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lanin synthesis inhibition

검색결과 187건 처리시간 0.022초

물여뀌 에탄올 추출물의 미백 효과 (Whitening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from Polygonum amphibium L.)

  • 황병수;이승영;강창희;한웅;오영택;유상미;김민진;김철환;엄정혜;정상철;이욱재;안영희;정용태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95-200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lanogenesis inhibiting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 from Polygonum amphibium L. Firstly, the n-hexane (Hx), chloroform ($CHCl_3$), ethyl acetate (EA), n-butanol (BuOH), and water (Water) fractions were isolated from the P. amphibium L. ethanol extract. The efficacy of melanogenesis was found to significantly decrease via the EA and BuOH fractions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in B16F10 cells. EA particularly showed the lowest melanin content in B16F10 cells when compared to all the other extracts. Concentration-dependent inhibition of melanin synthesis was also observed in the EA fraction at concentrations below $50{\mu}g/ml$, which did not exhibit cytotoxicity in B16F10 cells. Notably, the expression of three key proteins (tyrosinase, tyrosinase-related protein-1 (TRP-1), and TRP-2), which are involved in melanogenesi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via the EA fraction. EA also inhibited body pigmentation in vivo in a zebrafish model. Overall, we demonstrated melanogenesis suppression using the EA fraction from P. amphibium L., which could be a potential candidate for an antimelanogenesis agent.

Piper methysticum 의 뿌리로부터 추출한 Flavokawain B와 C가 Melan-a 세포에서 멜라닌 합성에 미치는 영향 (Flavokawain B and C, Isolated from the Root of Piper methysticum, Inhibit Melanogenesis in Melan-a Cells)

  • 류종혁;이정아;고재영;황재성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1-24
    • /
    • 2022
  • Piper methysticum 뿌리의 에탄올 추출물은 멜라닌 세포 자극 호르몬 활성화 B16 흑색종 세포에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이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flavokawain B (FKB)와 flavokawain C (FKC)는 항멜라닌 생성 활성을 기반으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본 연구는 melan-a 세포에서의 멜라닌 합성에 대한 FKB 및 FKC의 억제 및 그 과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FKB와 FKC는 각각 10 μM, 5 μM 농도에서 melan-a 세포의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였다. 그러나 FKB와 FKC 모두 세포 외 타이로시네이즈 활성은 억제하지 않았다. FKB는 타이로시네이즈 (tyrosinase, Tyr), 타이로시네이즈 연관 단백질 1 (tyrosinaserelated protein 1, TRP-1)과 2(tyrosinase-related protein 2, TRP-2),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의 단백질 발현량을 감소시켰으며 Tyr와 TRP-1의 mRNA 발현량을 감소시켰다. FKC는 TRP-2와 MITF의 단백질 발현량을 감소시켰으며 Tyr와 TRP-1의 mRNA 발현량을 감소시켰다. Tyr와 TRP-1의 감소된 발현은 주요 멜라닌 생성 단백질을 조절하는 MITF발현 감소로 인한 것임을 예상할 수 있었다. 다만 MITF의 mRNA 발현량은 FKB와 FKC 처리에 의해 변하지 않았기 때문에, MITF의 분해를 조절한다고 알려진 세포 외 신호 조절 키나아제(ERK)/AKT 인산화에 대한 FKB와 FKC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FKB와 FKC는 AKT의 인산화를 증가시키지는 않았지만 ERK1/2의 인산화를 유의미하게 증가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FKB와 FKC가 다양한 색소 침착 증상들에 대한 잠재적인 미백제로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말해준다.

무화과(Ficus carica L.) 열매 추출물의 tyrosinase 및 MITF 발현 억제를 통한 미백 활성 (Whitening activity of Ficus carica L. fruits extract through inhibition of tyrosinase and MITF expression)

  • 김민지;박시은;이근수;김진화;권순우;황형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6권
    • /
    • pp.204-212
    • /
    • 2023
  • 미백은 멜라닌 세포 내 멜라닌 생성 억제 기능을 의미한다. 기존 미백소재의 피부 부작용 때문에 최근에는 천연 소재를 활용한 미백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무화과(Ficus Carica L.)는 뽕나무과에 속하는 열매로 줄기와 잎 성분의 미백 활성은 보고되었으나 무화과 열매의 미백 활성은 알려지지 않아 본 연구를 통해 멜라닌 생성 억제,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무화과 열매 추출물(Figs fruits extract, FFE)의 라디칼 소거 활성은 DPPH/ABTS 분석에서 최대 농도에서 대조군 대비 34.52±1.98%/60.71±1.26% 수준으로 관찰되었다. CCK-8 assay를 통한 FFE의 세포독성은 약 10% 농도부터 관찰 되어 독성이 없는 최대 농도를 5%로 설정하여 모든 실험에 적용하였다. FFE는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cyclooxygenase-2, interleukin-6 및 tumor necrosis factor-α 유전자 발현 억제와 함께 NO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켜 항염증 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미백 기능 규명을 위해 α-MSH로 자극된 B16F10 세포에서 FFE를 농도별로 처리한 결과 세포 내 멜라닌 생성을 유의하게 하향 조절했을 뿐만 아니라 시험관 내에서 tyrosinase 활성이 억제되었다. 또한 FFE는 RT-PCR에서 α-MSH 처리군에 비해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mRNA 발현을 약 94.34% 감소시켰다. 마지막으로, FFE는 α-MSH로 자극된 B16F10 세포에서 MITF, cAMP response element-binding protein 및 tyrosinase 단백질 발현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우리는 FFE가 tyrosinase 효소 활성을 직접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α-MSH 신호 기전 내 MITF 유전자 발현 조절을 통해 멜라닌 생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오배산가미(五倍散加味)가 점막(粘膜) 및 피부질환(皮膚疾患)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Ohbaesangami (OBSGM) on the mucosa and skin diseases)

  • 노석선;홍석훈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0권2호통권33호
    • /
    • pp.10-35
    • /
    • 2007
  • Objectives :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hbaesangami (OBSGM) on mucosa and skin diseases, anti-microbial and anti-inflammatory tests were performed using several in vitro test models. Results : In anti-microbial test, OBSGM showed the slight inhibitory effect against Propionibacterium acnes (P. acnes) and 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 In anti-oxidant test, OBSGM showed the poten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anti-inflammatory test, OBSGM weakly inhibited the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nitric oxide(NO) release from the RAW 264.7 macrophage cells. OBSGM also inhibited the LPS-induced $interleukin-1{\beta}(IL-1{\beta})$ and cyclooxygenase-2 (COX-2) expressions. The inhibitory effects of OBSGM on macrophage activation was via the inhibition of $NF-{\kappa}B$, evidenced by transient transfection assay. Furthermore, OBSGM markedly inhibited the activation of Jun-N-terminal kinase (JNK) and p38 MAP kinase in RAW 264.7 cells. In skin wrinkle formation assay, OBSGM strongly inhibited collagnease and elastase, whose activities are tightly related with the wrinkle formation. In addition, OBSGM inhibited the activities of MMP-1, MMP-2 on the mRNA levels in RAW 264.7 cells. However, OBSGM did not show an inhibitory potential on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synthesis, indicating that it could not be applicable for skin whitening.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OBSGM may be due to its inhibitory potentials on the macrophage activation. And, the anti-wrinkle effects of OBSGM may be due to its inhibitory potential on the collagnease and elastase activities. Therefore, OBSGM could be applicable for the treatment of mucosa and skin diseases.

  • PDF

Whitening Effect of Watersoluble Royal Jelly from South Korea

  • Han, Sang Mi;Kim, Jung Min;Hong, In Phyo;Woo, Soon Ok;Kim, Se Gun;Jang, Hye Ri;Park, Kwan Kyu;Pak, Sok Cheo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707-713
    • /
    • 2015
  • Royal jelly has been widely used as a health supplement worldwide. However, royal jelly has been implicated in allergic reactions, and we developed a water-soluble royal jelly (WSRJ) without the allergy inducing protein. In this study, we aimed to identify the anti-melanogenic efficacy of WSRJ. B16F1 melanoma cells were first treated with 10 nM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α-MSH) and then with various doses of WSRJ. In addition, we investigated the mRNA and protein expression of melanogenesis-related genes such as tyrosinase, 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1) and TRP-2 b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western blotting. WSRJ directly inhibited tyrosinase and cellular tyrosinase activity, which decreased melanin synthesis in α-MSH stimulated B16F1 melanoma cells a level comparable to that observed with arbutin. WSRJ decreased the mRNA and protein expressions of tyrosinase, TRP-1, and TRP-2, which was comparable to that observed with arbutin. WSRJ has strong anti-melanogenic activity, which invoice direct inhibition of tyrosinase enzyme activity and suppression of expression of melanogenesis related genes. Results from this study suggests that WSRJ is a potential candidate for the treatment of skin pigmentation.

B16/F10 흑색 종 세포에서 오디(Morus alba) 에탄올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저해 작용과 항산화 활성 (Antioxidation Activity and Inhibition of Melanin Synthesis of Ethanol Extracts from Morus alba in B16/F10 Melanoma Cells)

  • 조미래;조인아;이중헌;김수관;이숙영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63-6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80% 식물성 알코올을 추출 용매로 사용해 오디를 빛을 차단 후 실온에서 3일 간 추출하였다. 3회 여과한 후 최소 온도($40{\sim}60^{\circ}C$)에서 농축한 뒤 동결 건조하여 파우더 형태로 사용하였다. 오디(Morus alba)의 에탄올 추출물은 B16/F10 세포의 항산화 및 멜라닌 합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멜라닌 함량과 세포 내 tyrosinase 활성을 Western blotting으로 측정 하였다. Tyrosinase와 tyrosinase-related protein (TRP) -1은 tyrosinase-related protein (TRP) -2보다 강력하게 억제되었으며, 이들 결과는 tyrosinase와 TRP-1은 흑갈색을 띠는 eumelanin의 생합성의 억제와 강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 주었다. ${\alpha}$-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alpha}$-MSH) 처리 한 B16/F10 흑색 종 세포에서 M. alba 에탄올 추출물은 멜라닌 생성 연관 단백질의 발현 및 멜라닌 생성이 용량 의존적으로 억제 하였다. 멜라닌 함량과 세포 내 tyrosinase 활성을 Western blotting으로 측정 하였다. 또한 DPPH와 SOD를 사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고 총 폴리 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 하였다. MTT assay 분석을 사용하여 M. alba 에탄올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측정 하였다. B16/F10 멜라닌 생성 세포의 tyrosinase 저해 활성 및 사멸 효과가 일반적으로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M. alba 에탄올 추출물은 항산화 및 미백 효과를 나타내며, 기능성 화장품의 천연 성분으로서 우수한 것으로 여겨진다.

  • PDF

화장품 소재로서의 꽃 10 종 에탄올추출물 생리활성 특성연구 (Biological Activities of Cosmetic Material from Ten Kinds of Flower Ethanol Extracts)

  • 이태범;소양강;김세율;황지영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60-275
    • /
    • 2020
  • Background: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nti-wrinkles, whitening, and moisturizing properties and amounts of phenolic compounds of ethanol extracts from flowers of 10 resource plants from Namwon and Mt. Jiri., Korea. Methods and Results: We measured antioxidant efficacy based on the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 and the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assay. We evaluated the inhibitory effect on melanin synthesis and tyrosinase activity for the whitening effect. Furthermore, we analyzed the elastase and 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 inhibition activity for anti-wrinkle capacity. To evaluate the moisturizing effect, we examined hyaluronan synthase (HAS) mRNA expression. In addition, the 19 phenolic compounds were detected using high performa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mong the 10 flowers, the antioxidant effect was high in the order of Rosa multiflora, Nelumbo nucifera, and Elsholtzia splendens. Whitening effect was high in the order of N. nucifera, R. multiflora, and Dendranthema zawadskii. As for the anti-wrinkle property, N. nucifera was the most effective followed by R. multiflora. Taraxacum coreanum was the best for moisturizing effect, followed by D. zawadskii, and E. splendens. Seven phenolic compounds were detected in the extracts of the 10 flowers. Conclusions: Overall, the extracts of five flowers extracts showed strong potential as antioxidant, whitening, anti-wrinkle, and moisturizing functional cosmetic agents.

비건(Vegan)인증 화장품 원료 7종 혼합추출물의 항산화능 및 미백효과 연구 (The Antioxidant Capacity and Whitening Effects of the Extract from the Mixture of 7 Different Vegan Cosmetic Ingredients)

  • 최인정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0-17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비건 인증(Vegan) 화장품 원료 7종 혼합추출물의 항산화능 및 미백효과를 확인하였다. 라디컬 소거능으로서 DPPH, ABTS, FRAP 실험, 항산화 물질 측정으로서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을 실시하였다. DPPH 실험에서는 105.74 mg ascorbic acid / g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으며, ABTS 실험에서는 85.31 mg ascorbic acid / g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FRAP에서는 7종 혼합추출물의 1 mg이 ascorbic acid 198.01±5.50 ㎍의 환원력을 보였다. 폴리페놀 함량은 30.19±0.75 mg/g으로 나타났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9.12±0.36 mg/g으로 나타났다. 한편 세포실험에서는 세포 독성과 미백활성을 알아보았다. 세포독성의 경우 20% 이하의 세포 독성을 보였으며, 100 ㎍/mL 농도에서 34.70±2.97%의 멜라닌 생성 억제능을 보여 7종 혼합추출물의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Inhibition Mechanism of Endothelin-l-induced $Ca^{2+}$ Mobilization of Antimelanogenic Ingredient: 1,2-Ο-Diferulylglycerol

  • Lee, K. M.;Park, J. B.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2003년도 IFSCC Conference Proceeding Book II
    • /
    • pp.73-86
    • /
    • 2003
  • Endothelins secreted from keratinocytes are intrinsic madiators for human melanocytes in UVB-induced pigmentation. Antimelanogenic ingredient, 1,2-Ο-diferulylglycerol(SM709) isolated from bamboo extract inhibited the melanin synthesis of Bl6F10 melanoma cells by 62%. To understand the cellular mechanism of antimelanogenic activity of SM709 in human melanocytes, the effects of SM709 on the ET-l-induced $Ca^{2+}$ mobilization were investigated. ET-l receptors in human melanocytes were characterized by using specific antagonist and found that ET-l increased intracellular $Ca^{2+}$ by activating ET-B receptor. SM709 completely blocked the ET-l-induced intracellular $Ca^{2+}$ increase and its inhibitory effect showed dose- and time- dependent manners. To investigate the role of SM709 on intracellular $Ca^{2+}$ store, when the $Ca^{2+}$ store was partially depleted by thapsigargin; a specific inhibitor of ER-type $Ca^{2+}$-ATPase, caffeine-induced $Ca^{2+}$ mobilization did not changed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SM709, suggesting that SM709 has no effect on the $Ca^{2+}$ store. It is known that LPA receptor and P$_2$ receptor are linked to InsP$_3$ second messenger system. When these receptors in melanocytes were activated by LPA and ATP, the intracellular $Ca^{2+}$ signaling was observed even in the presence of SM709. From the above results, it can be suggested that SM709 has an antimelanogenic activity by antagonizing the ET-B receptor, resulting in subsequent intracellular $Ca^{2+}$ signaling, in UV induced pigmentation.nduced pigmentation.

  • PDF

추출 온도에 따른 금불초 꽃 추출물의 항노화 효능 (Anti-aging Effect of Inula britannica var. chinensis Flower Extract According to the Extraction Temperature)

  • 전지민;유대성;천종우;권순식;전소하;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09-12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추출 온도에 따른 금불초 꽃(I. britannica var. chinensis) 추출물의 항노화 효능을 알아 보았다. 추출 온도에 따른 세포독성을 살펴본 결과, 상온, $45^{\circ}C$$65^{\circ}C$ 추출물 모두 0.1% 이하의 농도에서 세포독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0.1% 이하의 농도에서 항노화 효능평가를 수행한 결과, 0.1% 농도의 상온 추출물 경우에 멜라닌 생성 억제율은 24.5%로 $45^{\circ}C$$65^{\circ}C$ 추출물과 비교하여 멜라닌 생성 억제율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0.1% 농도의 상온 추출물을 처리한 세포의 히알루론산 합성 관련 유전자 HAS-1, HAS-2 및 HAS-3의 발현율은 각각 123.3%, 137.8% 및 133.2%를 나타냈으며, 이는 비교물질인 L-ascorbic acid (115.6%, 121.0% 및 131.4%) 경우 보다 약간 크게 나타났다. 금불초 꽃 45 $^{\circ}C$ 추출물의 경우, 0.1%의 농도에서 염증유발 유전자인 TNF-${\alpha}$, COX-2 및 IL-1${\alpha}$의 발현율이 대조군 대비 각각 30.3%, 12.8%, 25.7%로 감소하였으며, 이는 상온, $65^{\circ}C$ 추출물과 비교하여 염증유발 유전자 발현 억제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로 볼 때, 금불초 꽃 추출물은 추출 온도에 따라 멜라닌 생성 억제, 히알루론산 합성 관련 유전자 발현 증가 효과, 염증유발 유전자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내며, 그로 인하여 피부에서 미백, 보습, 항염 효능을 통해 피부 항노화 효능을 가질 것으로 사료된다. 이는 금불초 추출물이 항노화 화장품 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