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lanocytes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28초

Anti-melanogenic property of ginsenoside Rf from Panax ginseng via inhibition of CREB/MITF pathway in melanocytes and ex vivo human skin

  • Lee, Ha-Ri;Jung, Joon Min;Seo, Ji-Yeon;Chang, Sung Eun;Song, Youngsup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5권5호
    • /
    • pp.555-564
    • /
    • 2021
  • Background: Ginsenosides of Panax ginseng are used to enhance skin health and beauty.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use of ginsenoside Rf (Rf) from Panax ginseng as a new anti-pigmentation agent. Methods: The anti-melanogenic effects of Rf were explored. The transcriptional activity of the 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 (cAMP) response element binding protein (CREB) and the expression levels of tyrosinase,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and tyrosinase-related proteins (Tyrps) were evaluated in melanocytes and UV-irradiated ex vivo human skin. Results: Rf significantly inhibited Forskolin (FSK) or UV-stimulated melanogenesis. Consistently, cellular tyrosinase activity and levels of MITF, tyrosinase, and Tyrps were downregulated. Furthermore, Rf suppressed MITF promoter activity, which was stimulated by FSK or CREB-regulated transcription coactivator 3 (CRTC3) overexpression. Increased CREB phosphorylation and protein kinase A (PKA) activity induced by FSK were also mitigated in the presence of Rf. Conclusion: Rf can be used as a reliable anti-pigmentation agent, which has a scientifically confirmed and reproducible action mechanism, via inhibition of CREB/MITF pathway.

Inhibitory Effect of Haplamine on Melanosome Transport and Its Mechanism of Action

  • Lee, Kyung Rhim;Myung, Cheol Hwan;Hwang, Jae Sung
    • Korea Journal of Cosmetic Science
    • /
    • 제1권1호
    • /
    • pp.31-43
    • /
    • 2019
  • Melanosomes are specific melanin-containing intracellular organelles of epidermal melanocytes. In epidermal melanocytes, there are three kinds of key player proteins. Rab27a, melanophilin or Slac2-a and Myosin 5a form a tripartite complex connects the melanosome. Mature melanosomes make movements through the tripartite protein complex along actin filaments.In this study, we found that the haplamine (6-Methoxyflindersine) induced melanosome aggregation around the nucleus in epidermal melanocyte. In an attempt to elucidate the inhibitory effect of haplamine on melanosome transport, effect of haplamineon the expression level of Rab27a, melanophilin and Myosin 5a was measur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haplamine up to 5��M effectively suppressed mRNA and protein expression level of melanophilin.To determine the upstream regulator of melanophilin regulated by haplamine, we checked the level of MITF, c-JUN and USF1. Those are possible transcription factor of melanophilin. Among them,treatment of USF1 siRNA decreased mRNA and protein expression level of USF1 as well as melanophilin. Also, treatment of haplamine decreased mRNA and protein expression level of melanophilin as well as USF1 in a dose-dependent manner. Consequently, we found the inhibitory effect of haplamine on melanosome transport in melan-a melanocyte. Treatment of haplamine reduced melanophilin expression level which is a key protein of melanosome transport. We identified that USF1 could be a major transcription factor of melanophilin regulated by haplamine.

아주 드문 항문직장 악성 흑색종 (A Rare Entity: Primary Malignant Melanoma of the Anorectum )

  • 최정민;김종환
    •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 /
    • 제12권1호
    • /
    • pp.44-47
    • /
    • 2024
  • Malignant melanomas, which are rarely found in the Asian population, are malignant tumors or melanocytes that manifest in the skin mucosa. Malignant melanomas of the anorectum are very rare and account for approximately 1% of all malignant melanomas in the Asian population. Here, we present a rare case presenting a malignant melanoma of the anorectum. An 85-year-old woman visited the hospital with bloody stools and an anal mass. Sigmoidoscopy revealed a black mass protruding from the anus, and the scope was able to penetrate the anorectal mass. Close-up endoscopy revealed black moles of different sizes scattered across the rectal mucosa. PET-CT indicated multiple FDG uptakes in the liver, indicating multiple metastases. Pathologic examination led to the detection of malignant melanocytes with dark brown deposits. The patient's immunohistochemical markers were positive for melanin-A antibodies and HMB-45, indicating a malignant melanoma. As there was no evidence of malignant melanomas on the skin,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primary malignant anorectal melanoma with liver metastases.

Coenzyme Q10의 멜라닌 생성억제효과 (The inhibitory Effects of Coenzyme Q10 on Melanogenesis of cultured Human Melanocytes and in vivo Guinea Pig Model)

  • 황재성;박원만;안수미;강병영;이병곤;심영철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49-162
    • /
    • 2000
  • Coenzyme Q10(CoQ10)은 피부를 포함한 모든 생체조직에 존재하는 널리 알려진 조효소이다. 전자전달에 관여하는 퀴논링은 세포에서 에너지를 생성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CoQ10은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연구되어 왔으며, 최근 외용제로써 노화억제와 주름개선작용에 대해 보고된 바 있다. 이런 보고들은CoQ10이 항산화제로서 산화-환원작용을 통해 피부의 방어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시사하며, 일반적으로 산화-환원작용은 피부에서 흑화과정의 조절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자들은 CoQ10 이 피부의 색소조절기능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인체 정상 색소세포에CoQ10을 0.05-0.5 mM 처리한 결과 0.5, 0.25mM에서 멜라닌의 생합성을 약 50% 저해하였으며 이는 알려진 미백제인 Kojic acid나 vitamin C와 유사한 수준이었다. 또한, CoQ10은 인체 정상 색소세포에서 자외선이나 세포내 cAMP 증가 유도물질에 의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였다. 그러나 tyrosinase inhibitor인 kojic acid와는 달리, in vitro tyrosine hydroxylase의 억제효과는 보이지 않았다. CoQ10을 자외선으로 tanning을 유도시킨 brown guinea pig에 4주간 도포하고 육안 및 chromameter를 이용하여 미백효과를 측정한 결과, vehicle처리군에 비해 미백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coenzyme Q10 은 in vitro및 in vivo에서 미백효과를 지닌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GSK3${\beta}$의 선택적 저해제인 Kenpaullone의 B16 멜라노마 및 인간 멜라노사이트에서의 영향 (Effect of Kenpaullone, a Specific Inhibitor of GSK3${\beta}$, on Melanin Synthesis in B16 Melanoma and Human Melanocytes)

  • 김해종;이유리;호앙구엔;이향복;김은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11-218
    • /
    • 2011
  • Glycogen synthase kinase 3 beta (GSK3${\beta}$)의 선택적 저해제인 Kenpaullone가 B16 멜라노마 및 사람의 멜라노사이트에 미치는 멜라닌 합성능을 조사하였다. Kepaullone은 B16 멜라노마 및 사람의 멜라노사이트에 대하여 세포증식에는 영향이 없는 범위 내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멜라닌 합성을 촉진시켰다. B16 멜라노마 세포에 Kenpaullone을 첨가 48 h 후 tyrosinase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농도별 처리에 대하여 tyrosinase 단백질의 발현 및 tyrosinase mRNA양이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결론적으로 Kenpaullone는 B16 멜라노마 세포에서 tyrosinase 효소의 발현을 증가시켜 멜라닌 합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따라서 GSK3${\beta}$ 저해제가 멜라닌 합성을 촉진시키는 결과는 백반증과 같은 저색소관련 질병의 치료제 개발의 가능성을 갖고 있는 소재로서 응용가능하리라고 판단되어진다.

양서류 피부 색소세포의 미세구조 (The Ultrastructure of the Cutaneous Pigment Cells in the Amphibia)

  • 김한화;노용태;지영득;문영화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33-144
    • /
    • 1981
  • 도룡뇽 배부피부의 색소세포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표피의 색소세포는 종자층 사이에 있는 흑색소세포와 각질세포층에 산재해 있는 흑색 소보유세포로 구성되었으며 표피내 이들 세포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A. 흑색소세포의 핵은 원형 또는 타원형이며, 부분적으로 크고 작은 핵막함요를 나타내었다. B. Rough-surfaced endoplasmic reticulum과 Golgi체가 특히 흑색소세포의 핵 아래부분의 세포질에 잘 발달되었으며, ribosome은 특히 핵 주변부와 인접하여 산재해 있었다. C. 흑색소세포의 흑색소과립은 전자밀도가 높고 낮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나타났다. D. 흑색소보유세포의 핵은 일부분의 핵막이 깊게 함입하였으며, 흑색소과립이 세포질에 채워져 있으므로 다른 세포소기관은 구별되지 않았다. 2. 진피는 기저막 바로 밑의 대황세포와 흑색소보유세포로 구성되었으며, 전피내 이들 세포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A. 대황세포는 크기가 다른 원형 또는 타원형의 소낭을 가지고 있으며, 그 소낭은 6가지의 형으로 구분되었다. (제 1형 prerinosome, 제 2형 pterinosome, 제 3형, pterinosome, 제 4 형 pterinosome, 제 5 형 pterinosome, 제 6 형 pterinosome). B. 진피의 흑색소보유세포의 핵은 긴 타원형이며, 핵막의 일부분이 깊게 함입되었다. C. 같은 전자밀도의 흑색소과립이 흑색소보유세포의 전 세포질에 채워져 있으며, 다른 세포소기관은 관찰되지 않았다. D. 흑색소보유세포의 돌기는 대황세포와 평행하여 뻗어 있었으며, 그 돌기속에는 흑색소과립이 채워져 있었다.

  • PDF

Piper methysticum 의 뿌리로부터 추출한 Flavokawain B와 C가 Melan-a 세포에서 멜라닌 합성에 미치는 영향 (Flavokawain B and C, Isolated from the Root of Piper methysticum, Inhibit Melanogenesis in Melan-a Cells)

  • 류종혁;이정아;고재영;황재성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1-24
    • /
    • 2022
  • Piper methysticum 뿌리의 에탄올 추출물은 멜라닌 세포 자극 호르몬 활성화 B16 흑색종 세포에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이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flavokawain B (FKB)와 flavokawain C (FKC)는 항멜라닌 생성 활성을 기반으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본 연구는 melan-a 세포에서의 멜라닌 합성에 대한 FKB 및 FKC의 억제 및 그 과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FKB와 FKC는 각각 10 μM, 5 μM 농도에서 melan-a 세포의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였다. 그러나 FKB와 FKC 모두 세포 외 타이로시네이즈 활성은 억제하지 않았다. FKB는 타이로시네이즈 (tyrosinase, Tyr), 타이로시네이즈 연관 단백질 1 (tyrosinaserelated protein 1, TRP-1)과 2(tyrosinase-related protein 2, TRP-2),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의 단백질 발현량을 감소시켰으며 Tyr와 TRP-1의 mRNA 발현량을 감소시켰다. FKC는 TRP-2와 MITF의 단백질 발현량을 감소시켰으며 Tyr와 TRP-1의 mRNA 발현량을 감소시켰다. Tyr와 TRP-1의 감소된 발현은 주요 멜라닌 생성 단백질을 조절하는 MITF발현 감소로 인한 것임을 예상할 수 있었다. 다만 MITF의 mRNA 발현량은 FKB와 FKC 처리에 의해 변하지 않았기 때문에, MITF의 분해를 조절한다고 알려진 세포 외 신호 조절 키나아제(ERK)/AKT 인산화에 대한 FKB와 FKC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FKB와 FKC는 AKT의 인산화를 증가시키지는 않았지만 ERK1/2의 인산화를 유의미하게 증가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FKB와 FKC가 다양한 색소 침착 증상들에 대한 잠재적인 미백제로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말해준다.

Immunohistochemistry: sole tool in diagnosing a rare case of primary vaginal amelanotic melanoma

  • Garg, Rashi;Gupta, Neelam
    •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 /
    • 제61권6호
    • /
    • pp.698-701
    • /
    • 2018
  • We report a rare case of vaginal amelanotic melanoma. Malignant melanomas are cutaneous and extracutaneous tumors that arise from embryological remnants of neural crest cells/melanocytes. Amelanotic melanomas at such rare locations can be misdiagnosed both clinically and radiologically. Therefore,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and immunohistochemistry are mandatory for the diagnosis of these tumors. We diagnosed this case using histopathology and confirmed the diagnosis based on the presence of immunohistochemical markers human melanoma black 45 (HMB45) and S-100.

PROTECTION OF CUTANEOUS NEURONS BY A NEW PEPTIDOMIMETIC ENDOWED WITH NEUROTROPHIC AND ANTI-APOPTOTIC PROPERTIES

  • Imbert, I.;Nicolay, J.F.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2003년도 IFSCC Conference Proceeding Book I
    • /
    • pp.161-161
    • /
    • 2003
  • The cutaneous network of unmyelinated nerve fibers is extremely dense, and closely interacts with the many cell types present in dermis and epidermis, including keratinocytes, fibroblasts, Langerhans cells, and melanocytes. Cell communication involves various neuroendocrine factors, with cell differentiating and proliferative activities, or inflammatory properties. Thus, nervous cells in the skin not only create a sensory system connected to the central nervous system, but also mediate many of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skin.(omit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