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ating

검색결과 5,606건 처리시간 0.038초

장애인 가구원의 취업여부가 가족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산수준과 우울감의 매개효과 검증 (The Effect of Employment Statu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on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Asset and Depression)

  • 김자영;한창근
    • 사회복지연구
    • /
    • 제48권4호
    • /
    • pp.5-31
    • /
    • 2017
  •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조사의 11차년도(2016) 자료를 사용하여 장애인 가구원의 가족관계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영향력과 관련성을 살펴보고 또, 요인들 간의 경로를 파악하고자 경로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장애인 가구원의 취업여부는 자산수준, 우울감, 가족관계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리고 자산수준은 우울감과 가족관계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우울감 또한 가족관계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취업여부와 우울감 사이에서 자산수준의 완전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자산수준과 가족관계만족도 사이에서 우울감의 부분 매개효과가, 그리고 취업여부와 가족관계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자산수준과 우울감의 다중 부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장애인의 저하된 가족관계만족도를 향상시기 위해서 Sherraden 교수의 자산효과이론을 재조명하였으며, 무엇보다도 본 연구는 성인 장애인 가구원을 대상으로 하는 차별화된 저축 프로그램 등 자산형성 프로그램를 설계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학업열의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시간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Academic Engagement on Self-esteem in Adolescents: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 권은경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2호
    • /
    • pp.125-133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학업열의와 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 학습시간이 중학생의 성별, 지역별, 학년에 따라 매개효과가 있는 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소재의 중학생 1,045명을 대상으로 학습시간, 학업열의, 자존감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업열의, 학습시간, 자존감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차이검증을 실시하였고, 주요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학습시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중학생의 학업열의는 집단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학습시간은 시지역 중학생이 읍면지역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고, 자존감은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높고, 시지역학생이 읍·면지역 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았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자존감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관분석 결과 학습시간, 학업열의, 자존감은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셋째, 집단별로 나누지 않은 전체집단에서는 학업열의가 자존감에 이르는 직접 경로와 학습시간을 거쳐 자존감에 이르는 부분 매개모형에서 학습시간의 부분매개효과가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성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는 남학생을 제외한 여학생만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고, 지역별 분석결과는 시지역의 학생에게만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학년별 분석결과는 중학교 2학년 학생만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급격한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발달 중인 중학생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성별, 학년별 개인 차이뿐 아니라 살고 있는 지역도 고려한 교육과 상담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대졸청년의 직업가치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Job Values on the Quality of Life of Undergraduate Graduates with Early Careers)

  • 김은비;김종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8호
    • /
    • pp.557-569
    • /
    • 2022
  • 본 연구는 대졸 초기경력자을 대상으로 직업가치가 직무만족의 매개를 거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실증분석을 통해 살펴보는데 데 목적이 있다. 이에 직업가치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와 직업눈높이의 조절효과를 포함하는 매개된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곰스데이터를 활용하여 직업가치 직무만족 그리고 직업눈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문항을 살펴보았으며, SPSS 23.0과 SPSS Macro를 사용하여 자료 분석을 시행하였다. 매개된 조절모형은 매개 및 조절효과가 포함된 통합적인 모형이므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그리고 매개된 조절효과를 차례로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직무만족을 통한 매개효과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직업가치는 직접경로와 매개변수인 직무만족을 통한 간접경로로 삶의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직무만족을 통한 직업눈높이의 조절된 매개효과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세부적으로 독립변수인 직업가치와 매개변수인 직무만족은 종속변수인 삶의 질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슈 리더십이 혁신 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학습 민첩성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Ag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ssue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 박성열;정병규
    • 벤처혁신연구
    • /
    • 제4권3호
    • /
    • pp.69-87
    • /
    • 2021
  • 본 연구는 불확실성과 복잡성이 증대되고 있는 경영 환경하에서 조직의 장기적 생존에 필요한 혁신 행동에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이슈 리더십이 조직 구성원의 혁신 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신호이론(Signaling theory), 경로-목표이론(Path-Goal Theory), 직무요구-자원이론(Job Demands-Resources Theory) 관점에서 규명하였다. 또한 학습 민첩성 및 학습 민첩성의 하위 구성 요인의 매개 역할을 실증적으로 분석 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다국적 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팀장과 팀원 총 252쌍(한국 142쌍, 미국 110쌍)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슈 리더십은 종업원들의 혁신 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습 민첩성은 이슈 리더십과 혁신 행동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학습 민첩성의 하위 구성 요인인 피드백 추구성향, 정보 지향성, 성찰, 실험성, 민첩성의 각각에 대해 매개효과를 검정하였다. 그 결과 5개의 하위 구성 요인 모두 이슈 리더십과 혁신 행동간에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민첩성의 매개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정보 지향성이 크게 나타났다. 이슈 리더십이 혁신 행동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 관계에서 학습 민첩성의 매개 역할을 규명한 일부 연구는 있지만, 이를 세분화해서 살펴본 경우는 거의 없는 실정에서 본 연구는 학술적인 의미가 있다고 사료 된다. 실무적인 차원에서도 조직의 학습 민첩성 제고를 하고자 할 때 어느 부분을 더 집중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결혼불만족과 외로움, SNS중독의 관계 - 사회자본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Relationship among Marital Dissatisfaction, Loneliness and SNS Addiction -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

  • 김남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9권1호
    • /
    • pp.223-254
    • /
    • 2017
  • 본 연구는 기혼자의 결혼불만족이 외로움을 통해 SNS중독에 미치는 매개효과가 연구 대상자가 지각하는 사회자본의 크기 및 구성 장면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지, 즉 조절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 20~40대 성인 기혼 남 녀 714명이다. 온라인 전문 리서치회사에 자료 조사를 의뢰해 인구통계학적 비례에 따른 할당 표집을 기본으로 임의 선택의 과정을 거쳐,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모형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을 사용한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절차를 따랐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로움은 기혼 성인의 결혼불만족과 SNS 중독 사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 관계가 비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나, 매개효과의 완전 혹은 부분 여부를 경쟁모형 비료를 통해 확인한 결과, $x^2$을 비롯한 다양한 적합도 지수가 상대적으로 양호한 완전매개 모형을 최종적으로 채택하였다. 둘째, 결혼불만족과 외로움, SNS 중독 간 매개모형에서 사회자본 크기가 조절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구체적인 경로를 살펴보면, 자신의 사회자본을 상대적으로 크게 인식하는 집단이 작게 인식하는 집단에 비해 외로움에서 SNS중독에 이르는 과정과 결혼불만족에서 SNS중독에 이르는 경로의 효과 크기를 더 크게 인식했다. 이와 함께, 사회자본 형태별로 비중 차이에 따른 조절된 매개효과도 확인했다. 즉, 사회자본의 형태를 면대면 그리고 SNS 장면으로 구분해 각각의 비중 차이에 따라 면대면 우세, SNS우세 집단으로 구분해 매개모형의 다집단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 경로 간 효과크기에 차이가 나타났다. 자신의 사회자본이 면대면 보다는 SNS 온라인 상에 더 편중되었다고 느끼는 집단에서는 외로움이 SNS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면 대 면과 SNS 사회자본 사이의 불균형이 결혼불만족과 외로움, SNS 중독 간의 관계에서 위험요인으로 작용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기혼 성인들의 SNS 중독에 대처하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대응방안을 제언하였다.

  • PDF

글로벌기업의 집단형 문화가 합리형 문화에 미치는 영향 -여성 리더의 직위와 경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Clan Culture on Market Culture of Public Organization Focusing of Mediating Effect of Women Leader's Position and Carrier)

  • 김혁영;김택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271-280
    • /
    • 2020
  • 본 연구는 글로벌 기업의 집단형 문화와 합리형 문화 간의 관계에서 여성리더 특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 연구목적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촉진자, 선도자, 생산자, 지시자 리더십 간의 관계에서 여성리더의 직위와 경력이 매개효과로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개념적 연구모형은 집단형 문화, 여성리더 특성, 합리형 문화의 3개 요인으로 설계되었다. 글로벌기업을 대상으로 리더십 유형과 조직문화와 관련된 500개의 조사대상표본에 기초해서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집단형 문화와 합리형 문화 간의 관계에서 여성리더 특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촉진자 리더십은 여성리더의 직위와 경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선도자 리더십은 여성리더의 경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에, 여성리더의 직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여성 리더의 직위와 경력은 생산자 리더십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여성 리더의 직위와 경력은 지시자 리더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촉진자 리더십은 생산자 리더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선도자 리더십은 지시자 리더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여성리더 특성의 매개효과를 통제한 상태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집단형 문화가 합리형 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연구를 통해서 검증함으로서 학술적 기여도를 높였으며, 또한 정책적, 혹은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리더십 유형과 조직문화 연구 분야에서 여성리더의 직위와 경력 변수를 사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연구이다.

Andersen과 Newman의 행동모델을 적용한 경로당 이용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이용자 만족도 매개효과 분석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Senior Center Applying Andersen and Newman's Behavior Model: Analysis of Mediating Effect of User Satisfaction)

  • 김정근
    • 한국노년학
    • /
    • 제40권2호
    • /
    • pp.291-309
    • /
    • 2020
  • 본 연구는 Andersen과 Newman(1973)의 행동모델을 적용하여 지역사회 노인들의 경로당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이용자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경로당 이용 노인의 만족도 향상 및 경로당 운영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실천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부산지역 2,283개소 경로당 이용 노인 578명이다. 연구결과, 경로당 총 이용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선행요인 중 연령, 가능성 요인 중 경로당 유형으로 분석되었으며, 1주일간 경로당 총 이용일 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선행요인 중 성별, 연령, 교육수준으로 나타났다. 매개변수인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선행요인 중 성별, 연령, 욕구요인 중 주관적 건강상태로 분석되었다. 이용자 만족도 매개효과 검증 결과, 연령과 경로당 총 이용기간 사이에는 부분 매개효과, 성별과 1주일간 경로당 이용일 수 사이에는 완전 매개효과, 연령과 1주일간 경로당 이용일 수 사이에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의 목적과 주요 결과에 따라 경로당 이용자 만족도 및 이용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실천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로당 이용자 특성에 따른 프로그램 개발과 지원이 요구된다. 둘째, 경로당 유형 및 지역적 환경에 따라 경로당을 특성화 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경로당 운영비 지원 기준 개선과 인상이 필요하다.

교사의 탄력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 이상수;김대현;송연주;오정희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2호
    • /
    • pp.382-391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and observe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 in the relationship. For the study, a survey about resilienc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was conducted on 913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working at Busan and Ulsan. The result was statistically treated using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as positive relationships among teacher's resilienc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was shown by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eacher's resilience is the variable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but organization is more important variables. Therefore, it suggests to establish organizational ethical climate for active communication among school members in order to improve teacher's job satisfaction.

간호사가 지각한 리더의 서번트 리더십이 리더효과, 리더만족 및 추가적 노력에 미치는 영향: 리더 신뢰 및 가치일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Nurses' Perception of Servant Leadership on Leader Effectiveness, Satisfaction and Additional Effort: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Leader Trust and Value Congruence)

  • 한상숙;김남은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85-94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effects of nurses' perception of servant leadership on leader effectiveness, satisfaction and promoting additional effort. The focus was the mediating effects of leader trust and value congruence.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361 RN-BSN students and nurses participating in nationally attended in-service training program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structural analysis with SPSS 17.0 windows program and Amos 7.0. Results: Direct effects of nurses' perception of servant leadership were negative, but mediating effects of trust and value congruenc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leader effectiveness, satisfaction and additional effort, that is servant leadership should be effective through mediating factors.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if the middle managers of nurses can build leader trust and value congruency between nurses through servant leadership, leader effectiveness, satisfaction and additional effort on the part of the nurses could result in a positive change in the long term.

뇌졸중 환자의 건강행위에 대한 영향요인 및 매개요인 (Influencing and Mediating Factors in Health Behaviors among Stroke Patients)

  • 김민경;이혜련;권주연;오현수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10-621
    • /
    • 2013
  • Purpose: The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influencing and mediating factors of health behaviors of stroke patients based on the hypothetical model constructed in this study. Methods: Non-experimental correlational research design was used. One hundred and five stroke patients were conveniently selected from one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Incheon. Data were collected with survey and analyzed by path analysis to examine the significant influencing and mediating factors of health behaviors in stroke patients. Results: Age, diagnosis, disability in ADL, knowledge related to health behavior, and self-efficacy had significant direct causal influences on health behavior. And it was shown that knowledge and self-efficacy mediated influence of cohabitation status with family( whether or not living together with family) on health behavior. Self-efficacy also mediated influence of knowledge on health behavior. Conclusion: From the results, it was proposed that providing knowledge related to health behavior and enhancing self-efficacy by educating skill necessary for health behaviors and promoting health related beliefs might increase health behavior particularly for stroke patients living together with fami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