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a Exhibition Content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8초

Developing Experiential Exhibitions Based on Conservation Science Content of Bronze Mirror

  • Jo, Young Hoon;Kim, Jikio;Yun, Yong Hyun;Cho, Nam Chul;Lee, Chan Hee
    • 보존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62-369
    • /
    • 2021
  • In museums, exhibition content focuses mostly on cultural heritage's historical values and functions, but doing so tends to limit visitors' interest and immersion. To counter this limitation, the study developed an experiential media art exhibition fusing bronze mirrors' traditional production technology and modern conservation science. First, for the exhibition system, scientific cultural heritage contents were projected on the three-dimensional (3D) printed bronze mirror through interactions between motion recognition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ID) and the projector. Then, a scenario of 17 missions in four stages (production process, corrosion mechanism, scientific analysis and diagnosis, and conservation treatment and restoration)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temporal spectrum. Additionally, various media art effects and interaction technologies were developed, so visitors could understand and become immersed in bronze mirrors' scientific content. A user test was evaluated through the living lab, reflecting generally high levels of satisfaction (90.2 points). Qualitative evaluation was generally positive, with comments such as "easy to understand and useful as the esoteric science exhibition was combined with media art" (16.7%), "wonderful and interesting" (11.7%), and "firsthand experience was good" (9.2%). By combining an esoteric science exhibition centered on principles and theories with visual media art and by developing an immersive directing method to provide high-level exhibition technology, the exhibition induced visitors' active participation. This exhibition's content can become an important platform for expanding universal museum exhibitions on archaeology, history, and art into conservation science.

체험형 전시 콘텐츠의 프레즌스 경험과 효과에 관한 연구 (Presence Experience & Effect of the Experiential Exhibition Content)

  • 설연수;주정민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3권1호
    • /
    • pp.76-85
    • /
    • 2024
  • 본 연구는 체험형 전시 콘텐츠 관람객의 프레즌스 경험과 이에 따른 효과, 재관람 의도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혜초의 여행기 왕오천축국전, 실크로드 문화유산을 소재로 한 체험형 전시 콘텐츠 관람객 24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콘텐츠 소재에 대한 이해 및 관심도는 프레즌스 경험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유사한 체험형 전시 관람 경험은 프레즌스 경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아울러 전시 콘텐츠의 프레즌스 경험이 높을수록 프레즌스의 효과인 각성과 감동도 컸다. 그리고 프레즌스의 효과 중에서 감동은 재관람 의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향후 체험형의 전시콘텐츠는 이용자들이 프레즌스를 체험하게 하는 기획, 제작, 전시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아쿠아리움을 위한 미디어 전시 콘텐츠 제안 - 경포 석호생태관을 중심으로 (A Proposal of Media Exhibition Contents for the Aquarium - Focused on 'Gyeongpo Lagoon Ecological Museum')

  • 유미;우정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116-124
    • /
    • 2016
  • 본 논문은 아쿠아리움에 적합한 디지털 전시 콘텐츠에 대해 제시하며, 특히 경포 석호생태관 아쿠아리움의 전시에 대하여 기획하였다. 전체 공간에 대한 스토리텔링을 바탕으로 각 공간에 적합한 미디어 콘텐츠를 제시함으로써 전체 아쿠아리움과 동떨어진 것이 아닌 그 안의 각 요소에 자연스럽게 녹아들 수 있는 기획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아쿠아리움이라는 전시 특성상 전시와는 상관없지만 분명히 존재해야 하는 공간들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 공간들을 최대한 활용해 디자인함으로써 아쿠아리움 전체가 하나의 바닷속 공간인 것처럼 느껴지도록 유도하였다. 각 부분의 미디어 전시 기획은 공간에 적합한 미디어 플랫폼을 먼저 제시한 후 각각에 들어갈 콘텐츠를 기획하였다. 3D Water Projection, Kinect를 이용한 인터랙티브 미디어, Fog Screen로 총 3가지의 미디어 플랫폼의 사용을 제시하고, 그에 설치될 인터랙티브 전시 콘텐츠, 게임 콘텐츠, Fog Screen 콘텐츠에 대해서 기획하였는데, 이는 2D 드로잉 컨셉과 3D 전시 공간 모델링, 가상현실에서의 구현을 통해 제작되었다. 본 연구는 일반적인 전시와는 다른 특징을 갖는 아쿠아리움이라는 특정 전시 장르에 맞는 디지털 전시 콘텐츠를 단계적인 사전 시각화 방법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차별화된 디지털 전시 콘텐츠를 제시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물의 속성과 전시연출에 관한 연구 - 4대강 물문화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ttribute of Water and Exhibition Composition - Focused on Four-major River Water Culture Pavilion in Korea -)

  • 송현지;김남효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355-362
    • /
    • 2012
  • Water Culture Pavilion was constructed as a part of dam construction and Four-major rivers restoration projects, which have the purpose to prevent damage of natural disaster, localized heavy rain and drought, and has several functions; promotion, education and region culture community. Exhibition space in this culture pavilion should have the excellent connection of various media, contents, and exhibition space because of limited 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lows, continuation and connection of exhibit space with the perspectives of the attribute of water and to suggest various content things, technical, spatial types. This study targets Four-major rivers Water Culture Pavilion in Korea and suggests exhibition presentation methods as analyzing contents, media and constituent of exhibition space for each pavilion exhibi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 First, the circulation is common expressed attribute of water in these four water culture pavilion. The reason is that there is a connection between Four-major rivers restoration projects and the physical attribute of water circulating the steps of evaporation, condensation and precipitation. Second, each pavilion presents circulative solid exhibit, circulative background exhibit, circulative reflective exhibit based on circulation. These three types of exhibition is related the floor separation. Third, each pavilion exhibit zone shows the most circulation, solid, background, reflexibility through educational contents and promoting contents by using graphic, video, sound media.

  • PDF

전시배치방식 유형과 관람행동 상관성 분석 - 국립중앙과학관 상설전시관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hibition Arrangement Types and Viewing Behaviors - Focusing on the Permanent Exhibition Halls at the National Science Museum -)

  • 임채진;홍수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150-157
    • /
    • 2006
  • Founded on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exhibition scenarios and media, this study was conducted 1) to establish exhibition arrangement types by using three analytical indicators, such as arrangement types of exhibition, groupings of similar exhibition media, and exhibition density; and 2) to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arrangement types by using viewing behavior codes as a major analytical indicator. The following three types were investigated in this research: First, the Independent type (Type C) was found to be strongly influenced by architectural and spatial forms, especially by low exhibition density and high visual information. Also, compared with the Wall Dominant type, low number of viewing behavior codes and distribution was found even though there were high correlations among viewing behavior codes. This is assumed to be due to low exhibition density. Second, the Wall Dominant type (Type A) was found to be not influenced by architectural and spatial forms. This is because space is planned and restructured centering on the wall type showcases. At the planning stage of exhibition, it is easy to divide or combine space according to the contents and structure of exhibition scenarios. Compared with the Independent type, low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viewing behavior codes. This is due to low participation or manipulation exhibitions. However, this implies that more active viewing behaviors can be induced if appropriate exhibition techniques and arrangement methods are used for each exhibition content. Third, the Independent Dominant type (Type B) was found to confuse visitors in selecting routes by displaying too many exhibits at a limited space in a disorderly fashion. It failed to attract visitors to the main exhibition area, where a big space is formed in the center. Visitors were found to view exhibits that are arranged near the major traffic line.

과학관 '소리 빛' 전시공간, 체험형 인터랙션 전시 콘텐츠 연구 개발 (Research and Development of Interactive Exhibition Contents for 'Sound Light' Exhibition Space in Science Museum)

  • 김태욱;박남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137-14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과학박물관의 기본 개념과 역할을 바탕으로 일상생활과 직접 관련 있는 과학 원리의 전시, 교육, 체험의 제공을 목표로 한 '소리 빛' 인터랙션 전시 콘텐츠와 체험 전시공간을 연구 개발해 국립광주과학관의 '소리 빛' 전시 공간에 구현한다. 연구의 범위는 기존 과학관의 체험형 콘텐츠 선행 연구 사례와 현황을 살펴, 과학관 체험형 전시의 조건과 요소를 정의하고 그를 바탕으로 체험형 전시 시나리오와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콘텐츠를 연구 개발했다. 본 연구 개발 콘텐츠의 성과는 첫째, 빛과 소리를 테마로 인터랙티브 홀로그램 체험 콘텐츠를 개발한다. 둘째, 다수의 프로젝터에 의한 프로젝션 매핑을 통해 미디어 파사드 면을 다면화해 시각적으로 넓고 스펙터클한 화면 구성과 애니메이션을 실현한다. 셋째, 다양한 컬러와 소리를 함께 움직이며 관람객과의 상호작용이 가능한 관람객 중심의 전시, 체험을 실현한다. 마지막으로 홀로 스크린을 통한 홀로그램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터랙티브 콘텐츠를 제공하여 전시 정보의 단순한 전달이 아닌 관람에 대한 다수 관람객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며 전시 재방문을 증진한다. 일련의 연구를 통해 최근 과학관의 추세인 테마파크적 성격을 지닌 콘텐츠 및 체험 전시공간 연구 개발이 가능했다.

웹 기반 가상 전시 구축 모델 제안 - '루이스&클락(Lewis&Clark)' 가상 전시 사례를 중심으로 - (Web-based Cyber Exhibition Development Model Proposal - Focused on the Case of 'Lewis&Clark' Cyber Exhibition -)

  • 김희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123-133
    • /
    • 2008
  • 웹 전시, 온라인 전시, 가상 전시라고 명명된 많은 콘텐츠들을 살펴보면 일반적인 정보를 주는 웹사이트와 차별화되지 않는 것이 많다. 따라서 본 논문은 웹을 기반으로 한 가상 전시에 있어서 일반 웹사이트와 확연히 차이가 나고 가상 전시 개발의 프레임워크(framework)가 될 수 있는 모델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모델은 전시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 요소로서 전시물의 집합체인 아카이브 층,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전시 층, 그리고 수용자의 몰입을 극대화하기 위한 경험 층의 3개 층으로 설계해 보았다. 모델이 적용된 사례의 분석을 통하여 실제로 모델의 적용이 가능함을 제시함과 동시에 지향점이 다른 수용자를 고려한 가상 전시의 개발 방향도 제시하였다. 가상 전시의 개발 모델을 활용할 경우 현란한 기술 위주의 콘텐츠가 아닌 '소재와 가치+미디어와 CT'의 융합을 통하여 가상 전시가 독자적인 콘텐츠의 영역으로 인식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전주 한옥마을의 실감 3D View를 위한 Light ID 및 HMD-AR 기반 인터렉티브 전시 설계 (Light ID and HMD-AR Based Interactive Exhibition Design for Jeonju Hanok Village Immersive 3D View)

  • 민병준;비나야감 마리아판;차재상;김대영;조주필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414-420
    • /
    • 2018
  • 최근 디지털 컨버전스는 현실세계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미디어 콘텐츠에 가상 콘텐츠를 투영시켜 사용자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 할 수 있도록 발전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HMD AR 기술을 이용한 Light ID 및 HMD-AR 기반 인터렉티브 전시를 제안하였다. 이 접근법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전시물에 추가적인 인프라를 설치할 필요 없이 기존 사용되고 있는 조명 또는 디스플레이를 사용 할 수 있다. 또한 Light ID는 웹 콘텐츠로의 접근을 위해서만 사용되는 QR 태그와 달리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 및 통신 매체로도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카메라를 기반으로 한 광 무선 통신 (OWC)의 장점을 활용하여 스마트 장치에서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ID를 수신하고 AR형태로 실감 3D 콘텐츠를 시각화하여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제안한 설계 기법에 대해 전주 한옥 마을을 타겟으로 Light ID 기반 광무선통신 기술을 활용한 실감 3D View 제공 기술을 구현하고 테스트를 수행하였으며, 실험 결과 제안한 기법을 통해 전시물에 관한 실시간 몰입형 3D 뷰를 제공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참관기/세계의 방송 및 애니메이션 제작자들 참여 '선진 트랜드 체험'

  • 엄태평
    • 디지털콘텐츠
    • /
    • 3호통권118호
    • /
    • pp.30-31
    • /
    • 2003
  • 올해로 40회를 맞는 NATPE 2003 Conference and Exhibition이 미국 재즈의 본고장 뉴올리언즈에서 지난 1월 20일부터 23일까지 개최되었다. MIPTV, MIPCOM이 유럽을 중심으로 한 국제 프로그램 견본시장이라면 NATPE(넷피)는 미주 특히 미국을 중심으로 한 견본시장이며 "The Alliance of Media Content Professionals"을 표방하는 NATPE(National association of Television Program Executives)가 주관하는 TV Business network과 Syndication중심의 세계적 미디어 비지니스 이벤트이다.

  • PDF

위치기반서비스(LBS) 적용 전시관의 콘텐츠 체험방식과 기술특성에 관한 연구 - 이동통신 기업홍보관 티움(T.um)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ethods for Experiencing Contents and Network Technologies in the Exhibition space applied with Location Based Service - Focus on T.um as the Public Exhibition Center for a Telecommunication Company -)

  • 이주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173-181
    • /
    • 2010
  • Opened on November 2008, as the public exhibition center of a telecommunication company, T.um is dedicated for delivering the future ubiquitous technologies and business vision of the company leading domestic mobile communication business to the global expected clients and business partners. Since the public opening, not only over 18,000 audiences in 112 nations have been visiting T.um, but also the public media have been releasing news regarding the ubiquitous museum constantly. By the reasons, T.um is regarded as a successful case for public exhibition centers. The most distinguished quality of the museum is established by the Location Based Service technology in the initial construction stage. A visitor in anyplace of T.um can be detected by digital devices equipped GPS systems. The LBS system in T.um allows visitors to get the information of relevant technologies as well as the process of how to operating each content at his own spots by smart phone of which wireless network systems make it possible. This study is focusing on analyzing and defining the T.um special qualities in terms of technologie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following exhibition space projects based on LBS. The special method of experiencing contents can be designed by utilizing the network system applied to T.um in the planning st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