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cal Technician

검색결과 244건 처리시간 0.024초

응급의료종사자가 인식하는 병원 내 응급구조사의 이미지 (대전, 충남 3차의료기관 중심으로) (Images of Hospital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Perceived by Emergency Medical Service Providers (Focusing on tertiary medical institutions in Daejeon and Chungcheongnam do))

  • 한송이;배기숙;김진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373-379
    • /
    • 2012
  • 본 연구는 대전 충남 소재 3차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응급의료종사자(의사, 간호사) 122명을 대상으로 병원 내 응급구조사의 이미지를 조사하였다. 병원 내 응급구조사의 이미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를 실시한 결과, 이미지는 $3.27{\pm}0.34$점이었다. 영역별로는 전문적 이미지가 가장 높았고, 역할 이미지가 가장 낮았다. 문항별로는 '의사와 우호적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가 가장 높았고, '잘난 체하고 업무 수행을 소홀히 한다.'가 가장 낮았다. 병원 내 응급구조사의 이미지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응급구조사가 환자와 동료에게 진정성 있는 태도로 일관해야하며, 전문직으로서 직업의식을 고취시키고, 응급구조사의 고유 업무와 역할을 충실히 해내야 할 것이다. 또한 전문 직업인으로서의 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도록 협회 차원의 홍보와 대책이 마련되어져야 할 것이다.

응급구조과 학생의 병원감염 표준주의에 대한 인지도와 수행도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Students'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in Hospital Infection Control)

  • 최성수;윤성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262-2270
    • /
    • 2013
  • 이 연구는 임상실습을 실시하면서 병원감염에 노출되어 있는 응급구조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병원감염관리 표준주의 지침의 인지도와 수행도를 파악함으로써 감염예방과 노출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실천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병원감염관리 표준주의 인지도에 비해 수행도가 낮은 결과를 보였고, 인지도와 수행도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r=0.325, p=0.000). 향후 응급구조과 학생들의 병원감염관리 수행도를 증진 시킬 수 있도록 교과과정과 실습기관에서의 지속적인 교육프로그램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구급출동지령서 개선을 통한 구급대원 현장 도착시간 단축방안 (Improvement Strategies of Arriving Time to the Scene by Enhancing EMTs' Recognition of Triage)

  • 오원신;정석환;윤명오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5-52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is to enhance the survival rate of patients by transporting them to the hospital within the golden hour through the operational improvement of emergency dispatch instruction. To this end,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current operating system were derived by carrying out a survey against paramedics of Incheon city in 2012 and analyzing the current emergency dispatch instruction. This study analyzed the emergency activity daily reports for one year from January 1 through December 31, 2012 and researched the consciousness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survey,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on-site arrival times per triage. Therefore, the item of 'Emergency Classification' specified in the emergency dispatch instruction needs to be integrated in the scheme of "triage". Also, the feedbacks of the emergency action log and the emergency dispatch instruction are necessary for 'duty for operation' to review the adequacy to the severity after the end of emergency operation. Finally, the improvement of the system for the continuous communication between the paramedics and the command staff is necessary. This improvements as stated above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raise survival rate of patients.

노인요양시설에서 노인수발 담당자의 응급처치에 대한 교육수요도 조사 - 일개 도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Need for Emergency Care Education in Nursing Homes)

  • 엄동춘;성시경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3-61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need for education for emergency care in nursing homes. Method: 312 people who were engaged in caring for the elderly at nursing homes in D-metropolitan c! ity answered the questionnaires about the experiences, the need, and the ideal methods of education for basic emergency care, from Jul. 1. 2007 to Jul. 30. 2007. Result: 69.9% were female. Only 7.1% were nurses and the rest did not have majors in the medical field. 83.0% had experienced education for emergency care, and 89.2%, 78.4% and 44.8% of them had been educated about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irway obstruction care, and fracture/sprain/dislocation care respectively. Fifty-three who had not experienced education answered 'no opportunity' as a cause of non-education. The need for emergency care education was 4.53/5.00, and the desire to receive education was 2.81/3.00. Mainly workers wanted to be educated abo! ut airway obstruction (88.1%), and breathing assistance & cardiac massage (72.4%). Workers preferred to be educated 1-2 times per year for 2-3 subjects, through programs including both lecture and practice. Conclusion: It is essential to create an adequate program and apply it to the people engaged in caring for the elderly.

병원에 종사하는 의료기사 직종의 전문직업성과 조직성과 (The Medical Professionalism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Medical Technician in Hospital)

  • 임정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910-920
    • /
    • 2013
  • 본 연구는 35개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에 종사하는 물리치료사, 방사선사, 임상병리사, 작업치료사 437명을 대상으로 전문직업성이 조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의료기사 직종 종사자들의 전문직업성은 직업에 대한 가치 구성변수 중 직무수행능력과 직무의미성 보수의 적절성 직무자율성이 성별과 연령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직무에 대한 영향력은 연령에 따라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조직성과 측정변수인 직장에 대한 애착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변수는 직업에 대한 가치 변수중 보수의 적절성이었다. 셋째, 직무특성 중 현 병원 근무년수가 높을수록 직장에 대한 애착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직종별로 살펴본 결과, 의료기사 직종의 조직성과(직장에 대한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전문직업성 변수들은 의료기사 직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일개지역 전문대학 보건행정과 학생들의 전공 만족과 향후 진로 선택의 상관성 (Correlation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Further Career Choices of th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Health Administration College)

  • 이여진;신준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725-733
    • /
    • 2012
  • 본 연구 대상은 광주 전남 보건행정학과 대학생으로 전공과 만족을 일반, 관계, 인식, 교과만족도에 따라 만족도를 파악하고 향후 진로 선택과 상관성을 설문을 통하여 조사 하였다. 광주광역시 3곳, 전라남도 4개의 전문대학 대학생 270명을 편의 추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대상자 중 향후 전공 진로를 의무기록사로 선택하고자 하는 대상자가 가장 많았으며, 그 중 62.4%가 전공과에 만족하였고, 향후 진로별로 전공 만족도는 차이가 있었으며, 의무기록사를 선택하고자 하는 학생들이 타 전공 진로를 선택하고자 하는 학생에 비해 전공과 만족이 높았다. 보건행정학과 학생의 전공 진로 선택에 전공 만족이 미치는 영향 요인 중 일반적인 특성에서 3학년에 비해 2학년의 전공 만족도가 4.13배 높았고, 입학 당시 비자발적으로 선택한 그룹에 비해 자발적으로 전공(학과)을 선택한 그룹의 전공만족도가 8.04배 유의하게 높았다. 전공 만족 하위 영역 중 전공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인식 만족도가 하인 그룹에 비해 상인 그룹에서 전공 만족도가 3.93배 유의하게 높았다. 전공과 만족이 향후 진로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로지스틱 분석한 결과 전공 진로를 의무기록사로 선택하고자 하였을 경우 의무기록사를 선택하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전공 만족도가 2.06배 유의하게 높았고, 비자발적으로 선택한 의무기록사 그룹보다 자발적으로 선택한 의무기록사 그룹에서 전공만족도가 4.51배 유의하게 높았다. 전공과 만족 및 향후 진로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전공 만족 하위영역 중 인식 만족도가 높을수록 전공과 선택에 만족하며, 진로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을 때 진로 선택과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 진로가 다양한 보건행정 학과 특성을 고려한 각 전공 진로별 전공 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119구급대원에게 시행한 일개 응급의료정보센터의 직접의료지도에 관한 분석 (Analysis of direct medical control conducted to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in an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center)

  • 서하얀;이경열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9-43
    • /
    • 2012
  • Purpose : The goal of the present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to medical control which is the most important improving factor of pre-hospital medical treatment. Method : A total of 749 records of direct medical control were collected from 119 EMTs in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center of Daejeon, Chungcheongnam-do and Chungcheongbuk-do from March 1, 2010 to February 28, 2011. Results : The 119 EMTs should record the level of qualification of EMT and general patient history taking precisely when they receive direct medical controls. The doctors should take medical controls within the task range of qualification of EMTs. Conclusion :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guideline of medical direction and protocol of prehospital emergency care. The quality improvement of pre-hospital emergency services will be possible by the guideline and protocol.

산업 현장의 기술 지원 AR 협업 서비스 플랫폼 설계 및 구현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R Collaboration Service Platform for Technical Support in Industrial Sites)

  • 한성일;이대식;유영모;이상윤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1-11
    • /
    • 2021
  • In this paper, we explain the purpose of building a mobile app called "ARnetView" that can use the AR(augmented Reality)based calling function and AR based content creation function, and as well as an AR based data center that can share AR based video streaming and AR based contents on smartphones and tablet devices. For the AR(Augmented Reality) based data center implement, we have developed a mobile application and implemented a service system including an AR(augmented Reality) based calling function and AR based content production and AR based video streaming functions for real-time communication to connect a field technician and an expert so that the expert can see and discuss the situation in the field and technician and experts, they can draw digital annotation on mobile screen that accurately stick to 3D physical objects, allowing the expert to guide the technician step by step. In result, it provides a remote technical collaboration environment between field technician and expert. In addition, AR(Augmented Reality) collaboration service Platform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to increase work speed, efficiency, and utilization of advanced technicians, improve continuous productivity of equipment and facilities, maximize equipment and facility utilization, and strengthen industrial competitiveness. Therefore, through this, the AR collaboration service Platform can be applied to the industrial field, the medical field, and the entertainment/education field.

심장 혈관계 시스템의 교육 모형 고안 (The Design of Cardiovascular System Model Equipment for Education)

  • 원도연;정홍문;정재은;이준하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117-121
    • /
    • 2014
  • 심장의 모양 및 혈관에 관한 의료학적 지식습득은 의료인 및 의료기사들과 같은 의료전문인들에게는 필수적 요구사항이다. 심장의 모형을 통한 의료지식의 습득은 환자의 생명과도 직결되는 중요한 사항이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의료지식이 필요하다. 따라서 심장모양 및 심장혈관질환에 대한 다양한 의료교구재의 연구 및 개발이 필요하다. 이번 연구에서 만들어진 심장 및 심장혈관의 투시 모형장비를 사용하여 심장 혈류의 투시조영시의 볼 수 있는 방사선학적 사진 영상을 미리 습득할 수 있으며, 또한 투시 조영 중 환자의 자세의 따른 심장의 위치와 모형을 미리 예측해 볼 수도 있다. 결론적으로 우리가 고안한 심장혈관 투시 장비를 사용하여 심장혈관의 해부학적 지식을 미리 습득함으로서 면허 취득 후에 임상생활에 있어서의 심장혈류에 관한 정확한 이해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의학전문직업성의 개념과 발전 방향 (The Concept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Medical Professionalism)

  • 권효진;이영희;안덕선
    • 의학교육논단
    • /
    • 제14권1호
    • /
    • pp.7-10
    • /
    • 2012
  • This paper summarizes the concept of medical professionalism and presents its direction. Toward this end, the authors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a professional with those of a craftsman and a technician. The authors describe the construct of medical professionalism on the assumption that knowledge and technical competence are necessary but not sufficient conditions for the professional. The construct of medical professionalism could be defined variously, depending on the time, place, or collectivity. The authors furthermore summarize cases for the development process of medical professionalism and then compare Korean medical professionalism with that of the West. Finally, the authors presen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medical professionalism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