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cal network

검색결과 1,666건 처리시간 0.024초

Multimedia network system

  • Fukuda, Toshio;Arai, Fumihito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6년도 Proceedings of the Korea Automatic Control Conference, 11th (KACC); Pohang, Korea; 24-26 Oct. 1996
    • /
    • pp.13-16
    • /
    • 1996
  • Based on the technical innovation of the recent communication system technologies, systems are linked by the worldwide network. We introduce some examples of the multimedia network systems. Especially, we introduce our recent attempt to realize the multimedia tele-surgery system using high speed optical fiber network. At first, we shows 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multimedia tele-surgery. We applied this idea to the intravascular neurosurgery. System configuration for the prototype experiments and experimental results are shown.

  • PDF

Expression Profile of Neuro-Endocrine-Immune Network in Rats with Vascular Endothelial Dysfunction

  • Li, Lujin;Jia, Zhenghua;Xu, Ling;Wu, Yiling;Zheng, Qingsha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8권2호
    • /
    • pp.177-182
    • /
    • 2014
  •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endothelial function and neuro-endocrine-immune (NEI) network through observing the changes of NEI network under the different endothelial dysfunction models. Three endothelial dysfunction models were established in male Wistar rats after exposure to homocysteine (Hcy), high fat diet (HFD) and Hcy+HF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endothelial dysfunction in all three models with varying degrees. However, the expression of NEI network was totally different. Interestingly, treatment with simvastatin was able to improve vascular endothelial function and restored the imbalance of the NEI network, observed in the Hcy+HFD group. The results indicated that NEI network may have a strong association with endothelial function, and this relationship can be used to distinguish different risk factors and evaluate drug effects.

의료센터의 애드혹망에서 뇌파전송 성능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Transmitting Brainwave Signals in Ad-Hoc Network at Medical Center)

  • 조준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216-222
    • /
    • 2010
  •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무선 애드혹망 기술은 컴퓨터과학과 건강관리 응용산업에서 가장 중요한 분야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유비쿼터스 건강시스템은 또한 실시간으로 비상상태의 경고기능을 제공해준다. 이러한 기능은 봉사자들의 수를 줄여줄 뿐 아니라 만성적인 병자와 노인들을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다. 시스템의 응용을 위하여 효과적이며 적절한 네트워크 시스템은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환자 노드가 지속적으로 뇌파를 측정하여 병원에 위치한 서버로 전송하는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을 제안한다. 그리고, 이동노드들의 다양한 이동성과 토폴로지로 구성된 네트워크 시스템들을 옵넷 시뮬레이터로 시뮬레이션을 하고 평가할 것이다.

Mobile u-healthcare system in IEEE 802.15.4 WSN and CDMA network environments

  • 토싱후이;이승철;이훈재;도경훈;정완영
    • 센서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337-342
    • /
    • 2009
  • This paper describes a robust mobile u-healthcare system with multiple physiological signs measurement capability in real time with integration of WSN(wireless sensor network) technology and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network. A cellular phone receives health data in WSN and performs local physiological signs analysis at a phone processor, and then transmits abnormal data to server for further detail or precise health signal evaluation by a medical doctor over a CDMA network. Physiological signs of the patients are continuously monitored, processed and analyzed locally at cellular phone process to produce useful medical information for diagnosis and tracking purposes. By local simple analysis in cellular phone processor we can save the data transmission cost in CDMA network. By using the developed integrate ubiquitous healthcare service architecture, patients can realize self-health checking so that the prevention actions can be taken earlier. Appropriate self-monitoring and self-management can cure disease and relieve pain especially for patients who suffer from chronic diseases that need long term observation.

DDS 미들웨어 기반 병원 전산망 PACS 데이터의 전송 (PACS Data Transmission in Hospital Network Based on DDS Middleware)

  • 김남호;이석환;최창열;권기룡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290-301
    • /
    • 2013
  • 의료 치료를 지원하는 병원 전산망에서 PACS 데이터의 효과적인 전송이 요구된다. 그러나 한정된 전산망과 PACS 데이터의 크기 증가에 따라 진료 시간에 네트워크 과부하가 자주 발생되며, 이는 진료를 방해하는 주요 요소가 된다. 네트워크 트래픽 문제는 적응적인 QoS에 의하여 해결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병원 전산망 상에서 멀티미디어 PACS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QoS 아키텍쳐 기반의 미들웨어를 설계한다. 가상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안한 QoS 기반 미들웨어가 기존의 병원 네트워크에 비하여 음성, 영상 우선순위 데이터의 QoS를 보장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Medical BAN 기술 동향

  • 이형수
    • 한국전자파학회지:전자파기술
    • /
    • 제19권5호
    • /
    • pp.104-109
    • /
    • 2008
  • MBAN(Medical Wireless Body Area Network)은 인체 내부에 이식한 장비를 인체 외부에서 모니터링하는 인체 이식형 의료 분야와 인체 표면이나 $3{\sim}5$미터내 인체의 주변에서 일어나는 신체 부착형 의료분야로 정의할 수 있다. 본 고에서는 기존 MBAN으로 사용하고 있던 무선장비들에 대한 각국의 기술 개발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인체 내부와 외부에서의 가장 큰 특성인 인체 전파 특성에 대해서도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IEEE에서 표준화 작업중인 WBAN(Wireless Body Area Network)의 개념과 추진 상황과 더불어 현재 검토 중인 주파수 대역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Medical Image Authentication over Public Communication Networks using Secret Watermark

  • Oh Keun-Tak;Kim Young-Ho;Lee Yun-Bae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2권3호
    • /
    • pp.167-171
    • /
    • 2004
  • The evolution of modern imaging modalities, followed by the rapid development of computer technology has introduced many new features in the communication networks used in medical facilities. Since it is very important to keep patient's record accurately, the ability to exchange medical data securely over the communication network is essential for any medical information. In this paper, therefore, we introduce some problems which occur from digitizing medical images such as 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CT (Computed Tomography), CR(Computed Radiography), etc., and then we propose a authentication mechanism for medical image verification using secret watermark images.

Refined Fuzzy ART 알고리즘을 이용한 한방 자가 질병 분류 시스템 (Self-Diagnosing Disease Classification System for Oriental Medical Science with Refined Fuzzy ART Algorithm)

  • 김광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1-8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질병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부족한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자신의 건강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퍼지 신경망 기법을 이용한 한방 자가 진단 질병 분류 시스템과, 자택에서 간편하게 전문의의 진료상담을 받을 수 있는 원격 진료 시스템을 통합한 홈메디컬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한 한방 자가 진단 시스템은 72가지 한방 질병과 각 질병에 대한 증상을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구축된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기반으로 퍼지 신경망 기법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질병을 도출한다. 본 논문의 자가 진단 방법은 사용자가 자신의 대표 증상을 제시하면 해당 증상을 포함하는 질병들을 도출하고, 도출된 질병들의 세부 증상들을 사용자가 입력 벡터로 제시하면 퍼지 신경망 기법을 적용하여 세부 증상에 대한 질병들을 클러스터링한 후, 세부 증상에 대한 질병의 소속 정도를 제공한다. 제안한 원격 진료 시스템은 사용자와 전문의가 모두 로그인을 통하여 접속하게 되면 서버에 클라이언트의 정보가 송신되고, 사용자는 서버에서 전문의의 접속 현황을 전달받아 원하는 전문의와 동화상으로 원격 연결되어 전문의의 진료 소견을 받는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템을 한의학 전문의가 분석한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템이 한방 질병의 보조 진단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의학전문대학원생의 '좋은 의사'에 대한 인식 구조 분석 (Structural Analysis of the Graduate Medical School Student's Perception about 'Good Doctor')

  • 유효현;이준기;신세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631-638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의학전문대학원생들의 좋은 의사에 대한 인식 구조와 임상실습을 경험하기 전과 후의 인식구조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발전적인 의학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의학전문대학원에 재학 중인 1~4학년 학생이었고, 언어네트워크 프로그램인 NetMiner 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임상실습 경험 전과 후의 학생들이 좋은 의사를 표현하는데 사용한 단어들이 많은 부분이 유사하였지만 특히 '환자', '치료', '실력', '마음' 등의 단어를 많이 사용하였고, '환자'는 공통적으로 가장 높은 연결정도중심성을 나타냈다. 네트워크의 밀도와 평균 연결정도중심성은 임상실습 경험 전 학생보다 임상실습 경험 후 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임상실습 전과 후 학생들의 네트워크에서는 공통적으로 '진단 및 치료', '의료커뮤니케이션', '환자에 대한 태도', '의학지식', '기초역량' 5개의 그룹이 나타났다. 임상실습 후 학생의 경우, '평생학습' 그룹이 추가되어 6개 그룹이 나타났다. 최근 의학교육에서 사회적 책무성, 전문직업성, 의료인문학 등을 강조하는 추세에 비추어볼 때 아직 학생들의 좋은 의사에 대한 인식구조에는 부족한 부분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에 대한 교육이 좀 더 체계적으로 강화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