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hlich 3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2초

토양의 유효태 인산과 치환성 양이온의 다성분동시추출 분석방법 비교 (Comparison of Multi-element Extraction Methods to Determine Available Phosphate and Exchangeable Cations of Korean Soils)

  • 김명숙;양재의;김유학;윤정희;장용선;곽한강;하상건;현병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92-200
    • /
    • 2009
  • 과학영농과 친환경농업이 대두되면서 토양검정량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이에 대처하기 위해 신속하게 분석할 수 있는 분석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속 간편하게 분석할 수 있는 다성분동시 추출방법으로 개발된 Mehlich III법, Mod. Morgan법, Kelowna 법과 국내에서 사용 중인 유효태 인산 분석법인 Lancaster법, 치환성 양이온 분석법인 1M $NH_4OAc법으로 분석되는 분석치들 간의 상관관계를 검토하기 위하여 토양특성이 다양한 우리나라 농경지 115개소에서 토양을 채취하여 여러 가지 방법으로 화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성분동시추출 분석방법인 Mehlich III법, Mod. Morgan법, Kelowna법과 기존의 유효인산 분석방법인 Lancaster법과 치환성 양이온 분석방법인 1M $NH_4OAc법으로 추출한 분석치는 모두 고도로 유의한 직선적인 상관관계에 있었다. 유효인산은 Mehlich III법, Mod. Morgan법, Kelowna 법과 Lancaster법으로 추출되는 분석치간에 결정계수($R^2) 의 크기는 Mehlich III법($0.979^{***}$) > Kelowna법 ($0.977^{***}$) > Mod. Morgan법($0.553^{***}$)의 순으로 Mehlich III 법 이상관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Lancaster 법보다 토양 중의 인산을 평균적으로 28% 많이 추출하였다. 치환성 양이온에서도 화산회 토양에서 추출되는 나트륨 성분을 제외하고는 Mehlich III 법으로 추출되는 분석치가 1M $NH_4OAc법으로 추출되는 것과 가장 상관이 높았다. 따라서 ICP를 이용하여 유효인산과 치환성 양이온의 분석은 다성분동시추출방법인 Mehlich III법이 이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Comparison of Soil Testing Methods for Plant Available Phosphate

  • Kim, Myung Sook;Kwak, Han Kang;Kim, Yoo Hak;Kang, Seong Soo;Gong, Myung Suk;Zhang, Yong Seon;Yoon, Hong Bae;Lee, Chang Hoo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153-162
    • /
    • 2013
  • Most test methods for plant available soil phosphate are based on the extraction with a chemical solu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vailable phosphate of various tests at different soil phosphate levels.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as follows: i) Extracting capacities of soil phosphate tests - Mehlich III, Mehlich II, Bray I, Olsen, Kelowna, and Modified Lancaster(Mod. Lancaster) - were compared with that of Lancaster test for the soils collected from 32 paddy and 27 upland fields with various soil chemical properties. ii) Field trials on comparing to phosphate uptake by plant were accomplished by cultivating rice and corn plants in the pots filled with the soils. Available phosphate of Lancaster tes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ose of Mehlich III, Mehlich II, Bray I, Olsen, Kelowna, and Mod. Lancaster. In upland soils, available phosphates of all the tests were curvilinearly regressed with phosphate uptake by corn. The determination coefficients ($R^2$) of the regression equation between available phosphate in soils and phosphate uptake by plants were ranged from 0.861 (Mehlich III) to 0.741 (Olsen). In paddy soils, the available phosphate measured by Mehlich III and Lancaster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hosphate uptake by rice. In conclusion, Lancaster and Mehlich III tests could be used for predicting available phosphate in upland and paddy soils.

Identification of a Proper Phytoavailable Arsenic Extraction Method Associated with Arsenic Concentration in Edible Part of three Crops in Soils Near Abandoned Mining Areas

  • Yoon, Jung-Hwan;Kim, Young-Nam;Lee, Dan-Bi;Kim, Kwon-Rae;Kim, Won-Il;Kim, Kye-Hoo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497-508
    • /
    • 2017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correlations between concentrations of extractable Arsenic (As) with varying chemical solutions (0.1 M $Ca(NO_3)_2$, 0.1 M $(NH_4)2HPO_4$, 0.5 M EDTA, Mehlich 3, and 0.5 M $NaHCO_3$) and those of As in crops, and then to seek the most suitable soil extraction method for predicting the potential of As uptake in crops cultivated in soils contaminated with As. For a mesocosm experiment, pepper (Capsicum annuum L.), soybean (Glycine max L.), and rice (Oryza sativa L.) were cultivated for three months in pots containing soils taken from the arable areas near abandoned mines in Korea. Following the cultivation, soil pH and DOC significantly increased by treatments of lime and lime plus compost, respectively, while insignificant influences in changing total and all extractable As concentrations were found in all soils. Arsenic concentration in edible part of all crops considerably depended on the extractable As concentration in the soils, particularly with Mehlich 3. All extractable As concentrations in the soils of C. annuum and G. max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s concentration in their edible parts. For O. sativa, the extractable concentrations of Mehlich 3 ($R^2$: 0.18 at p: 0.006) and EDTA ($R^2$: 0.11 at p: 0.036) showed only marked relationships with As concentration in the edible part. These results may indicate that the Mehlich 3 and EDTA are soil extractants to determine phytoavailable As in soil that provide better prediction for As transfer from soil to crop.

몇가지 토양인산(土壤燐酸) 추출용액(抽出溶液)의 인산(燐酸) 발색방법(發色方法) 비교(比較) (Comparison of Color-developing Methods for Phosphorus Analysis in Various Extractants for Soil Phosphorus)

  • 윤정희;박백균;황기성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4-119
    • /
    • 1998
  • 토양(土壤)의 인산분석(燐酸分析)의 정확도(正確度)를 향상(向上)시킬 수 있는 인산 발색방법을 찾고자 인산농도(燐酸濃度)가 다른 Lancaster, Mehlich II, Mehlich III 추출액(抽出液) 그리고 증류수중(蒸溜水中)의 인산을 Amino - Naphtol -Sulfonic acid(ANS), Ascorbic acid (AA)-Antimony potassium tartarate 그리고 Ascorbic acid-Bismuth subcarbonate(AB) 법(法)등 3개(個) 발색정양법(發色定量法)으로 발색 정치시간(靜置時間)을 달리하면서 Hitachi U-2000 분광분석기(分光分析器)로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인산 발색정치시간을 0.5시간으로 고정하여 분석된 표준액의 인산값과 여러수준의 시간을 두고 분석된 각 시료용액의 인산값간의 상관관계에서 ANS방법을 사용한 경우 발색을 위한 정치시간이 경과 할 수록 색도가 높아져 1차회귀계수가 커졌으나 Ascorbic acid를 사용한 AA와 AB법은 3시간의 발색에서도 흡광도의 안정성을 보였고, 분석치의 변이계수도 ANS법보다 낮았다. 인의 검량범위는 ANS법이 가장 넓으나 저농도에서는 분석의 정확도가 낮고 AA와 AB법은 저농도에서도 정확도가 높았으며 AB법은 AA법보다 넓은 범위의 인 농도 측정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3종의 인산발색법중 수용성 인 분석에는 AA법이 가장 좋았고 시약으로 추출되는 인 분석에는 AB법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시설재배 토양의 유효인산 측정방법 비교 (Comparison of Determination Methods for Available-P in Soil of Plastic Film House)

  • 양원석;강성수;김기인;홍순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63-172
    • /
    • 2006
  • 충북지역 시설재배지로부터 1999년부터 2001년까지 토마토 재배시험에 25개 토양, 오이 재배시험에 8개 토양을 채취하여 작물의 인 흡수량에 대한 유효인산 검정방법들의 효율성이 평가되었다. 또한 이들 공시토양 이외에 시설재배 토양 38개를 추가한 71개 토양에 대하여 유효인산 침출방법들의 상호관계가 토양의 인흡수량 이외에 수용성, Lancaster, Olsen, Bray No 1과 No 2, Mehlich I과 III 등 8가지로 비교 평가되었다. 침출방법별 유효인산의 상호관계에 대한 평가에서 토양의 인산흡수량은 모든 침출방법의 유효인산 함량과 유의성 있는 부의 상관 (-0.57~-0.80)을 보였으며 그 이외 유효인산 침출방법들 간에는 고도로 유의성 있는 정의 상관 (r=0.81~0.96)을 보였다. 무비구 토마토 식물체에 의한 인 흡수량은 인산흡수량을 제외한 모든 유효인산 침출방법들과 유의성 있는 정의 상관 (1999년 4월 시험, r=0.49~0.76; 2000년 4월 시험, r=0.53~0.71; 2000년 10월 시험, r=0.59~0.68)을 보였으며 년차간 시험을 종합한 토마토 인 흡수량의 상대값은 모든 유효인산 검정법들과 매우 고도로 유의성 (p<0.0000001)있는 정의 상관관계 (r=0.64~0.73)를 보였으며 특히 Mehlich I 법과 III법이 가장 높은 상관계수를 그리고 Lancaster 법이 다음이었다. Cate and Nelson 분할방법으로 무비구 토마토의 상대적인 인 흡수량의 최대값에 해당되는 유효인산의 한계농도는 Mehlich III 법이 약 $1700mg\;kg^{-1}$, Lancaster 법이 약 $1,050mg\;kg^{-1}$, 그리고 수용성은 약 $95mg\;kg^{-1}$으로 추정되었다. 오이 식물체에 의한 인 흡수량은 Olsen 법이 가장 높은 상관계수 (r=0.62)를 보였으며 다음으로 수용성 (r=0.59) 및 Bray No 2법 (r=0.51)의 순이었다.

폐금속광산 중금속오염토양에서 억새를 이용한 식물안정화공법을 위한 토양개량제 선정 (Soil Neutralizer Selection for Phytostabilzation Using Miscanthus sinensis Anderss. in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of Abandoned Metal Mine)

  • 정문호;지원현;이진수;양인재
    • 자원환경지질
    • /
    • 제53권5호
    • /
    • pp.517-528
    • /
    • 2020
  • 본 연구는 폐금속광산의 중금속 오염 토양에서 억새를 이용한 식물안정화공법을 적용하기 위해 토양개량제 처리에 따른 토양내 중금속 이동성과 억새내 중금속 축적형태 등을 분석하여 적정 토양개량제를 선발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중금속 오염토양을 바닥재 1, 2%, 비산재 1, 2%, 폐석회+굴패각 1, 2%, AMDS 10, 20%, 퇴비 3.4% 등으로 처리하고, 비교를 위해 아무 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구에 억새를 식재한 후 6개월을 재배하였다. Mehlich-3에 의한 토양내 중금속 함량, 억새 체내 중금속 이동형태 등을 분석한 결과 AMDS 20%가 식물안정화공법에 가장 효과적인 개량제로 선정되었으며, 2순위는 AMDS 10%가 선정되었다. 폐석회+굴패각, 바닥재와 비산재도 식물안정화공법적용 효과가 대조구에 비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개량제 처리에 따라 일부 중금속의 토양내 유동성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여, 실제 사업 적용을 위해 사전에 대상지역의 토양오염 특성을 분석하여 현장특성에 적합하게 토양개량제를 선정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Study for Phytostabilization using Soil Amendment and Aster koraiensis Nakai in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of Abandoned Metal Mine

  • Jung, Mun-Ho;Lee, Sang-Hwan;Ji, Won-Hyun;Park, Mi-Jeong;Jung, Kang-Ho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627-634
    • /
    • 2016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select optimal soil amendments through analysis of heavy metal availability in soil and uptake to Aster koraiensis Nakai for forest rehabilitation of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of abandoned metal mine. A. koraiensis was cultivated for 6 months at contaminated soil with several soil treatments (bottom ash 1 and 2%, fly ash 1 and 2%, waste lime+oyster 1 and 2%, Acid mine drainage sludge (AMDS) 10 and 20%, compost 3.4%, non-contaminated natural forest soil, and control). The analysis results of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the soil by Mehlich-3 mehthod, growth and heavy metal concentrations of A. koraiensis showed that waste oyster+lime 1% and compost were more effective than the other amendments for phytostabilization. However, it is needed comprehensive review of factors such as on-site condition, slope covering to reduce soil erosion and vegetation introduction from surround forest for revegetation to apply forest rehabilitation.

비소 오염 토양의 복원을 위한 자철석과 바닥재 활용 (Remediation of As-contaminated Soil Using Magnetite and Bottom Ash)

  • 오세진;강민우;이종철;이훈호;노현석;전유권;김동진;이상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23-229
    • /
    • 2022
  • BACKGROUND: Mining activities, smelter discharges, and sludges are the major sources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to soil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iciency of magnetite and bottom ash derived from coal ash in remediating As-contaminated soil. METHODS AND RESULTS: An incubation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10 weeks. Magnetite and bottom ash at different rates and ratios were applied to each plastic bottle repacked with 1,000 g of dried As-contaminated soil. After 3-weeks of incubation, the concentrations of available As were measured by using Mehlich-3, SBET, and sequential extraction methods. All of the subjected soil amendments resulted in significant decreases in available As concentration compared to the controls. The addition of magnetite at the highest rate was the best to stabilize As in the soils; however, the values of As concentration varied with the extraction methods. CONCLUSION(S): To ensure the stabilization accuracy of heavy metals in soil, both single and sequential extractions are recommended. The magnetite derived from fly coal ash can also be applicable as a heavy metal stabilizer for the As-contaminated soil.

여러 안정화제가 산성 및 알칼리 토양에서 중금속 안정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arious Amendments on Heavy Metal Stabilization in Acid and Alkali Soils)

  • 김민석;민현기;김정규;구남인;박정식;박관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8
    • /
    • 2014
  • BACKGROUND: Recent studies using many amendments for heavy metal stabilization in soil were conducted in order to find out new materials. But, the studies accounting for the use of appropriate amendments considering soil pH remain incomplet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itial soil pH on the efficiency of various amendments. METHODS AND RESULTS: Acid soil and alkali soil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s were collected from the agricultural soils affected by the abandoned mine sites nearby. Three different types of amendments were selected with hypothesis being different in stabilization mechanisms; organic matter, lime stone and iron, and added with different combination. For determining the changes in the extractable heavy metals, water soluble, Mehlich-3, Toxicity Characteristic Leaching Procedure, Simple Bioavailability Extraction Test method were applied as chemical assessments for metal stabilization. For biological assessments, soil respiration and root elongation of bok choy (Brassica campestris ssp. Chinensis Jusl.) were determined. CONCLUSION: It was revealed that lime stone reduced heavy metal mobility in acid soil by increasing soil pH and iron was good at stabilizing heavy metals by supplying adsorption sites in alkali soil. Organic matter was a good source in terms of supplying nutrients, but it was concerning when accounting for increasing metal availability.

염기성 밭 토양에서 안정화제에 의한 엽채류, 근채류, 과채류 작물들의 중금속 전이 특성 (Effects of Amendments on Heavy Metal Uptake by Leafy, Root, Fruit Vegetables in Alkali Upland Soil)

  • 김민석;민현기;이상환;김정규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7권1호
    • /
    • pp.63-71
    • /
    • 2020
  • 토양에서 중금속 안정화를 위하여 여러 종류의 개량제들이 연구되어왔다. 그러나 알칼리 토양에서 개량제들의 영향과 그에 따른 작물 가식부로의 중금속 전이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알칼리 토양에서 농작물의 가식부를 대상으로 중금속 안정화 효율 및 중금속 전이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중금속으로 오염된 광산 인근 농경지 토양에 3종류의 안정화제 (석회석, 제강슬레그, 산성광산배수슬러지)를 각각 3%씩 현장에 처리하였다. 6개월의 aging 이후 배추 (엽채류), 청경채(엽채류), 마늘 (근채류) 그리고 고추 (과채류)를 정식하고 표준영농교본에 준하여 재배하였다. 화학적 평가를 위해 토양 내 중금속의 총함량과 Melhich-3 용액을 이용한 생물유효도를 검정하였다. 생물학적 평가를 위하여 작물들의 생산량과 중금속 흡수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산성광산배수슬러지 개량제의 유효도 저감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그에 따라 식물로의 중금속 전이 또한 감소하였다. 통계분석 결과 식물의 중금속 흡수를 설명하는 데에 있어 토양 내 중금속 총함량 보다는 생물유효도가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가능한 토양 환경의 관리, 안전한 농작물 생산, 그리고 중금속 흡수에 따른 인체 위해성 저감을 위하여 생물유효도에 기반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