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chanical system

검색결과 20,003건 처리시간 0.059초

전기방사법으로 제조된 Ag 나노섬유의 투명전극 특성 (Characteristics of Electrospun Ag Nanofibers for Transparent Electrodes)

  • 현재영;최정미;박윤선;강지훈;석중현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56-161
    • /
    • 2013
  • 연속적인 1차원의 나노섬유를 제작하는데 빠르고 효과적인 방법인 전기방사법을 이용하여 Ag 나노섬유로 이루어진 투명전극을 제작하고 그 특성을 측정하였다. 전기방사를 통해 제조된 Ag 나노섬유는 큰 종횡비를 갖게 되며 열처리를 통해 생성된 섬유사이의 fused junction이 접촉저항을 낮추어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킨다. Ag/고분자 용액을 졸-겔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후 glass 기판위에 방사시켜 Ag/고분자 나노섬유 구조체를 제작하고 $200{\sim}500^{\circ}C$, 2시간 열처리하여 고분자가 일정부분 제거되고 전도성이 향상된 Ag 나노섬유 투명전극을 제조하였다. Ag 나노섬유의 모폴로지를 FE-SEM을 통해 확인하였고 Ag 나노섬유 투명전극의 투과도와 면저항을 UV-vis-NIR spectroscopy와 I-V특성 측정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투과도 83%에서 면저항 $250{\Omega}/sq$의 투명전극을 제작하였으며 전도성필름에 적합한 수준이다. Ag 나노섬유로 이루어진 투명 전극은 전기적, 광학적,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여 차세대 유연 디스플레이에 적용 가능성을 보여준다.

기계분야 국가기술자격 기능에 따른 직무능력 직무적합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rrelations of Job Competence and Job Fitness with Functions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in Mechanical Field)

  • 원상봉;강석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4707-4714
    • /
    • 2010
  • 자격의 현장성, 통용성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자격의 기능에 대한 직무능력, 직무적합성과의 어떠한 관계가 형성되는지에 대한 모형을 제시하여 이들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밝히기 위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자격의 현장성, 통용성에 대한 실마리를 찾고자 하였다. 첫째. 기계분야 국가기술자격취득자의 경우 자격의 기능별(신호, 선도, 선별) 직무능력과 직무적합성과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계분야 국가 기술자격 취득자의 직무능력, 직무적합성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하위 요인은 신호기능이라는 것을 밝혀냈다. 셋째, 자격의 기능이 직무적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직무능력의 매개효과를 자격이 기능별로 밝혀낸 점이다. 선도 기능의 경우 매개효과가 없었으나 신호기능 및 선별기능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신호기능이 상대적으로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밝혀냈다. 마지막으로 자격의 기능별 하위 요인에 대한 직무능력과 직무적합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조구등이 MCAO 모델 흰쥐에서 gliosis 억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Water Extract of Uncariae Ramulus et Uncus on Gliosis in the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MCAO) Rats)

  • 김상우;김선애;송봉근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763-774
    • /
    • 2010
  • Objectives : In condition of brain infarction, irreversible axon damage occurs in central nerve system(CNS), because gliosis becomes physical and mechanical barrier to axonal regeneration. Reactive gliosis induced by ischemic injury such as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is involved with up-regulation of GFAP and CD81.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Uncariae Ramulus et Uncus on CD81 and GFAP expression in the rat brain following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ethods : In order to study ischemic injuries on brain, infarction was induced by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MCAO) using insertion of a single nylon thread, through the internal carotid artery, into a middle cerebral artery. Cresyl violet staining, cerebral infarction size measurement, immunohistochemistry and microscopic examination were used to detect the expression of CD81 and GFAP and the effect on the infarct size and pyramidal cell death in the brain of the rat with cerebral infarction induced by MCAO. Results :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Measuring the size of cerebral infartion induced by MCAO in the rat after injection of Uncariae Ramulus et Uncus showed the size was decreased. 2. Intravenous injection of Uncariae Ramulus et Uncus showed pyramidal cell death protection in the hippocampus in the MCAO rat. 3. Water extract injection of Uncariae Ramulus et Uncus decreased GFAP expression significantly in the MCAO rat. 4. Uncariae Ramulus et Uncus water extract decreased CD81 expression in the MCAO rat. 5. The administration of water extract of Uncariae Ramulus et Uncus induced up-regulation of c-Fos expression significantly compared with MCAO. 6. The admistration of water extract of Uncariae Ramulus et Uncus increased ERK expression significantly compared with MCAO. Conclusion : We observed that Uncariae Ramulus et Uncus could suppress the reactive gliosis, which disturbs the axonal regeneration in the brain of the rat with cerebral infaction after MCAO by controlling the expression of CD81 and GFAP. The effect may be modulated by the up-regulation of c-Fos and ERK. These results suggest that Uncariae Ramulus et Uncus can be a candidate to regenerate CNS injury.

신경결찰에 의한 신경병증성 통증 쥐에서 NMDA Antagonist 전처치가 이질통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treatment with NMDA Antagonist for Tactile Allodynia in Nerve Ligation Induced Neuropathic Pain Rat)

  • 이윤우;윤덕미;이종석;안은경;이영숙;김종래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9권2호
    • /
    • pp.311-317
    • /
    • 1996
  • Background: Following peripheral nerve injury, rats will show a tactile allodynia and hyperalgesia. But the mechanism of allodynia is still obscure.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is allodynia was reversed by intrathecal alpha-2 agonists and NMDA antagonists, but not by morphine. In formalin test, either the pretreatment of NMDA antagonist or morphine prevents the hyperalgesia. The present studies, using rats rendered allodynic by ligation of the left L5 and L6 nerve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etreatment of MK-801 and morphine on the development of tactile allodynia. Methods and Material: Male Sprague-Dawley rats (100~150g) were anesthetized with halothane, the left L5 and L6 spinal nerves were ligated tightly by 6-0 black silk. For sham operation muscle dissection was performed but the spinal nerve was not ligated. For pretreatment of drugs, MK-801 (NMDA antagonist; 0.3 mg/kg). CNQX (non-NMDA) antagonist; 0.3 mg/kg), morphine (1 mg/kg) or saline (placebo) was administered subcutaneously 30 minutes before operation. A second dose was administered subcutaneously 24 hours after operation and further doses were given daily for 2 days further. The volume of injection was 5 ml/kg. To assess the mechanical allodynia, paw withdrawal thresholds of ipsilateral limb were determined using 8 von Frey hairs. Results: Within 2 days saline, CNQX or morphine injected rats developed tactile allodynia (paw withdrawal threshold was about 2g), and persisted for over 2 weeks. Pretreatment of MK-801 delayed the development of tactile allodynia for 3 days comparing to that of saline injected rat. Conclusion: NMDA receptor in the central nerve system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tactile allodynia induced by peripheral nerve injury. But the mechanism may be different from hyperalgesia developed in formalin test.

  • PDF

I 형강 합성바닥판의 정적성능 평가 (Experimental Evaluation for Static Performance of I-Beam Concrete Slab System)

  • 정영수;박창규;김용곤;이원표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3권5호
    • /
    • pp.430-437
    • /
    • 2001
  • 최근 교량상 통과하중의 증대 및 교통량증대로 공용중의 교량의 바닥판은 가혹한 하중하에서 펀칭등의 파괴가 발생하여 사용상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한 바닥의 보수나 교체공사등이 급격히 증가되어 신속 간편하며, 보수시 교통통제를 최소화 할 수 있고 또한 신뢰성이 있는 바닥판 시공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교량구조물 바닥판의 신설/교체공사에 있어서 신속한 시공과 신뢰성 있는 품질관리, 교통통제의 최소화를 위해 공장 또는 제작장에서 바닥판 구조물의 주부재로서 I형강을 배치하고 거푸집(저판)을 조립하여 패널을 제작한 후 현장에서는 패널의 설치 및 연결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판을 시공하는 공법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형강 합성바닥판 개발에 필요한 I형강 자체의 역학적, 구조적 특성에 대하여 기초적인 물성 실험인 정적. 피로성능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I형강 합성바닥판 및 유사한 성능의 바닥판 시험체를 제작하여 정적실험을 수행 비교하였다. 그리고 본 실험 연구 결과 I형강 합성바닥판의 우수성을 확인하였다.

중앙집중식 컨트롤러 고소작업차의 고소리프트의 구조안정성 평가 (Centralized Controller High-altitude Work Car Elevations Lift Structure Safety Assessment)

  • 김준태;이기영;이상식;박원엽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350-357
    • /
    • 2017
  • 본 연구는 선행 연구로 진행되었던 수직상승형 고소작업차의 개발을 위한 구조해석 및 원격 제어를 포함한 중앙집중식 컨트롤러 및 유압식 상승리프트 개발에 관한 사후 연구로 진행되었다. 기존에 연구를 진행하면서 개발하였던 고소리프트의 구조 변경을 통하여 안전성 검토를 실시하였다. Solidworks로 3D 모델링을 진행하였으며, Hypermesh S/W를 통하여 유한요소의 모델을 생성하였다. 또한, 평가를 위한 작업차의 적재 환경은 작업 테이블에 위치별(전체, 상좌, 상우, 하좌, 하우)로 적재량이 250 kg인 조건, 작업 테이블에 위치별(전체, 상좌, 상우, 하좌, 하우)로 적재량이 600kg인 조건으로 하여 구조해석을 진행하여 다방면으로 안전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허용 적재량 250 kg과 초과 적재량 600 kg에 대해서 최대응력이 발생하는 부품을 제외한 결과를 살펴보면(Case-11 제외), 응력 수준은 항복강도 이하임을 알 수 있다. Case-11의 경우에는 최대응력이 발생하는 부품을 제외한 후에도 상단의 안전바 중앙 지지부에서 항복강도를 초과하는 영역이 존재하지만, 최대응력이 발생하는 부품과 같이 전체 구조물의 안전성 측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변위(처짐) 결과를 살펴보게 되면, 모든 경우에 있어서 동일하게 테이블에서 최대 처짐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250 kg과 600 kg 모두 처짐이 발생하는 경향은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섬유센서에 의한 간이 비접촉 표면조도 측정기의 개발 (Development of the Handy Non-contact Surface Roughness Measurement Device by using the Optical Fiber Sensor)

  • 홍준희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346-362
    • /
    • 2009
  • 본 연구는 광섬유센서를 이용하여 표면조도의 간이 비접촉 측정기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광섬유 센서의 장점은 우수한 고속 응답성, 자기의 무영향, 제작의 편이성이다. 광섬유센서 표면조도 측정 원리는 측정물의 표면조도에 따라 반사되는 광의 세기와 기지의 표면조도 값을 일대일 대응시키는 것이다. 반사광의 세기는 센서 프로브로부터 표면까지의 거리와 표면조도에 따른 반사한계각에 따라 결정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표면까지의 거리를 일정하게 하여 표면조도에 따른 반사한계각만을 가지고 표면조도가 결정되도록 측정 프로브를 제작하였다. 측정 시스템은 발광부, 수광부과 신호처리부로 구성되었다. 이 실험에서 사용된 표준 측정 재료는 SM45C, STS303과 Al60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재료에 따른 표면조도와 센서출력의 상관관계로부터 근사표면조도식을 도출하고 임의 가공된 시료의 표면조도 측정을 통해 근사표면조도식이 유효함을 입증하였다. 둘째, 실제 제작한 간이 광섬유센서 표면조도 측정기가 유용함을 입증하였다.

소형 콘의 온도보상 기법 연구 (Study of Temperature Compensation method in Mini-Cones)

  • 윤형구;정순혁;조세현;이종섭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1C호
    • /
    • pp.29-38
    • /
    • 2011
  • 소형 콘은 해상도가 뛰어나 국부영역의 탐지를 위하여 다양하게 활용되고있다. 소형 콘은 변형률계 부착 면적이 부족하여 half-bridge 형태로 회로를 구성하고 있으며, 이는 주변온도 변화에 의하여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러한 온도영향을 해소하기 위하여 소형 콘의 온도보상 기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직경과 길이가 각각 15mm 그리고 56mm인 소형 콘을 개발하였다. 로드셀은 온도변화만을 반영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후면으로 54mm 연장하여 제작되었다. 온도보상회로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선단저항 부분, 주면마찰 부분 그리고 연장한 로드셀에 부착하여 소형 콘 내에서 휘트스톤 브리지(Wheatstone bridge) 회로를 구성하였다. 소형 콘의 일반적 회로구성인 half-bridge도 내부에 함께 구성하여 상호간의 결과값을 비교 및 고찰하였다. 여름과 겨울의 계절적인 온도변화에 따라 측정값의 오차를 검증하기 위하여 계절적 온도 변화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지반다짐 실험으로 지반의 상대밀도를 증가시켜 관입 시 주변 온도변화에 따라 측정값 변화도 관찰하였다. 측정결과 온도보상회로를 이용하여 측정한 값은 half-bridge 회로로 측정한 값과 차이를 보였으며, 더욱 안정화되고 이상적인 경향을 보였다. 본 논문은 소형 콘 사용시 온 도 영향에 대한 문제를 해소하고 더욱 신뢰성 높은 측정값을 획득할 수 있는 기법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자동차 실내 인화성물질과 전기과부하에 의한 화재관련 사례 연구 (A Study for Examples of Fire including with Combustible Substance and electrical overload in Automotive Inside Room)

  • 한재오;함성훈;임하영;이일권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8-43
    • /
    • 2014
  • 이 논문은 자동차 실내의 인화성 물질과 전기적인 접촉 불량에 의한 화재사례를 분석하고 연구하는 것이다. 첫 번째 사례는 운전자가 에어컨 냄새 탈취제인 방향제를 사용 후 실내의 크래쉬 패드에 두고 내린 것이 외부의 복사열에 의해 폭발하면서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두 번째 사례는 운전자가 자동차 실내에 전자기기 등을 사용하면서 전기적인 과부하가 걸려 단락현상에 의해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세 번째 사례는 자동차 내부의 시트를 따뜻하게 하기 위해 열선을 설치하였다. 초기에 설치하였을 때는 화재의 위험성이 약했으나 5,000km를 운행하면서 이 열선의 내구성이 떨어지면서 순간적으로 전기적인 과부하가 발생되었고, 이 열이 시트에 옮겨 붙으면서 자동차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네 번째 사례는 뒷좌석에 있던 승객이 담배를 피우던 중 완전히 소화하지 않은 상태로 둔 것이 가연성 종이에 옮겨 붙어 자동차가 전소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실내의 인화성 물질이나 전기적인 시스템을 추가로 사용할 때는 화재가능성을 최대한 고려하고 이에 대한 세심한 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O/W 유제의 물리적 안정성에 대한 PVP의 영향 (Effect of PVP on the Physical Stability of O/W Emulsion)

  • 오인준;이미영;이정민;이용복;신상철;최보길;김종국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7권4호
    • /
    • pp.287-293
    • /
    • 1997
  • To make a stable o/w emulsion, the effects of egg lecithin as an emulsifier and polyvinylpyrrolidone (PVP) as an auxiliary emulsifier on the physical stability of emulsion were investigated. The oil-in-water emulsion system was manufactured by microfluidizer and evaluated the physical stability. Average particle size and size distribution of emulsion was measured by dynamic light scattering analyzer and interfacial tension was measured. From the interfacial tension tested,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of the egg lecithin was 0.1 %w/v and optimal concentration for the preparation of emulsion was 1.0 %w/v. The mean particle size was about $0.2\;{\mu}m$ which was suitable for injections. The short-term accelerated stability studies were conducted by centrifugation, freeze-thaw method and shaking of the emulsion samples. The addition of PVP was caused the reduction in the particle size and improved the physical stability of emul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 mixed interfacial film comprising the egg lecithin and PVP was formed at the o/w interface and it was effective in preventing phase separation under thermic or mechanical stress. We used antineoplaston A10 (A10) as a model drug which is peptide and amino acid derivative having a action to the living organism against the development of neoplastic growth by a nonimmunological progress. It has a poor solubility in water and there may be a difficulty in formulation of A10. Emulsion formulation study about A10 was performed. Solubility of A10 in emulsion was about five times as high as that in water. From the results of solubility and partition coefficient, almost A10 molecules in o/w emulsion exist in the interface between oil and wat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