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an Filter

검색결과 415건 처리시간 0.032초

로봇의 시각시스템을 위한 동영상에서 칼라정보를 이용한 얼굴 추적 (Robot vision system for face tracking using color information from video images)

  • 정행섭;이주신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553-56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로봇의 시각시스템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얼굴 추적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동영상의 움직임 영역을 검출한 후 얼굴 영역을 추적한다. 동영상의 움직임 검출은 연속되는 2개의 프레임을 사용하여 차영상을 구한 후,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메디안 필터와 침식 및 팽창연산을 사용하여 움직임 영역을 검출한다. 움직임 영역에서 피부색을 추출하기 위하여 표본영상의 칼라 정보를 이용하였다. 칼라정보의 MIN-MAX값을 퍼지화 데이터로 멤버십 함수를 생성한 후, 유사도를 평가하여 피부색 영역과 배경영역을 분리하였다. 얼굴 후보영역에 대하여 CMY 칼라 공간 C 채널에서 눈을 검출하고, YIQ 칼라 공간 Q 채널에서 입을 검출하였다. 지식기반으로 검출된 눈과 입의 특징을 찾아가며 얼굴영역을 추적하였다. 실험영상으로는 10명 각각에 대하여 150프레임의 동영상 총 1,500프레임을 입력받아 실험한 결과, 1,435프레임의 영상에 대하여 움직임 영역이 검출되어 95.7%의 프레임 검출율을 보였으며, 1,401개에 대한 얼굴을 추적 97.6%의 우수한 얼굴 추적결과를 나타내었다.

적응적 이진화 기법과 Bresenham's algorithm을 이용한 안경 렌즈 제품의 자동 흠집 검출 (Automatic Defect Inspection with Adaptive Binarization and Bresenham's Algorithm for Spectacle Lens Products)

  • 김광백;송두헌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1429-1434
    • /
    • 2017
  • 기존의 안경 렌즈 흠집 검출 방법은 영상내의 미세 잡음이 제거되지 않아 렌즈 영역이 정확히 추출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여 흠집 영역을 검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적응적 이진화 기법과 Bresenham algorithm을 적용하여 흠집 영역을 검출한다. 제안된 방법은 안경 렌즈 영상에서 명암 대비를 적용하여 렌즈의 명암을 강조한다. 명암이 강조된 영상에서 렌즈 밖의 배경 영역은 흠집 검출에 불필요하므로 이진화 기법을 적용한 후에 Bresenham algorithm을 적용하여 렌즈의 윤곽선을 검출하고 렌즈 이외의 배경을 제거한다. 렌즈 이외의 배경이 제거된 렌즈 영상에서 렌즈 내부의 배경과 흠집의 명암 대비를 높인다. 명암이 강조된 렌즈 내부 영역에서 적응적 이진화 기법을 적용하여 흠집과 잡음을 검출한다. 잡음은 중간값 필터를 적용하여 제거한 후에 흠집 영역을 추출한다. 추출된 흠집 영역에서 렌즈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와 흠집의 크기를 퍼지 추론 규칙에 적용하여 눈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분석한다. 제안된 방법의 성능을 분석하기 위해 CHEMI, MID, HL, HM과 같은 시력 보정용 렌즈 영상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12개의 시력 보정용 렌즈 영상 중에서 10개에서 결함을 성공적으로 추출하였다.

Lagrange 보간 및 반복 처리를 이용한 고밀도 Salt & Pepper 잡음 제거 (High Density Salt & Pepper Noise Reduction using Lagrange Interpolation and Iteration Process)

  • 권세익;김남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965-972
    • /
    • 2015
  • 현재 디지털 시대의 급속 발전과 함께 영상 매체는 인터넷,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등에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영상을 획득, 처리, 전송, 기록하는 과정에서 여러 외부 원인에 의해 영상의 열화가 발생되며, 영상 열화의 주된 원인은 잡음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salt & pepper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잡음 판단 후, 비잡음인 경우 원 화소로 대치하고, 잡음인 경우 Lagrange 보간법으로 처리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고밀도 잡음이 첨가되어 잡음제거가 불가능한 경우, 반복 처리하여 잡음 제거 특성을 향상시켰다. 그리고 객관적 판단을 위해 기존의 방법들과 비교하였으며, 판단의 기준으로 PSNR(peak signal to noise ratio)을 사용하였다.

Space-Time Quantization and Motion-Aligned Reconstruction for Block-Based Compressive Video Sensing

  • Li, Ran;Liu, Hongbing;He, Wei;Ma, Xingpo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0권1호
    • /
    • pp.321-340
    • /
    • 2016
  • The Compressive Video Sensing (CVS) is a useful technology for wireless systems requiring simple encoders but handling more complex decoders, and its rate-distortion performance is highly affected by the quantization of measurements and reconstruction of video frame, which motivates us to presents the Space-Time Quantization (ST-Q) and Motion-Aligned Reconstruction (MA-R) in this paper to both improve the performance of CVS system. The ST-Q removes the space-time redundancy in the measurement vector to reduce the amount of bits required to encode the video frame, and it also guarantees a low quantization error due to the fact that the high frequency of small values close to zero in the predictive residuals limits the intensity of quantizing noise. The MA-R constructs the Multi-Hypothesis (MH) matrix by selecting the temporal neighbors along the motion trajectory of current to-be-reconstructed block to improve the accuracy of prediction, and besides it reduces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of motion estimation by the extraction of static area and 3-D Recursive Search (3DRS). Extensive experiments validate that the significant improvements is achieved by ST-Q in the rate-distortion as compared with the existing quantization methods, and the MA-R improves both the objective and the subjective quality of the reconstructed video frame. Combined with ST-Q and MA-R, the CVS system obtains a significant rate-distortion performance gain when compared with the existing CS-based video codecs.

영상정보에 기초한 전차 자율탐지 및 조준점탐색 연구 (Autonomous Battle Tank Detection and Aiming Point Search Using Imagery)

  • 김종환;정치정;허미라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7권2호
    • /
    • pp.1-10
    • /
    • 2018
  • 본 논문은 지상무인전투체계 중의 하나인 무인경전투차량이 RGB 영상정보를 기초로 스스로 전차를 탐지하고 조준점을 산출하는 지능형 표적획득/처리기술의 기초연구이다. 무인 경전투 차량이 전장에서 적 전차와 조우 시, 적 전차를 자율적으로 탐지하고 스스로 조준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영상정보로부터 전차의 주요특징을 식별 및 추출하고, Maximally stable extremal regions, 중간값 필터, k평균 클러스터링 그리고 Morphological filtering의 영상처리기법 및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해 전차의 외형정보를 추출 및 분석하였으며, 식별된 전차 외형정보를 벡터화하여 전차의 중앙을 지향하는 조준점을 산출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성능을 측정하기 위해 선진국들의 주력전차의 영상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였고, 제안한 방법의 객관적인 전차탐지 성능은 정확도 91.6%, 정밀도 90.4%, 재현율 85.8% 그리고 F-measure 88.1%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가 무인전투체계의 지능형 표적획득/처리기술 연구개발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프레임율 변환을 위한 주파수 영역에서의 블로킹 현상 검출 (Blocking Artifacts Detection in Frequency Domain for Frame Rate Up-conversion)

  • 김남욱;전동산;이진호;이영렬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472-483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MC-FRUC(Motion Compensated Frame Rate Up-Conversion) 에서 사용될 수 있는 주파수 영역에서의 블로킹 현상(blocking artifacts) 검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MC-FRUC 알고리즘은 블록 단위로 움직임 벡터를 계산하여 움직임 보상을 수행함으로써 블록 경계선 주변에서 블로킹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블로킹 현상 검출을 위해 보간된 영상(interpolated frame)의 주파수 성분을 분석하여 블록경계에서 블록킹 현상을 감소시킨다. 실험결과에서 제안된 알고리즘이 기존의 FRUC 방법보다 더 나은 주관적 화질을 보인다. 제안한 방법은 또한 기존의 BDMC(Bi-Directional Motion Compensation) 대비 평균 약 0.45 dB PSNR(Peak Signal to Noise Ratio)이 향상되었다.

Focal Reducer for McDonald Otto Struve Telescope

  • 임주희;김경주;박원기;김진영;장승혁;박수종;임명신
    • 천문학회보
    • /
    • 제35권1호
    • /
    • pp.36.2-36.2
    • /
    • 2010
  • The CQUEAN (Camera for QUasars in EArly uNiverse) is an optical CCD camera optimized for observation of high redshift objects. It is going to be attached to the cassegrain focus of 2.1m telescope at McDonald Observatory, USA. We are making a focal reducer for CQUEAN to secure a larger field of view. The focal reducer is composed of four spherical lens, and it reduces the focal length of telescope by one third. We designed the lens configuration, performed tolerance analysis, and estimated the optical performance with ZEMAX. The differences in optical performace with/without filters were also investigated. The result from ZEMAX shows that the system has ample margin of errors for median seeing of 1.2" at McDonald observatory. Even with aberration and alignment tolerance, the performance is better than the original requirement. The lenses are now being made, and the lens barrel and an adapter for assembly of the Andor CCD camera and the filter wheel is now under designing process. We expect that the manufacturing of the focal reducer system as well as its optical test will be finished by April 2010.

  • PDF

Ionized Fe Objects in UWIFE survey and IGRINS

  • Kim, Yesol;Koo, Bon-Chul;Pyo, Tae-Soo
    • 천문학회보
    • /
    • 제42권1호
    • /
    • pp.54.1-54.1
    • /
    • 2017
  • The UKIRT Wide-field Infrared survey for Fe+(UWIFE) is an unbiased survey of the first Galactic quadrant, with narrow-band filter centered on $1.644{\mu}m$. This survey covers $7^{\circ}$ < l < $62^{\circ}$ and |b| < $1.5^{\circ}$, where active interaction of stars and interstellar medium is expected. With median seeing of 0.8 arcsec, 5 - sigma detection limit of 18.7 mag and surface brightness limit of $8.1{\times}10^{-20}W\;m^{-2}arcsec^{-2}$, this survey gives an opportunity to statistically study Galactic [Fe II] - emitting sources for the first time. In order to identify Ionized Fe Objects (IFOs) in survey area systematically, we conducted visual inspection and automatic detection simultaneously. Total of ~300 extended IFOs are identified, most of them are found out to be part of supernova remnants (SNRs), young stellar objects, HII regions and planetary nebulae. The majority of IFOs are new discoveries which reveal shocked structures in high-extinction region. Spatial distribution of IFOs suggest that they trace Galactic structure. As a part of spectroscopic follow-up, we observed SNR candidate IFO J183740.829-061452.41 with IGRINS (Immersion Grating Infrared Spectrograph, Yuk+2010), mounted on 2.7m Harlan Smith telescope. This unknown arc-like, 6'-long IFO is coincident with inner part of radio continuum loop G25.8+0.2, which has been known as HII region. However, interior of this radio shell is filled with diffuse soft X-ray emission, and possible association of hard X-ray pulsar / pulsar wind nebula makes the nature of the IFO unclear. The H and K-band 2D spectrum shows shock-ionized [Fe II] filaments, which is apart from photoionized HII filaments. In this presentation we present basic statistics of newly identified IFOs, as well as the follow-up study of IFO J183740.829-061452.41.

  • PDF

RTF 필터링을 이용한 모바일매핑시스템 레이저 데이터의 도로 장애물 제거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Removing Road Shields from Mobile Mapping System of the Laser Data using RTF Filtering Techniques)

  • 송현근;강병주;이성훈;최윤수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12
    • /
    • 2012
  • 현재 전 세계적으로 환경보전이나 석탄자원 고갈 등의 문제로 인해 친환경 자동차의 개발이 매우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고정밀 3차원 도로 지도제작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해 현재까지 MMS을 이용한 데이터 획득 방법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항공 레이저 측량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목적으로 개발된 기본적인 RTF 필터 알고리즘을 MMS에 적합하도록 수정하여 적용하였다. 실험을 통해 도출된 정량적 분석 결과 지면은 99.71%, 비지면은 99.95%의 매우 높은 제작자 정확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로 내에 존재하는 자동차, 가로수, 중앙분리대 등의 도로 장애물이 효과적으로 제거된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실무 작업에 효과적인 적용 및 작업 효율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모폴로지 연산을 이용한 얼굴 잡티 제거 기법 (The Reduction Method of Facial Blemishes using Morphological Operation)

  • 구은진;허우형;김미경;차의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64-367
    • /
    • 2013
  • 본 논문은 모폴로지 연산을 이용하여 얼굴의 잡티를 제거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먼저, 입력받은 RGB 3채널 영상에서 각 채널의 픽셀 값을 이용하여 피부 영역을 검출한다. 피부 영역의 R, G, B 각 채널 영상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만들어 각 채널 당 빈도수가 많은 픽셀 값 3개를 저장한다. 그 후, 피부 영역에 블랙햇 연산을 하여 잡티를 찾아낸다. 잡티로 검출된 픽셀은 자신의 픽셀 값과 8방향 이웃 픽셀 값, 앞에서 선택된 픽셀 3개의 평균으로 그 값을 변경한다. 그리고 잡티 부분의 픽셀에 중간값 필터를 이용하여 블러링을 한다. 잡티가 있는 얼굴 사진을 테스트 영상으로 실험한 결과 제안된 시스템은 얼굴의 잡티를 제거하여 얼굴 피부를 보정하는 방법은 단순히 영상을 밝게 하여 얼굴 피부를 보정하는 방법보다 효율적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