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lanogenesis inhibition

검색결과 205건 처리시간 0.024초

그라비올라 잎(Annona muricata L.) 조다당 분획분의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crude polysaccharide fractions from Annona muricata L. on melanogenesis)

  • 김이은;변의홍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52-57
    • /
    • 2019
  • 본 연구는 그라비올라 잎 조다당 분획물(ALP)의 멜라닌 저해활성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B16F10 melanoma 세포의 세포 생존율, tyrosinase 저해활성, 멜라닌 함량, 멜라닌 생합성에 관여하는 단백질(TRP-1, TRP-2, tyrosinase, MITF 및 p-CREB)의 발현을 관찰하였다. ALP의 tyrosinase 활성 저해능을 측정하였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B16F10 세포에 ALP를 처리하여 멜라닌 활성 저해능에 관하여 알아봤을 때, tyrosinase, 멜라닌 함량이 농도 의존적으로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ALP가 미백과 관련된 TRP-1, TRP-2, tyrosinase, MITF 및 p-CREB의 단백질 발현양이 농도의존적으로 감소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ALP는 멜라닌 저해 활성을 효과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보아 기능성 미백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백지를 포함하는 한약재 복합 에탄올 추출물이 피부 항노화 및 미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thanol extract from mixture including Angelicae Dahuricae Radix on Dermal Anti-aging and Whitening)

  • 윤석나;김유진;이예지;김미려;유왕근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109-115
    • /
    • 2019
  • Objective : Herbal medicinal mixture (JMB) are consisted of Caryophylli Flos, Aucklandiae Radix, and Angelicae Dahuricae Radix. Each of these herbal medicines has studied on anti-aging effect in vitro. S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icacy and potency of JMB extract on dermal anti-aging and whitening. Methods : The JMB was extracted at room temperature by 80% ethanol. Collagenase and elastase inhibition activity in JMB ethanol extract were determined at 10, 50, 100, 500, 1000 mg/ml concentrations by colorimetric method. The toxic range of JMB ethanol extract was evaluated using MTT assay. Also, The inhibitory effect of JMB ethanol extract on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contents in mouse melanoma cell line (B16F10 cell) was identified at 50, 100, 200 ㎍/㎖ levels by spectrometric assay. In each analysis, EGCG (epigallocatechin gallate) and Kojic acid were used as positive controls, respectively. Results : The elastase and collagenase inhibitory activity of JMB ethanol extract increased dose dependently. Also, The MTT assay showed that JMB, up to 400 ㎍/㎖ concentration, exhibited no toxic effect to the B16F10 cell. And following the JMB ethanol extract treat, cellular melanin contents and tyrosinase activity were dose-dependently decreased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JMB ethanol extract has effects to inhibitory activity on dermal wrinkle enzyme and melanogenesis. Therefore, JMB has applicable benefits for development of materials or products to have whitening and anti-aging functions on skin.

육미지황탕가감방(六味地黃湯加減方)이 멜라닌 생성 및 유전자발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Yukmijihwangtang -gagambang (YMG) on Melanin Synthesis and Gene Expression)

  • 김진경;유동열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66-82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lucidate the inhibitory effect of Yukmijihwangtang-gagambang (YMG) on melanin synthesis in B16F10 mouse melanoma cell. Methods: To demonstrate the inhibitory effects of YMG on melanin synthesis, we measured the amount of released and produced melanin in B16F10 melanoma cell. Also, we evaluated tyrosinase-activity in vitro as well as in B16F10 melanoma cell. And to investigate the action mechanism we assessed the gene expressions of tyrosinase, TRP-1, TRP-2, MMP-2, PKA, PKC${\beta}$, ERK-1 ERK-2, AKT-1 and MITF in B16F10 melanoma cells. Results: 1. YMG decreased the release and production of melanin in B16F10 melanoma cells. 2. YMG decreased tyrosinase activity in vitro and in B16F10 melanoma cells. 3. YMG decreased the expression of tyrosinase, TRP-1, TRP-2, PKA, PKC${\beta}$ and MMP-2 in B16F10 melanoma cells. 4. YMG increased the expression of ERK-1, ERK-2, and AKT-1 in B16F10 melanoma cells. 5. YMG decreased the expression of MITF in B16F10 melanoma cells. Conclusion: From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YMG inhibit melanin synthesis via tyrosinase inhibition and regulation of the gene expression in B16F10 melanoma cells.

Protective Effects of Nypa fruticans Wurmb against Oxidative DNA Damage and UVB-induced DNA Damage

  • So-Yeon Han;Tae-Won Jang;Da-Yoon Lee;Seo-Yoon Park;Woo-Jin Oh;Se Chul Hong;Jae-Ho Park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3년도 임시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54-54
    • /
    • 2023
  • Nypa fruticans Wurmb (N. fruticans) is a plant that belongs to Araceae and N. fruticans is mainly found in tropical mangrove systems. The parts (leaves, stems, and roots) of N. fruticans are traditionally used for asthma, sore throat, and liver disease. N. fruticans contains flavonoids and polyphenols, which are substances that have inhibitory effects on cancer and oxidant. In previous studies, some pharmaceutical effects of N. fruticans on melanogenesis and inflammation have been reported. The present study i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N. fruticans (ENF) on oxidative DNA damage and UVB-induced DNA damage. DNA damage response (DDR) pathway is important in research on cancer, apoptosis, and so on. DDR pathways are considered a crucial factor affecting the alleviation of cellular damage. ENF could reduce oxidative DNA damage derived from reactive oxygen species by the Fenton reaction. Also, ENF reduced the intensity of intracellular ROS in the live cell image by DCFDA assay. UVB is known to cause skin and cellular damage, then finally contribute to causing the formation of tumors. As for the strategies of reducing DNA damage by UVB, inhibition of p53, H2AX, and Chk2 can be important indexes to protect the human body from DNA damage.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protective effect of ENF for UVB damage, MMP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e expression of apoptosis-related factors tended to decrease. In conclusion, ENF can provide protective effects against double-stranded DNA break (DSB) caused by oxidative DNA damage and UVB-induced DNA damage. These results are considered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protective effect against radicals based on catechin, epicatechin, and isoquercitrin contained in ENF.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thought that additional mechanism studies for inhibiting cell damage are needed.

  • PDF

효소(Protopectinase) 처리한 대두가 세포내 멜라닌 생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ybean Protopectinase on Melanin Biosynthesis)

  • 유진균;이진희;조형용;김정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55-36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효소처리 한 대두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DPPH 및 hydroxyl radical 포착활성을 측정하였고, 멜라닌 생성의 첫 단계인 tyrosinase 활성, mouse melanoma B16BL6 세포 생존율 및 TRP-1, TRP-2 발현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기존의 기계적 마쇄 가공한 대두추출물과 효소처리 가공한 대두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효과를 비교 조사하였다. 효소처리 한 대두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능과 hydroxyl radical 소거능이 마쇄처리 한 추출물보다 높았으며, 특히 효소처리군이 마쇄군에 비하여 20% 이상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마쇄군에 비하여 효소처리군이 tyrosinase와 TRP-1, TRP-2의 더 높은 활성 억제능을 보였다. 이는 대두가 B16BL6 melanoma 세포의 tyrosinase 단백질의 활성을 저해시킴으로써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임을 의미하는 동시에 효소처리에 의하여 대두의 영양소의 손실이 더 적었음을 나타낸다. 결론적으로 효소처리에 의한 대두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과 미백 효과가 우수하여 기능성 화장품의 천연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지치 초고압 추출물의 미백활성 증진 (Enhancement of Whitening Effects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Extracts by Ultra High Pressure)

  • 김지선;정명훈;최운용;서용창;마충제;안주희;김남성;황백;조정섭;이현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97-102
    • /
    • 2011
  • In this study, whitening activity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extracts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several extraction processes: water extraction at $100^{\circ}C$ (WE100) and $60^{\circ}C$ (WE60), 70% ethyl alcohol extraction (EE) and ultra high pressure extraction (HPE) at 500 MPa for 30 minutes at $60^{\circ}C$. The extracts from ultra high pressure extraction showed the highest tyrosinase inhibition and melanogenesis inhibition activities as 52% and 79.5%, respectively, in adding $1mg/m{\ell}$ than others extraction processes. HPE extracts also showed the strong reducing power as 3.19 that absorbance at 450 mm. The contents of polyphenol in WE100, we measured as $10.1{\mu}g/m{\ell}$ in adding $1mg/m{\ell}$. Extracts have a high total flavonoid contents by HPE as $4.1{\mu}g/m{\ell}$ at $1mg/m{\ell}$. We can conclude that better whitening activity of extracts from high pressure extraction was due to high antioxidant activities which could be extracted by higher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in HPE than others.

찔레 추출물의 B16 세포 멜라닌 형성 억제 (Melanogenesis Inhibition Effect of Rosa multiflora Extracts in B16 Melanoma Cells)

  • 하세은;김형도;박종군;정연옥;김현종;박노복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17-322
    • /
    • 2009
  • 본 연구는 찔레 에탄올 추출물의 세포 활성 및 티로시나아제활성 저해를 분석하였다. 찔레 추출물의 세포활성을 분석한 결과 찔레 잎과 뿌리 추출물의 경우에는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유사한 결과를 관찰하였다. 모든 농도에서 세포 활성이 나타나지 않아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를 분석한 결과 찔레 잎과 뿌리추출물은 상대적으로 고농도(200 ${\mu}g$/ml)에서 약 30${\sim}$32% 정도를 저해하는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B16 세포에서 티로시나아제활성 저해 효과를 분석한 결과 상대적으로 고농도(200 ${\mu}g$/ml)에서 양성대조군인 알부틴보다 20${\sim}$25% 정도 낮은 저해 효과를 나타냈다. 멜라닌 함량 저해 효과를 분석한 결과 찔레 잎과 뿌리 추출물의 경우 티로시나아제의 저해 효과와 유사하게 농도 의존적인 저해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관찰하였다. RT-PCR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추출물 처리군들은 정상대조군과 비교하여 티로시나아제 mRNA 수준이 유의적으로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또한 농도 의존적인 변화도 없었다.

녹차씨 껍질 에탄올 추출물의 미백 활성 (Whitening Effect of Green Tea Seed Shell Ethanol Extracts)

  • 송하연;성낙윤;정필문;강민수;박원종;변의홍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0호
    • /
    • pp.1470-1475
    • /
    • 2015
  • 본 연구는 산업 부산물의 이용성 향상을 위하여 폐자원인 녹차씨 껍질 추출물의 미백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녹차씨 껍질로부터 유용성 성분을 얻기 위하여 에탄올 추출을 한 결과 건조중량 대비 1.24%의 추출물의 수율을 얻을 수 있었고,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tyrosinase 억제능을 관찰한 결과 녹차씨 껍질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미백 효과가 세포 내에서도 일어나는지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melanoma 세포인 B16BL6에 ${\alpha}$-MSH를 처리하여 melanin의 형성을 촉진시키는 melanogenesis 과정을 유도한 후 녹차씨 껍질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melanin의 형성이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녹차씨 껍질 추출물의 미백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활용하여 식품 및 화장품의 기능성 소재로 이용한다면 산업 부산물인 녹차씨 껍질을 활용하는 차원에서 그 경제적 가치가 매우 클 것으로 사료된다.

화장품 소재로서 빈랑자의 항산화 및 미백활성에 관한 효과 (A Study of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Whitening Activities of Areca semen Extracts as Cosmetic Ingredient)

  • 강희철;차미연;김재영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69-277
    • /
    • 2015
  • 항산화 활성과 미백활성을 갖는 새로운 화장품 소재를 찾기 위하여 한방 소재로 사용되는 빈랑자[Areca semen (A. semen)]를 유기용매 추출을 통하여 활성분획을 분리하였다. 추출된 활성 분획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 활성, 세포독성 및 세포 내 멜라닌 합성 저해능 및 멜라닌 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저해 활성을 확인함으로써 미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빈랑자는 에틸아세테이트 용매의 분획을 동결 건조하여 분말형태로 제조하였으며 이를 이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빈랑자 추출물에서 페놀성 물질은 $301.35{\pm}0.88{\mu}g/mg$으로 측정되었다. 항산화 효과는 DPPH assay와 FRAP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대조군으로 사용된 ascorbic acid와 비슷하게 측정되었다. 피부상재균에 대한 항균활성은 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S. epidermidis)에서 모두 $80{\mu}g/mL$의 농도에서 항균활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Escherichia coli (E. coli)에서는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미백소재로서의 활성을 확인하여 B16/F1 mouse melanoma cell을 이용하였으며 최대 처리농도인 $80{\mu}g/mL$에서는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세포 내 멜라닌 합성 저해능은 $80{\mu}g/mL$에서 $29.44{\pm}0.71%$로 측정되었다. 또한 멜라닌 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량은 mRNA expression assay를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tyrosinase와 MITF 유전자는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빈랑자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은 항산화와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화장품 소재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레조시놀다이펜틸에터의 피부 미백 효능 평가 (Studies on Skin Whitening Effects of Resorcinol Dipentyl Ether)

  • 차영권;조현대;조완구;변상요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15-124
    • /
    • 2017
  • 레조시놀다이펜틸에터(1,3-di(pentyloxyl)benzene)의 피부 미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in vitro 실험을 통하여 미백 효과를 평가하였다. 레조시놀다이펜틸에터는 resorcinol과 1-bromopentane의 알킬화반응을 통하여 제조하였으며, 반응 결과물을 NMR, MS 등의 분석장비를 통해 확인하였다. 레조시놀다이펜틸에터의 피부 안전성 평가를 위하여, 피부를 구성하는 세포들(keratinocyte, melanocyte, fibroblast)에 대한 독성을 분석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서 모든 세포주들에서 유사한 cell viability를 확인하였다. 세포생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농도인 $20{\mu}g/mL$에서 세포 외 멜라닌 분비 저해능을 측정한 결과 $20{\mu}g/mL$ 농도에서 약 65.75%까지 농도 의존적으로 멜라닌 분비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세포 내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측정한 결과에서도 약 53.89%를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멜라닌 형성 관련 티로시나제, TRP-1, TRP-2의 mRNA 발현량과 단백질 발현량을 real-time PCR 방법과 western blot으로 측정을 한 결과 레조시놀다이펜틸에터는 멜라닌 억제효과가 전사(transcription)단계부터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는 레조시놀다이펜틸에터의 미백기능성화장품 신소재로서의 적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