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an Frequency

검색결과 451건 처리시간 0.032초

시-주파수 분석을 이용한 심실세동시 심전도 분석을 통한 제세동 예측에 관한 연구 (Prediction of Defibrillation Success of Ventricular Fibrillation ECG Signals using Time-Frequency Analysis)

  • 성홍모;신재우;이현숙;황성오;윤영로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시스템및제어부문D
    • /
    • 제55권4호
    • /
    • pp.181-18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the defibrillation success of a ventricular Fibrillation ECG signal using time-frequency analysis. During CPR, coronary perfusion pressure and electrocardiogram were measured. Parameters extracted from time-frequency domain were served as predictor of resuscitation success. Time frequency distribution(TFD) of ECG signals was estimated from the smoothed pseudo Wigner-Ville distribution(SPWVD). Median frequency, peak frequency, 1/f slope, frequency band ratios$(2{\sim}4Hz,\;4{\sim}6Hz,\;6{\sim}8Hz,\;8{\sim}10Hz,\;10{\sim}12Hz,\;12{\sim}15Hz)$ were extracted from each TFD as function of time. Paired t-test was us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in ROSC and non-ROSC groups. In the statistical results, we selected four significant parameters - median frequency, 1/f slope, $2{\sim}4Hz$ band ratio, $8{\sim}10Hz$ band ratio. We made an attempt to predict defibrillation success by combining features extracted from time frequency distribution. Independent t-test was us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ROSC and non-ROSC groups. Consequently, we selected four significant parameters-median frequency, 1/f slope, $2{\sim}4Hz$ band ratio, $8{\sim}10Hz$ band ratio. The relationship between coronary perfusion pressure and ECG parameters was analyzed with linear regression analysis. R-square value was 55%. 1/f slope and $8{\sim}10Hz$ band ratio had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coronary perfusion pressure.

음주빈도와 안주섭취열량이 제2형 남성 당뇨병환자의 신체계측, 혈중지질수준 및 혈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lcohol Drinking Frequency and Foods Consumed Along with Alcohol on Anthropometry, Serum Lipid Levels, and Blood Pressure in Male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 정인빈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1권4호
    • /
    • pp.317-326
    • /
    • 200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lcohol drinking frequency and foods consumed along with alcohol on anthropometry, serum lipid levels, and blood pressures in 73 male type 2 diabetic patients aged 30-59 years old. Dietary data for usual intake were obtained from the subjects by the 3-day food records. Separate data for foods consumed along with alcohol as accompaniment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energy and nutrient intakes. Both alcohol drinking frequency and/or the amount of energy consumed from accompaniment influenced clinical data as well as anthropometric measurements. The serum total- and HDL-cholesterol, triglyceride levels and systolic blood pressur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with a drinking frequency of ${\geq}$ 2/week than that of ${\leq}$ 1/week and also in the group whose daily energy intake from accompaniment was greater than the median (106.6 kcal/d) than that below the median. When the data were adjusted for age, amount of energy intake from alcohol and diet, the anothropometric measurements such as body weight, BMI, waist circumferenc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hose energy intake from accompaniment was greater than the median than that below the median. The results of our study suggest that both alcohol drinking frequency and the energy intake from foods consumed along with alcohol as accompanements are important contributing factors to clinical and anthropometric parameters whose associations with the cardiovascular complications are well established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효과적인 보행재활훈련을 위한 근피로도 분석방법 (A Method of Muscle Fatigue Analysis for Effective Gait Rehabilitation)

  • 김유현;김서준;심현민;이상민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39-43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근전도를 이용하여 근피로도를 분석함에 있어서 중앙주파수의 임계점을 이용한 효과적인 보행재활훈련 방법을 제시한다. 신호의 측정을 위하여 건강한 성인 남성 5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고 정상 보행에서의 대퇴사두근, 전경골근에 표면전극을 붙여 변화를 측정 하였다. 근전도신호의 측정을 위하여 트레드밀 위에서 30분간 6km/h의 일정한 속력으로 보통걸음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측정된 근전도신호를 주파수 분석 및 중앙주파수를 계산하여 근피로도를 수치화 한 뒤 30분간 근피로도의 상태와 포화되는 지점을 찾아 이를 근육이 견딜 수 있는 임계점, 즉 근육의 한계로 설정하였다. 실험 결과 근육의 임계점을 정량화 할 수 있었다.

  • PDF

요추신전운동 시 중앙주파수와 웨이브렛 변환을 이용한 근피로도 분석 (Muscle Fatigue Analysis by Median Frequency and Wavelet Transform During Lumbar Extension Exercises)

  • 장근;김영호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377-382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남성 13명을 대상으로 최대자발 근수축의44%, 55%, 66%에 해당하는 40, 50, 60kg의 부하를 주었으며 초당 48$^{\circ}$의 속도로 요추신전 운동을 반복함으로써 근피로를 유발 시켰으며, 피검자의 왼쪽 척추기립근에 표면전극을 부착하여 근전도 신호를 측정하였다. 웨이브렛을 이용하여 '시-주파수'영역에서 근전도 신호를 주파수대역별로 분리하여 근피로도를 측정하고 중앙주파수를 이용하여 얻은 결과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앙주파수가 시간에 따라 더 맞은 주파수 영역으로 천이되며 단지 대표 주파수의 경향만 나타냄을 확인할 수 없었다. 그러나 웨이브렛을 이용한 근피로도 분석 방법은 중앙주파수와는 달리 근육의 피로함에 따라 고주파수 대역의 신호(375~438Hz)는 일정하거나 감소하고 저주파영역의 신호(0∼125Ha)는 증가하는 경향이 확인되어 웨이브렛 분석을 통해서 근피로를 정량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동 적운동 시 웨이브렛을 이용한 분석방법이 중앙주파수 보다 근피로도를 분석하는데 있어 더욱 유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확인할 수 있었다.

중앙분리대의 사고감소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Analysis on the Accident Reduction Effect of the Median)

  • 김경석;강승림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45-60
    • /
    • 2003
  • 중앙선 침범 관련 사고는 다른 사고에 비해 사고빈도는 낮지만 치명적인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적절한 사고감소대책이 필요하다. 중앙선 침범을 방지하는 대표적인 도로안전시설물이라 할 수 있는 중앙분리대는 도로의 안전 확보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실제 그 효과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을 통하여 향후 중앙분리대의 적극적인 활용을 도모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앙분리대의 형식, 성능 등에 대한 검토에 앞서 기본적으로 중앙분리대의 설치와 교통사고와의 관계를 분석해 보았다. 즉, 중앙분리대의 사고감소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우리나라 4차로 이상의 일반국도를 대상으로 중앙분리대 설치 여부에 따른 사고자료를 비교하였다.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분석을 위해 총 사고뿐만 아니라 유형별·사고강도별·시간대별 사고를 비교하였으며, 다양한 효과척도(사고율. 사고점유율. EPDO)를 이용하여 사고빈도뿐만 아니라 사고강도까지 비교하였다. 지점별·구간별 사고분석 및 중앙분리대 신설지점에 대한 효과분석 결과 중앙분리대의 설치는 사고빈도와 함께 사고강도를 낮춤으로써 확실한 사고감소효과를 가져왔으며, 특히 정면충돌사고, 사망사고, 야간사고에 대한 사고감소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정면충돌사고. 사망사고, 야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도로구간(특히 단일로나 접속로의 경우)에 대한 중앙분리대의 설치는 교통사고 감소를 위한 중요한 대책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중앙분리대 설치에 따른 사고감소효과를 명확히 밝힘으로써 중앙분리대 설치의 당위성을 제공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향후 보다 효과적이고 합리적인 중앙분리대 설치구간 선정에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Wavelet Transform을 이용한 P파 검출에 관한 연구 (P-wave Detection Using Wavelet Transform)

  • 윤영로;장원석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07-514
    • /
    • 1996
  • The automated ECG diagnostic systems in hospital have a low P-wave detection capacity in case of some diseases like conduction bloc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P-wave detection ca- pacity using wavelet transform. The first procedure is to remove baseline drift by subtracting the median filtered signal from the original signal. The second procedure is to cancel ECG's QRS-T complex from median filtered signal to get P-wave candidate. Before we subtracted the templete from QRS-T complex, we estimated the best matching between templete and QRS-T complex to minimize the error. Then, wavelet transform was applied to confirm P-wave. In particular, haiti wavelet was used to magnify P-wave that consisted of low frequency components and to reject high frequency noise of QRS-T complex cancelled signal. Finally, p-wave was discriminated and confirmed by threshold value. By using this method, We can got the around 95.1% P-wave detection. It was compared with contextual information.

  • PDF

당뇨화 다밀도 안창의 충격특성 (Impact Characteristics of Multi-Density Insoles for DM Shoes)

  • 금영광;정임숙;강성재;김영길;김명웅;김영호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1-36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일정한 충격하중을 제공하여 충격특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당뇨화 안창의 소재에 대한 감쇠지수, 중앙주파수, 반발계수 등을 통하여 6종류의 당뇨화 소재와 3종류의 다밀도 당뇨화 안창의 충격특성을 측정하였다. Podian, Plastazote black, Plastazote white, Flexible PU foam, Podialene 200 blue, Podia flex 소재 중에서 감쇠지수와 반발계수는 Podian이 우수하였으며, Flexible PU foam 소재의 중앙주파수가 가장 작음을 알 수 있었다. 3종의 다밀도 안창인 AP 안창, OS 안창, PW 안창을 각각 세 부위로 나누어 안창의 종류와 부위별 충격특성을 비교한 결과 발뒤꿈치 부분이 충격완화 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발계수와 중앙주파수에서는 OS 안창이 AP 안창보다 충격완화 효과가 우수함을 보였으나, 감쇠지수는 서로 유사한 견과를 보였다. PW 안창은 두 겹의 폴리우레탄이 전체에 분포되어 있으므로 부위별로 유사한 충격흡수정도를 나타내었다.

Electromyographic analysis according to shoe weight during ambulation

  • Lee, Eunsang;Lee, Byunghoon;Cho, Juchul;Lee, Yongwoo;Lee, Seungwon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4권2호
    • /
    • pp.115-120
    • /
    • 2015
  • Objective: To examine the effects of different shoe weights on lower leg muscle fatigue when walking by electromyographic (EMG) analysis due to the most effective weight for loading not being established. Design: Cross-sectional study. Methods: Thirty healthy university students (15 male, 15 female) were enrolled and randomly assigned into three conditions, which included wearing athletic shoes with an addition of 300 g, 500 g, and 1,000 g weights respectively. Prior to walking, all subjects were instructed to sit in a chair for 10 minutes. All subjects walked at a speed of 3.6 m/s on a treadmill for 20 minutes without rest. EMG measurements were taken using the median power frequency to assess for the effect of the different weight of shoes on muscle fatigue of the soleus, gastrocnemius, and tibialis anterior while walking on a treadmill in an upright posture. EMG measurements were taken during the first and last 30 seconds of walking. Results: In terms of muscle fatigue, for the soleus, the median power frequency was significantly lower with 1,000 g compared with 300 g and 500 g (p<0.05). For the tibialis anterior, the median power frequency was significantly lower with 1,000 g than 300 g and 500 g (p<0.05). For the gastrocnemius, the median power frequency was significantly lower with 1,000 g compared with 300 g (p<0.05). Conclusions: Increased shoe weight increases soleus, gastrocnemius, and tibialis anterior muscle fatigue during ambulation.

미세균열의 간격 분포를 이용한 결의 평가(I) (Evaluation for Rock Cleavage Using Distribution of Microcrack Spacings (I))

  • 박덕원
    • 암석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3-27
    • /
    • 2016
  • 거창지역의 쥬라기 화강암에 내재하는 결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미세균열의 간격에 대한 분포상은 박편의 확대사진(${\times}6.7$)에서 도출하였다. 여섯 방향의 결에 대한 평가는 (1) 미세균열의 간격의 빈도수(N), (2) 총 간격의 빈도수(N:191) 대비 빈도율(${\leq}1mm$ 및 4 mm >), (3) 총 간격(118.49 mm) 대비 간격율(${\leq}1mm$), (4) 평균 간격($S_{mean}$), (5) 평균 간격과 중앙 간격($S_{median}$) 사이의 차이값($S_{mean}-S_{median}$), (6) 간격의 밀도, (7) 중앙 간격, (8) 길이의 빈도수 대비 간격의 빈도수의 감소비율 및 (9) 도표의 분포형과 관련된 지수(${\lambda}$ and b)의 크기와 같은 9개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특히 상기 간격의 파라미터 그리고 간격-누적빈도 도표에서 도출한 파라미터 사이의 밀접한 상관성을 도출하였다. 3개 결 그리고 3개 면에 대한 파라미터의 값 사이의 상관성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I) 파라미터(1, 2 및 3), (II) 파라미터(4, 5 및 6), (III) 파라미터(7), (IV) 파라미터(8) 및 (V) 파라미터(9)의 값은 H(3번 결, H1+H2) < G(2번 결, G1+G2) < R(1번 결, R1+R2), R < G < H, R < H < G, G < H < R 및 H < G < R의 다양한 순서를 각각 보여준다. 반면에 3개 면에 대한 상기 4개 그룹(I~IV)의 파라미터의 값은 역순을 보여준다. 이러한 유형의 상관성 분석은 3개 채석면의 판별에 유용하다. 여섯 간격-누적빈도 도표를 주요 파라미터($S_{mean}-S_{median}$)의 값이 증가하는 순으로 배열하였다. 이들 도표들은 관계도에서 R2 < R1 < G2 < G1 < H2 < H1의 순을 보여준다. 즉, 상기 여섯 도표는 1번 결(R1+R2) < 2번 결(G1+G2) < 3번 결(H1+H2)의 순으로 요약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미세균열의 간격과 관련된 결의 상대적인 강도를 지시한다. 특히 상기 주요 파라미터는 도표 사이의 배열 순서의 예측에 대한 사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Changes in Median Ages at Death from Selected Cancer Types in Relation to HLA-DRB1/DQB1

  • An, Wan-Xin;Fan, Ya-Xin;Liang, Xiao-Hua;Liu, Hu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0호
    • /
    • pp.4125-4128
    • /
    • 2014
  • The median ages at death from cancers between 1985 and 2005 were calculated to demonstrate that inherent anticancer mechanisms may be a common pathway for different cancers. Seventy-eight patients with gastric, liver and lung cancers, were recruited in the solid cancer group. The leukemia group consisted of 31 patients with three main types of leukemia. The controls were 100 healthy individuals. The samples were typed using an HLA-DR/DQ PCR-SSP typing ki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dian ages at death from all causes were 64.7 years in 1985 and 70.1 years in 2005. The range of the median ages at death from all cancers was similar to the corresponding value for deaths attributed to all causes. The frequency of $DRB1^*03$ was 9.6% in the solid cancer group and 3.0% in the control group (p<0.05). The frequency of $DRB1^*04$ in the leukemia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p<0.05). $DRB1^*13$ and $DRB1^*06$ frequencies in the leukemia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s (p<0.05). It is suggested that inherent anti-cancer mechanisms may be a common pathway for different cancers and are associated with the immune system and HL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