ directly to effectors. In this concept, the interaction of PIPKI isoforms with a specific targeting module to allow precise subcellular targeting modulates highly specific Ptdlns(4,5)$P_2$ synthesis and channeling overall effectors. For instance, localization of PIPKI${\gamma}$661 to focal adhesions by an interaction with talin results in spatial and temporal production of Ptdlns(4,5)$P_2$, which regulates EGF-stimulated directional cell migration. In addition, Type $I{\gamma}$ PIPK is targeted to E-cadherin in cell adherence junction and plays a role in controlling dynamics of cell adherence junction and endocytosis of E-cadherin. Characterizing how PIP kinase isoforms are regulated by interactions with their targeting modules, as well as the mechanisms by which their product, Ptdlns(4,5)$P_2$, exerts its effects on cellular signaling processes, is crucial to understand the harmonized control of numerous cellular signaling pathways. Thus, in this review the roles of the Ptdlns(4)P(5) kinases and Ptdlns(4,5)$P_2$ were described and critically reviewed in terms of regulation of the E-cadherin trafficking, cell migration, and formation of cell adherence junction which is indispensable and is tightly controlled in epithelial-to-mesenchymal transition process.

다당류 생산공정에서의 청정기술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leaner production technology in the production of polysaccharide)

  • 전용보;김경수;배우근
    • 유기물자원화
    • /
    • 제11권3호
    • /
    • pp.51-59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베타글루칸 생산공정에서 발생하는 공정수에 대한 M/F(micro filtration) 분리막 시스템의 효용성을 검토하였다. M/F 시스템의 운전을 위하여 M/F 분리막은 Millipore(USA)사의 Pellicon 2 Cassette Filter Module HVMP $0.45{\mu}m$를 사용하였다. 플럭스는 운전압력의 상승에 따라서는 증가하며, 운전시간의 경과에 따라서는 감소하였다. 농축비가 높을수록 농축액에 남아있는 베타글루칸 제품의 회수가 효과적이었다. 베타글루칸 발효액의 재이용시 투과액의 전환수율이 42.5%로 배양 패턴에 큰 변화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청정생산공정에서 투과액을 반응공정수로 재이용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 PDF

CFD와 PIV 기법을 이용한 저압막 유입부 수리구조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ydraulic Modifications of Low-Pressure Membrane Inlet Structure with CFD and PIV Techniques)

  • 오정익;최종웅;임재림;김동길;박노석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7권11호
    • /
    • pp.607-61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CFD 모사와 PIV 기법을 이용하여 실규모의 사이드 스트림 방식의 막 모듈을 대상으로 유입부의 수리구조를 개선하여 모듈로 유입되는 유입 유량을 수직으로 균등하게 분포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실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사이드 스트림 방식의 막 모듈을 대상으로 유입 유량을 수직으로 균등하게 분포시킬 수 있는 방안을 CFD로 설계한 결과, 내부 유입 수리구조에 유공 격벽을 설치함으로써 모듈내로의 유입유량은 표준편차 기준으로 약 40% 정도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CFD 결과를 검증하고 사이드 스트림 막 모듈의 편중된 오염의 원인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된 입자영상유속 측정 결과로부터 유입구 반대편 유공에서 막 모듈 내부로 들어오는 수체의 유속이 상대적으로 커 수체의 모멘텀이 유입구 측벽에 강한 전단력을 발생하지만 유입구 반대 측벽에서는 사류가 형성됨을 확인하였다.

ESS (에너지 저장장치) 배터리 화재사례를 통한 감식기법 및 연소 확산방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dentification Technique and Prevention of Combustion Diffusion through ESS (Energy Storage System) Battery Fire Case)

  • 이정일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383-391
    • /
    • 2020
  • 연구목적 : 에너지 저장실의 외부 화염에 의한 내부자기 점화 및 점화를 식별하고, 과열로 인한 점화와 외부 열원에 의한 점화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분리막 녹는점 측정, 배터리 외부 수열 실험, 배터리 과충전 실험, 과충전과 외부수열에 의한 연소 시 전극 판 비교분석, 과충전 연소 특징, 외부수열 화재 연소특징, 3.4(전극판 비교)/ 3.5(과충전)/ 3.6(외부수열) 분석 실험을 하였다. 연구결과: 화재 발생 시까지 센서의 위치에 따른 온도 차이가 극심했음으로 기존처럼 한 모듈 당 온도 센서 두 개로는 측정값이 부족해 온도제어를 통한 화재를 사전에 방지할 수 없다고 판단한다. 결론: 단락이 점화원으로 작용하여 혼합가스에 착화돼 가스폭발이 발생하고, 폭발 압력에 의해 전극이 잘게 파손되며, 가루형태의 리튬산화물이 불꽃반응에 의해 폭죽과 유사한 불꽃이 분출되었다.

Municipal wastewater reclamation for non-potable use using hollow- fiber membranes

  • Waghmare, Sujata;Masid, Smita;Rao, A. Prakash;Roy, Paramita;Reddy, A.V.R.;Nandy, T.;Rao, N.N.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1권3호
    • /
    • pp.207-214
    • /
    • 2010
  • Approximately 80% of water used in urban areas reappears as municipal wastewater (MWW). Reclamation of MWW is an attractive proposition under the present scenario of water stressed cities in India. In this paper, we attempted to reclaim MWW using lab-scale hollow- fiber (HF) membrane modules for possible reuse in non-potable applications.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virgin HF ($M_1$) and modified HF ($M_2$) modules. The $M_2$ module consists of HF modified with a skin layer formed through interfacial polymerization of m-phenylenediamine with trimesoyl chloride (MPD-TMC). The molecular weight cut-off (MWCO) of $M_1$ was 44000 g/mol and that of $M_2$ 10000 -14000 g/mol on the basis of rejection of polyethylene glycol. The combination of $M_1$ and $M_2$ modules was able to reduce concentrations of most of the pollutants in sewage and improved the treated water quality to the acceptable limits for non potable reuse applications. It is found that about 98-99% of the initial flux is recovered by the backwashing process, which was approximately two times in a month when operated continuously.

나권형 역삼투 모듈에 의한 Cephalosporin C의 농축분리에 관한 실험연구 (Experimental Study on Separation of Cephalosprotin C by Spiral-Wound Reverse Osmosis Module)

  • 신동엽;류정;이용철
    • 공업화학
    • /
    • 제10권4호
    • /
    • pp.563-567
    • /
    • 1999
  • 용질배제율이 우수한 나권형 FT-30 폴리아미드 복합막을 상용하여 cephalosporin C를 농축하기 역삼투 농축실험을 하였다. $4{\sim}20kg/cm^2$의 압력과 100~1000 mg/L의 농도, 그리고 2.8과 5.6 L/min의 유속을 갖는 실험 조건하에서 cephalosporin C 수용액의 수투과율과 용질의 배제율 및 물질전달 계수를 구하였다. Cephalosporin C를 분리하는데 있어서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투과 플럭스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Kedem-Katchalsky 모델에서 예측한 것과 일치하였다. 그리고 배제율은 1에 가까웠다. 또한 공급액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cephalosporin C의 배제율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제율은 고농도보다는 저온도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그 감소 정도는 작았다.

  • PDF

SWRO-PRO 복합해수담수화 신공정기술의 연구 (The study of a novel SWRO-PRO hybrid desalination technology)

  • 김지숙;여인호;이원일;박태신;박용균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17-324
    • /
    • 2018
  • SWRO-PRO hybrid desalination technology is recently getting more attention especially in large desalination markets such as USA, Middle East, Japan, Singapore, etc. because of its promising potential to recover a considerable amount of osmotic energy from brine (a high-concentration solution of salt, 60,000 - 80,000 mg/L) and also to minimize the impact of the discharged brine into a marine ecosystem. By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core technologies of the SWRO-PRO desalination system in a national desalination research project (Global MVP) supported by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and Korea Agency for Infrastructure Technology Advancement (KAIA), it is anticipated that around 25% of total energy consumption rate (generally 3 to $4kWh/m^3$) of the SWRO desalination can be reduced by recovering the brine's osmotic energy utilizing wastewater treatment effluent as a PRO feed solution and an isobaric pressure exchanger (PX, ERI) as a PRO energy converter. However, there are still several challenges needed to be overcome in order to ultimately commercialize the novel SWRO-PRO process. They include system optimization and integration, development of efficient PRO membrane and module, development of PRO membrane fouling control technology, development of design and operation technology for the system scaling-up, development of diverse business models, and so on. In this paper, the current status and progress of the pilot study of the newly developed SWRO-PRO hybrid desalination technology is discussed.

완전 이식형 보청기 기술 평가 기반의 새로운 이식형 음향센서 제안 (Proposition of a New Implantable Acoustic Sensor Based on Technology Evaluation of Fully Implantable Hearing Aids)

  • 조진호;우승탁;임형규;정의성;이정현;이승하;성기웅
    • 센서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78-184
    • /
    • 2014
  • Key components of implantable hearing aids are consist of an acoustic sensor that collect external sound by suppressing the body noise, a signal processor module for compensation algorithm of hearing loss, and a output transducer which has tiny size but have high efficiency, respectively. In the partial implantable hearing aids, technologies of transducer and signal processor are so matured that can be applied not too much difficulty. However, due to the difficulties in implantable acoustic sensor technology, such as minimization of masticatory sound and damage of sensor's membrane from external impact, practical use of fully implantable hearing aids have not successful so far. In this paper, we have proposed a novel implantable acoustic sensor which has trans-tympanic structure, and is verified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be very useful for fully implantable hearing aids by cadaveric experiments.

원판틀형 역삼투 모듈의 투과성능 비교 (The Separation Performance of Disc Plate and Frame Type Reverse Osmosis Modules)

  • 박민수;배성렬;정건용
    • 멤브레인
    • /
    • 제7권2호
    • /
    • pp.75-83
    • /
    • 1997
  • 직선형(Type 1), 곡선형(Type 2) 및 병렬형 (Type 3) baffle을 설치한 역삼투용 판틀형 모듈을 설계 제작하였으며 NaCl과 sucrose 용액을 각각의 모듈에 공급하여 용액농도 및 운전압력등이 분리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고 각 모듈의 특성치를 비교하였다. 운전압력 35bar, 원료 공급유량 6 l/min 이내의 운전조건에서 Type 3가 투과선속 및 배제율 측면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NaCl 수용액의 경우, Type 1에 대한 Type 2 및 3의 투과선속 향상율은 운전압력이 증가함에 따라서 감소하였다: 1wt% NaCl 수용액에 대한 Type 3 투과선속 향상율은 10bar 근처에서 약 100%이었으나 35bar에서는 약 10%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sucrose 수용액에 대한 Type 2 및 3의 투과선속 향상율은 농도 및 운전압력에 따라서 크게 변화하였다. 또한 Type 3의 경우, 원료용액의 공급속도 변화에 따른 투과선속의 의존성은 거의 선형적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baffle이 존재하지 않는 난류영역에서 보다 큰 값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