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ga-Y Projects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19초

국내외 해․하저터널 건설 사례 분석 (Review of Subaqueous Tunneling Case Histories)

  • 최승범;이수득;김현우;전석원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4권2호
    • /
    • pp.120-130
    • /
    • 2014
  • 최근 전 세계적으로 여러 건의 대규모 해저터널 건설 사업이 완료되었거나 진행 혹은 계획 중에 있다. 우리나라 역시 한중, 한일 해저터널에 대한 기본 구상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동시에 국내 도서 지역을 연결하는 해저터널이 구상 단계에 있다. 국내 기술수준과 해저터널 건설이 갖는 파급효과를 고려할 때, 해저터널 관련 기술의 확보 및 개선이 요구되어진다. 이 논문은 사례연구를 통하여 해저터널이 갖는 특징과 국내외 해 하저터널 건설동향을 분석하였고 해저터널과 관련된 사고 발생 사례를 수집하여 이로부터 요구되는 관련기술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ndian Ports' Originated Container Traffic and Total Transshipments of Port of Colombo: A Granger Causality Analysis

  • Bandara, Sooriya;Ryoo, Dong-Keun;Ahn, Ki-Myung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357-364
    • /
    • 2018
  • Colombo noticeably became the most economical gateway to the Indian subcontinent, in terms of cost as well as time. The Colombo Port Expansion Project (CPEP) started commencement with the purpose of accommodating mega ships, under the long-term strategies of making Colombo the hub of South Asia.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ndian ports' originated container traffic, and total transshipments of the port of Colombo, and also to identify the nature of the causality between the two variables, evaluating Granger causality test results. It finds unidirectional causality from total transshipments of Colombo to Indian ports' originated transshipments in the port of Colombo. It suggested that ongoing port expansion projects, opening up for new markets and attracting new shipping lines in the port of Colombo, have generated significant impact on Indian ports' container traffic, via the port of Colombo. Findings would be valuable for future forecasting of container traffic in Colombo port and the policy-making process in the port as well.

석유화학 플랜트 EPC 사업의 진도율 산정표준의 제안 (A Standard Method for Progress Measurement in a Petrochemical Plant EPC Project)

  • 조홍연;유호선
    • 플랜트 저널
    • /
    • 제7권4호
    • /
    • pp.77-87
    • /
    • 2011
  • In proportion to continuing growth of overseas plant market and the trend of its mega scale of the project, the importance of management is significantly emphasized for the successful execution of the project. And it is recognized that progress control is the most important management item amongst the others in the management. Progress control is importance of progress measurement for performance measurement and process control of project, but it is hardly obtainable securing the objectivity in the progress measurement since the progress measurement are being applied differently in accordance with the project conditions and the experience level of the person in charge for the progress control. This study has conducted as following to propose a standard method for progress measurement in a petrochemical plant protect. Domestic and overseas plant projects are investigated variously with the applied method of progress measurement, and the deduced problem of progress measurement. And then standard method for progress measurement of engineering, procurement, construction and commissioning has been proposed according to comparison and analysis of practices in domestic & overseas plant project, procedures for progress control in the globally reputed petrochemical client, company rules and recommendation of the expert in progress control.

  • PDF

석유화학 플랜트의 효율적 배관자재 관리를 위한 코드분류체계 개선 (Improvement of the Code Classification Structure in Piping Material Management for Petrochemical Plant Projects)

  • 이종필;문윤재;이재헌
    • 플랜트 저널
    • /
    • 제11권1호
    • /
    • pp.39-49
    • /
    • 2015
  • 본 연구는 석유화학 플랜트 설계, 구매 시공에 직간접적으로 많은 영향을 주는 배관자재의 관리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자재 코드 및 자재관리 시스템의 근간이 되는 배관자재 코드 분류체계를 개선하였다. 기존 배관자재 코드 분류체계를 개선하기 위하여 내재된 문제점을 자세히 파악하고 국내외 대형 EPC 기업의 배관자재 코드 분류체계 특징을 조사하였으며, 최근 대형화, 전문화 되어가는 프로젝트의 특성을 고려하여 개선 방향을 설정하였다. 배관 자재별 특성에 맞는 코드분류체계를 정의하고, 표준 속성을 추가하고, 신규 자재 및 재질을 고려한 코드 자릿수 확장 및 계층적 분류 구조를 통하여 효율적 배관 자재관리를 위한 배관 자재 코드 분류체계의 개선 구조를 도출하였다. 개선된 배관자재 코드 분류체계를 수행중인 프로젝트에 적용한 결과, 자재 구매사양서의 재 작업률이 평균 4.98%에서 2.48%로 감소하였으며, 3차원설계에서 요구되는 배관 형상 구축 작업시간이 기존 평균 작업인원 2명이 6개월 소요 되었으나, 1명이 4개월로 67% 감소 효과를 가져왔다. 또한 피라미드 코드 구조를 통하여 전사 자재관리 시스템과 연동되어 구매, 견적 등 유관 부서에서 다양한 데이터를 축적하고 내부 경영관리 의사결정을 위한 프로젝트 분석에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 PDF

해외 건설공사 공기지연사건의 합리적 대응을 위한 계약조건 리스크 평가 방법 (Risk Assessment Model for the Delay Protocol in the Conditions of Contract of International Construction Projects)

  • 이황구;신동우;김경래;차희성;김영재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65-77
    • /
    • 2017
  • 최근 대형 건설회사의 해외시장 비중 확대와 함께 해외 프로젝트에서의 공기지연에 따른 경영 손실에 대한 이슈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대형 프로젝트의 수행 과정에서 변경은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대부분의 변경은 공기지연과 연결되기 때문에 변경으로 인하여 공기연장이 필요한 경우 건설사는 계약에서 정한 기준에 따라 공기지연을 관리해야 공기지연에 따른 리스크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공기지연을 유발하는 변경에 대한 계약적 대응이 부족할 경우 클레임이 해결되지 않고 분쟁으로 확대되는 경우가 많다. 프로젝트 초기 단계에 계약에서 요구하는 공기지연 관리 절차와 방법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나 이에 대한 방법 및 도구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주요 건설사들의 공정관리 실무 및 해외 공사에서의 클레임 및 분쟁사례에 대한 고찰을 통해 문제를 제시하고 해외 건설 계약조건상에 포함된 공기지연 관리 리스크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공기지연의 합리적 대응과 관련된 계약조건상의 리스크 평가 틀을 제시하기 위하여 FIDIC Red Book(1999), PSSCOC(2014) 및 SIA 9th Edition(2010) 등 국제 표준 계약조건 뿐만 아니라 ARAMCO 및 QP를 포함한 해외 대형 발주자의 표준계약조건에 나타나 있는 공기지연 관리 요건 및 수준을 검토하여 전체 7개 영역, 62개 항목으로 구성된 계약조건 리스크 평가모델을 제안하였다. 계약조건 리스크 평가 모델은 계약조건상의 공기지연리스크 확인을 위한 구조적 틀을 제공하며 개별 리스크 항목별 표준적인 수준을 제시함으로써 해당 프로젝트의 리스크 수준을 확인하고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한다. 제안된 모델의 유효성 검증을 위하여 실제 제안한 모델을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입증하였다.

환경친화적 도시 조성을 위한 정책평가체계에 관한 연구 - 저부하형 도시 조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olicies Evaluation Framework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City)

  • 윤소원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8-16
    • /
    • 2003
  • In terms of climate change communities have only during the 1990s begun to recognize that all greenhouse gas(GHG) emissions are directly or indirectly generated locally, through acts of agency, production or consumption. This has provided a boost to the role of local places in the debate since GHGs can be allocated and made understood locally and hence form the basis for specific policies, programs, plans and project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define a framework for making Environmentally Friendly City through enhancing integrated energy-urban policies and present framework to do comprehensive evaluation on energy related policies response and also explore the interrelation between energy related activities in each sector and policy and applies to Seoul mega city in Korea. Despite the growing recognition of the seriousness of urban environmental problems and their contribution to global environmental and social concerns, most analysts continue to study cities in parts rather than as a whole; we study sectoral sub-systems such as transport, air pollution or energy. While specialization is useful for detailed thinking, we also need to see each issue in the context of how each city works environmentally, economically, socially and politically. We therefore need integrative approaches to study of cities and need to understand how they function as systems. These framework presented in this study allows an organized and systematic analysis. These research results can provide useful, credible and timely input into the urban planning process. This study will be a helpful exercise to draw some policy implications of other cities in Korea and also East Asia that are in a similar stage with the these cities and developing plans on how to address them.

콘크리트 생애주기 품질관리를 위한 QR 코드 기반 강도 라벨링 기술 (QR Code-Based Strength Labeling Techniques for Concrete Life-Cycle Quality Maintenance)

  • 김태헌;김동진;박승희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3권5호
    • /
    • pp.603-608
    • /
    • 2011
  • 국내외적으로 수주량이 증가하고 있는 대형 구조물의 건설 시 보다 정밀한 시공 및 유지관리 기술이 요구 된다. 그 중 콘크리트의 강도는 대표적인 품질관리 변수 중 하나로, 정확한 강도 값의 측정 및 이력관리는 건설 프로세스에서의 공기단축을 통한 비용 절감 및 효율적인 시공관리를 위해 매우 중요한 요구 사항이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시대에 적합한 건설시공기술로의 발전을 위해 최근 개발된 임베디드 자율 감지형 콘크리트 강도 모니터링 기술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를 QR(quick response)코드와 연동시키는 콘크리트 강도 라벨링 기술을 소개한다. 이를 통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 이력 DB를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다 정밀하고 경제적인 시공 및 유지관리할 수 있는 차세대 콘크리트 생애주기 품질관리 시스템으로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고찰해본다.

Elasto-plastic time history analysis of a 117-story high structure

  • Wu, Xiaohan;Li, Yimiao;Zhang, Yunlei
    • Computers and Concrete
    • /
    • 제19권1호
    • /
    • pp.7-17
    • /
    • 2017
  • In Chinese Design Codes, for super high-rise buildings with complex structural distribution, which are regarded as code-exceeding buildings, elasto-plastic time history analysis is needed to validate the requirement of "no collapse under rare earthquake". In this paper, a 117-story super high-rise building is discussed. It has a height of 597 m and a height-width ratio of 9.5, which have both exceeded the limitations stipulated by the Chinese Design Codes. Mega columns adopted in this structure have cross section area of about $45m^2$ at the bottom, which is infrequent in practical projects. NosaCAD and Perform-3D, both widely used in nonlinear analyses, were chosen in this study, with which two model were established and analyzed, respectively. Elasto-plastic time history analysis was conducted to look into its seismic behavior, emphasizing on the stress state and deformation abilities under intensive seismic excitation.From the comparisons on the results under rare earthquake obtained from NosaCAD and Perform-3D, the overall responses such as roof displacement, inter story drift, base shear and damage pattern of the whole structure from each software show agreement to an extent. Besides, the deformation of the structure is below the limitation of the Chinese Codes, the time sequence and distribution of damages on core tubes are reasonable, and can dissipate certain inputted energy, which indicates that the structure can meet the requirement of "no collapse under rare earthquake".

통합설계관리의 개념적 틀 및 역량강화 요소 - 건축과 플랜트를 중심으로 - (Framework and Core Competency of Integrated Design Management (IDM))

  • 김예솔;정영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22-133
    • /
    • 2014
  • 최근 해외공사 수주 증가 및 건설산업의 발주방식의 변화로 인해 관리 범위가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기획단계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를 위해 설계, 구매와 관련한 업무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그에 따른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설계관리는 설계단계에 국한되어 성과품의 품질을 위한 관리에 치중해 있었으며, 건설생애주기를 포괄하여 정의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따라서 포괄적인 관점에서의 설계관리 개념, 범위 그리고 활용 방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통합설계관리의 개념과 역할을 명확하게 정의하기 위한 개념적 틀(Framework)을 제안하고, 이러한 개념 요소를 바탕으로 향후 발전 방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플랜트와 건축의 사업특성을 비교하여 실무에서 가장 관심이 높다고 판단되는 건설사업관리 기법 네 가지(공정원가 통합관리, 설계관리, 형상관리 그리고 인터페이스관리)를 선정하였으며, 그 개념 및 활용 범위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설계관리 선행연구 문헌을 조사함으로써 설계관리의 포괄적인 의미 변화와 발전 방향의 모색을 통한 통합설계관리의 틀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이에 대한 타당성 및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각 건설사업관리 기법 등 상관관계 및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으며, 현장 방문 및 전문가 인터뷰를 통하여 제시된 현황 분석 및 개념 요소에 대한 우선순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플랜트와 대형 건설 사업에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통합설계관리 구현을 위한 우선순위 선정과 전략적인 활용 방안으로서 설계관리를 위한 효과를 기대한다.

비정형 건축물 공사의 생산성 분석 및 향상방안 - 노출콘크리트 공사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and Improvement of Free Form Building's Construction Productivity - Focused on Exposed Concrete Work -)

  • 이은영;김예상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38-46
    • /
    • 2014
  • 2007년 독일의 건축 잡지 바우넷에서 선정한 세계 5대 설계사들의 2006 ~ 2010년 설계한 전체 설계 중 25%가 비정형 건축물로, 비정형 건축물은 도시, 국가의 랜드마크로서 그 사회적, 경제적 파급효과가 매우 크다. 국내 또한 인천세계도시축전 기념관, 킨텍스 제2전시관, 동대문디자인 플라자 등 비정형 건축물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설계 트렌드 및 증가하고 있는 비정형 건축물의 수요에 반해 이를 충족할 만한 비정형 건축 프로젝트의 설계 및 시공 관리 경험 부족으로 인해 비정형 프로젝트는 수익성을 기대하기 어렵고, 완공 후에도 많은 문제들이 부각되고 있다. 특히 국내 인력의 비정형 프로젝트 수행 경험부족으로 인해 불확실한 공사비 예측, 설계 과다변경 등으로 인해 완공 후에도 품질 문제를 비롯한 공사비 상승 관련 문제들이 계속 발생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비정형 건축물의 특성을 고려하지 못한 초기 계획은 프로젝트 수행 시 실제와 그 차이가 커 프로젝트 관리 리스크로 작용하지만 아직 비정형 건축물 프로젝트 관련 실적자료나 사례분석 자료 구축은 미비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정형 건축물 공사 중 생산성이 낮은 공종을 선정하여 작업 프로세스 분석 및 실제 현장 생산성 자료 분석을 통해 실질적인 생산성 자료 구축 및 비정형 건축물 공사 생산성 향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