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ating Effect

검색결과 4,284건 처리시간 0.036초

대학생의 부모됨의 동기와 부모됨의 의미 간의 자아존중감과 감정이입의 매개효과 검증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Empathy on Motivation for Parenthood and Definition of Parenthood)

  • 염행철;조성연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55-567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empathy on university students' motivation for parenthood and their definition of parenthood. Participants were 1,492 students (male 581, female 898) from 19 universities throughout Korea. Results were: (1) The definition of parenthood was explained for motivation of parenthood (male $7{\sim}27%$, female $4{\sim}24%$) and empathy was explained for all the subfactors of motivation of parenthood except 'motivation for traditional norms' (male $4{\sim}16%$, female $2{\sim}13%$). Self-esteem was not explained as motivation of parenthood. (2)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from self-esteem on motivation for parenthood or the definition of parenthood in any of the students. (3)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empathy on motivation of parenthood and the definition of parenthood. In male students, there were mediating effects in 'motivation for strengthening biological family ties', 'altruistic emotional motivation', and 'motivation for deepening marital bonds and perpetuating one's self'. In female students, there were mediating effects in 'motivation for strengthening biological family ties' and 'motivation for deepening marital bonds and perpetuating one's self'.

  • PDF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공감의 매개효과 (The Impact of Childcare Teachers' Adult Attachment on Teacher Efficacy: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y)

  • 이진숙;김태연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1-37
    • /
    • 2024
  • Objective: This study explores the correlation between adult attachment, empathy, and teacher efficacy among childcare teachers. Additionally, it analyzes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teacher efficacy. Methods: The survey, conducted from July to August 2023, involved 198 childcare teachers as participant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3.0 and the Process Macro. Results: First,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identified between childcare teachers' adult attachment (avoidance) and empathy, as well as between adult attachment (avoidance) and teacher efficacy among childcare teachers. Second, the study observ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empath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voidance) and teacher efficacy. In essence, this research confirmed both the direct effect of avoidance attachment in childcare teachers on teacher efficacy and the indirect effect mediated by empathy. Conclusion/Implications: This research affirms the impact of adult attachment and empathy on teacher efficacy among childcare teachers, discussing implications for future training and development.

결혼불만족과 외로움, SNS중독의 관계 - 사회자본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Relationship among Marital Dissatisfaction, Loneliness and SNS Addiction -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

  • 김남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9권1호
    • /
    • pp.223-254
    • /
    • 2017
  • 본 연구는 기혼자의 결혼불만족이 외로움을 통해 SNS중독에 미치는 매개효과가 연구 대상자가 지각하는 사회자본의 크기 및 구성 장면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지, 즉 조절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 20~40대 성인 기혼 남 녀 714명이다. 온라인 전문 리서치회사에 자료 조사를 의뢰해 인구통계학적 비례에 따른 할당 표집을 기본으로 임의 선택의 과정을 거쳐,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모형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을 사용한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절차를 따랐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로움은 기혼 성인의 결혼불만족과 SNS 중독 사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 관계가 비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나, 매개효과의 완전 혹은 부분 여부를 경쟁모형 비료를 통해 확인한 결과, $x^2$을 비롯한 다양한 적합도 지수가 상대적으로 양호한 완전매개 모형을 최종적으로 채택하였다. 둘째, 결혼불만족과 외로움, SNS 중독 간 매개모형에서 사회자본 크기가 조절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구체적인 경로를 살펴보면, 자신의 사회자본을 상대적으로 크게 인식하는 집단이 작게 인식하는 집단에 비해 외로움에서 SNS중독에 이르는 과정과 결혼불만족에서 SNS중독에 이르는 경로의 효과 크기를 더 크게 인식했다. 이와 함께, 사회자본 형태별로 비중 차이에 따른 조절된 매개효과도 확인했다. 즉, 사회자본의 형태를 면대면 그리고 SNS 장면으로 구분해 각각의 비중 차이에 따라 면대면 우세, SNS우세 집단으로 구분해 매개모형의 다집단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 경로 간 효과크기에 차이가 나타났다. 자신의 사회자본이 면대면 보다는 SNS 온라인 상에 더 편중되었다고 느끼는 집단에서는 외로움이 SNS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면 대 면과 SNS 사회자본 사이의 불균형이 결혼불만족과 외로움, SNS 중독 간의 관계에서 위험요인으로 작용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기혼 성인들의 SNS 중독에 대처하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대응방안을 제언하였다.

  • PDF

스트레스와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 학습된 무력감과 지연행동의 매개효과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Internet·Smartphone Addiction: Mediating Effects of Learned Helplessness and Procrastination)

  • 정구철;조민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175-185
    • /
    • 2017
  • 본 연구는 성인들의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와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에서 학습된 무력감과 지연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성인 231명(남: 114명, 여: 117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27.7세(SD=6.6)였다. 분석결과, 첫째, 스트레스는 인터넷 중독 및 스마트폰 중독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스트레스와 인터넷 중독 간의 관계에서 학습된 무력감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셋째, 스트레스와 인터넷 중독 간의 관계에서 학습된 무력감을 통해 지연행동을 거치는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넷째,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에서 학습된 무력감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다섯째,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에서 학습된 무력감을 통해 지연행동을 거치는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스트레스와 인터넷 중독 간의 관계에서 학습된 무력감과 지연행동의 역할을 논의하였다.

카카오톡 플러스 친구 사용자의 이용태도 분석 - 쿠폰태도를 매개변인으로 - (Analyzing the User's Using Attitude of KakaoTalk Plus Friend - Coupon attitude as a Mediator -)

  • 김종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호
    • /
    • pp.327-336
    • /
    • 2018
  • 본 연구는 '카카오톡 플러스친구' 사용자의 브랜드이미지, 브랜드선호도, 정보신뢰도가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있어 쿠폰태도가 매개역할을 할 것인지와 이용만족도가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있어 쿠폰태도가 매개 역할을 할 것인지를 분석하기 위해 '카카오톡 플러스친구'를 사용하고 있는 170명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브랜드이미지와 정보신뢰도가 이용만족도에 영향관계에서 쿠폰태도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브랜드선호도가 이용만족도와의 영향관계에서 쿠폰태도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용만족도가 지속이용의도에 영향관계에서 쿠폰태도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카카오톡 플러스친구' 사용에 있어 쿠폰태도는 사용자의 이용태도에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결과는 '카카오톡 플러스친구'의 사용자의 태도와 쿠폰 태도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제공 할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과제가치가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학업적 자기효능감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Task Value on Class Participation in Nursing Students: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 진혜경;윤미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543-551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과제가치가 수업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G시에 소재한 K대학의 간호학과 2학년 재학생 161명으로, 자료수집 기간은 2020년 10월 5일~10월 14일이었다. 과제가치와 수업참여도 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단순 및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한 Baron과 Kenny의 3단계 매개효과 검증절차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매개효과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은 Sobel test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 과제가치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수업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었으며, 과제가치와 수업참여도 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부분매개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요인은 수업참여도를 55% 설명하였다. 학습자의 수업참여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과제가치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합적 접근방법이 필요하다.

전청소년기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문제의 매개 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Problems in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Smartphone Addiction Among Preadolescence)

  • 남연주;김민혁;이진희;서용석;민성호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0-107
    • /
    • 2023
  •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estimate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problems in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smartphone addiction among preadolescence. We verified the gender differences and interpersonal problem subtypes. Methods : This cross-sectional study obtained data from 674 subjects aged 9-12 years. The questionnaire included the Smartphone Addiction Scale-Short Form Version (SAS-SV), the Kovacs'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CDI), and the Korea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KIIP-SC). We analyzed data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evaluated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problems. Results : The CDI score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associated with the SAS-SV and the KIIP. In the total group, the KIIP-PA (Domineering) (b=0.13, 95%CI [0.05, 0.22]), the KIIP-BC (Vindictive)(b=0.07, 95%CI [0.02, 0.14]) and the KIIP-NO (Intrusive) (b=0.07, 95%CI [0.02, 0.13]) significantl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CDI and the SAS-SV. In me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KIIP-PA (Domineering) (b=0.20, 95% CI [0.08, 0.35]) was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in wome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KIIP-BC (Vindictive) (b=0.14, 95% CI [0.06, 0.25]) and the KIIP-NO (Intrusive) (b=0.08, 95% CI [0.02, 0.17]) were significant. Conclusion : Understanding the mediating role of interpersonal problems in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smartphone addiction may help find the appropriate intervention target.

유통경로 관리 지배구조가 시장지향성과 수출성과 관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s of Distribution Channel Govern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ket Orientation and Export Performance)

  • 원동환
    • 유통과학연구
    • /
    • 제14권11호
    • /
    • pp.91-102
    • /
    • 2016
  • Purpose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aims to suggest an analysis model that has integ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factors and export performance and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factors. Second, the study seek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by setting direct channel governance as a specific activity to connect market orientation, a cultural asset, to export performance. Third, through these analyses, the study intends to apply the relationship between market orientation and direct channel governance that the existing studies have failed to observe comprehensively on SMEs in Korea. Based on these analyses, the study expects to expand the discussion of previous researches by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direct channel governanc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developed a model that has integrated market orientation, direct channel governance, and export performance. It established 7 hypotheses including the mediating effect of direct channel governance. Market orientation was consisted of customer orientation and competitor orientation, and 4 latent variables were measured by 18 questions. LISREL, an analysis tool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for hypothesis test and there were 183 sample for analysis. Results -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customer orientation has a positive influence on direct channel governance, but competitor orientation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contrary, export performance showed an opposite result. That is, customer orientation did not have any influence but competitor orienta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export performance.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nflu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nel governance and export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mediating effect, direct channel governance had a full mediating effect between customer orientation and export performance. Conclusions - The study results demonstrated that it is important to build a direct channel governance on the export SMEs in Korea, especially since the direct channel governance complements the influence of customer orientation that does not directly influence export performance among market orientation activities. This implies that Korean export SMEs must strive to build an effective direct channel governance.

대학생들의 부모애착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취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 (Influence of Parent Attachment on Internet Addiction: Mediating Effect of Job-seeking Stress)

  • 정구철;이상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432-440
    • /
    • 2016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지각한 부모애착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취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2년제 대학생 100명과 4년제 대학생 102명으로 총 204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21.7세(SD=2.7)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고 간접효과의 유의성은 붓스트래핑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애착은 취업스트레스와 인터넷 중독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부모애착과 인터넷 중독 간의 관계에서 취업스트레스는 완전매개효과가 있었다. 셋째, 부모애착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취업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취업불안만이 완전매개 효과가 있었다. 그러므로 대학생들이 부모로부터의 애착을 지각할 경우 인터넷 중독의 가능성이 감소하며, 삶의 중요한 결정인 취업과 관련된 스트레스가 발생했을 때, 부모와의 애착이 부적절한 환경에서는 인터넷에 몰두할 가능성이 더욱 높은 것을 시사한다.

기독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가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과 영적 경험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Perceived Stress on Subjective Well-being: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and Spiritual Experience)

  • 봉원영;정구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566-579
    • /
    • 2016
  • 본 연구는 기독대학생들의 지각된 스트레스가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과 영적경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에 소재한 한 대학교에서 기독교인 대학생 157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구조방정식모델을 통해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각된 스트레스는 주관적 웰빙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지각된 스트레스와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영적 경험은 완전매개효과가 있었다. 셋째, 지각된 스트레스와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을 통한 간접효과는 영적 경험을 통한 간접효과보다 유의하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고려해 볼 때, 기독대학생들의 영적 요인은 스트레스와 주관적 웰빙에 있어서 유의미한 변인이지만, 영적 요인 외에도 회복탄력성과 같은 심리적 기제가 기독대학생들에게도 스트레스와 주관적 웰빙을 매개하는 매우 중요한 변인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