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chanical Respirator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5초

고압 적용용 초소형 감압기 설계를 위한 유동 해석 및 최적 설계 (Analysis of Flow Characteristic and Optimum Design for Subminiature Pressure Reducer Under High Pressure)

  • 이원준;백종태;윤린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41권8호
    • /
    • pp.497-503
    • /
    • 2017
  • 산소호흡기의 실질적인 개발 제작 및 안정성 파악을 위해서는 산소유동의 이론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상용 해석 툴인 COMSOL 멀티피직스를 이용하여 산소호흡기의 사용시간 연장을 위한 고압용 감압기 설계를 진행하였다. 기존 감압기의 오리피스 내 핀 형태의 실린더 삽입 방법을 제안했으며, 새로 제시한 오리피스에 대해 3 mm, 6 mm 그리고 9 mm의 길이에서 유동 특성 분석 및 최적 길이를 도출하였다. 기존 감압기에서 토출되는 질량유량 0.028 kg/s 을 기준으로, 최대 감압기 입구 압력인 300 bar 경우 약 33%, 감압기 입구 압력조건인 50 bar, 75 bar 그리고 100 bar에서는 평균 32.71% 내외로 기존 질량조건을 만족하였다. 가공 용이성을 고려할 때 기존의 감압기와 길이가 동일하여 별도의 가공이 필요 없는 3 mm가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양질계수(Quality Factor)를 이용한 방진마스크 필터의 성능평가 (Performance of Respirator Filters Using Quality Factor (qF))

  • 한돈희;정윤석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70-178
    • /
    • 2000
  • Most of manufacturers try to produce the most efficient filter for respirators with the lowest breathing resistance. Filter performance depends on low penetration, i.e., high efficiency (%), and low pressure drop ($mmH_2O$).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performance of respirator filters by quality factor ($q_F$) and suggest the direction for improvement of respirator filters of good quality in Korea. Two mechanical filters, S and K made in Korea, three filtering facepieces, S made in China, C made in Korea and M made in USA, which were widely used in the workplace, were selected and tested efficiency and pressure drop in accordance with flow rate, using with Automated Filter Tester Model 8110 (TSI, USA). The best quality factor within the same respirator filter categories was $0.0672cm^{-1}\;H_2O$ for mechanical filter S, $0.0698cm^{-1}\;H_2O$ for filtering facepiece M at flow rate of 32Lpm. Mechanical filter S would be the best suitable during heavy work since qulity factors decrease less sharply than any others as increased flow rates. It was necessary for mechanical filter S to lower pressure drop without increasing efficiency, but mechanical filter K should be increased efficiency and decreased pressure drop. While filtering facepiece M had the best quality performance of three ones, Sand C should get much higher efficiency and lower pressure for better performance.

  • PDF

Evaluation of a New Workplace Protection Factor―Measuring Method for Filtering Facepiece Respirator

  • Sun, Chenchen;Thelen, Christoph;Sanz, Iris Sancho;Wittmann, Andreas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1권1호
    • /
    • pp.61-70
    • /
    • 2020
  •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assess whether the TSI PortaCount (Model 8020) is a measuring instrument comparable with the flame photometer. This would provide an indication for the suitability of the PortaCount for determining the workplace protection factor for particulate filtering facepiece respirators. Methods: The PortaCount (with and without the N95-CompanionTM) was compared with a stationary flame photometer from Moores (Wallisdown) Ltd (Type 1100), which is a measuring instrument used in the procedure for determining the total inward leakage of the particulate filtering facepiece respirator in the European Standard. Penetration levels of sodium chloride aerosol through sample respirators of two brands (A and B) were determined by the two measuring systems under laboratory conditions. For each brand, thirty-six measurements were conducted. The samples were split into groups according to their protection level, conditioning before testing, and aerosol concentr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auged data from two measuring systems was determined. In addition,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inside the respirator and outside the respirator was documented.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calcul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ortaCount (with and without the N95-CompanionTM) and the flame photometer. Results: A linear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raw data scaled with the PortaCount (without N95-CompanionTM) and the data detected by the flame photometer (R2 = 0.9704) under all test conditions. The distribution of particle size was found to be the same inside and outside the respirator in almost all cases. Conclusion: Based on the obtained data, the PortaCount may be applicable for the determination of workplace protection factor.

연명(延命)치료적 인공기계호흡요법의 보류(保留)/중지(中止)를 전후한, 법의학적 및 윤리적 문제들과 그 대처방안 (The Medico-Legal and Ethical Problems of Withholding / Withdrawing of Futile Life-Sustaining Mechanical Respirator treatment)

  • 김건열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8권3호
    • /
    • pp.213-229
    • /
    • 2005
  • The first and the longest criminal indictment case of Korean medico-legal battle, so called BORAMAE Hospital Incident, was finally on its end by Korean Supreme Court's decision on June 24, 2004, after 7 years long legal dispute via Seoul District Court and Seoul Superior Appeal Court's decision. Boramae Hospital case was the first Korean legal case of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of mechanical respirator on 58 years old Extradural Hematoma victim who was on Respirator under Coma after multi-organ failure postoperatively(APACHE II score: 34-39). Two physicians who have involved patient's care and had helped to make discharge the Near-death patient to home after repeated demand of patient's wife, due to economic reason, were sentenced as homicidal crime. This review article will discuss the following items with the review of US cases, Quinlan(1976), Nancy Cruzan(1990), Barber (1983), Helen Wanglie(1990), Baby K (1994) and Baby L cases, along with Official Statement of ATS and other Academic dignitaries of US and World.: [1] Details of Boramae Hospital incident, medical facts description and legal language of homicidal crime sentence. [2] The medical dispute about the legal misinterpretation of patient's clinical status, regarding the severity of the victim with multi-organs failure on Respirator under coma with least chance of recovery, less than 10% probability. [3] Case study of US, of similar situation. [4] Introduction of ATS official Statement on Withdrawing/ Withholding Life sustaining treatment. [5] Patient Autonomy as basic principle. [6] The procedural formality in Medical practise for keeping the legitimacy. [7] The definition of Medical Futility and its dispute. [8] Dying in Dignity and PAS(Physician Assisted Suicide)/and/or Euthanasia [9] The Korean version of "Dying in Dignity", based on the Supreme Court's decision of Boramae Hospital incident (2004.6.24.) [10] Summary and Author's Note for future prospects.

흉선종양과 Myasthenia Gravis가 합병한 1례 보고 (A Case Report of Myasthenia Gravis Combined with Thymoma)

  • 최수승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7권1호
    • /
    • pp.123-126
    • /
    • 1974
  • The incidence of myasthenia gravis in patients with thymomas has been reported from 10 to 50 percent, and the controversy ranges from 8-15 percent. This is the report of myasthenia grayis combined with benign thymoma and obtained relatively good result through surgical treatment at the department of thoracic surgery, National Medical center. The thymoma was mixed type and benign nature. Post operatively this patient was developed myasthenia crisis, and treated with mechanical respirator, and recurred the symptoms about 2months later, but well controlled with medical treatment.

  • PDF

공기 중 유기용제 농도수준이 방독마스크 정화통의 활성탄 흡착용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irborne Organic Vapor Concentration Levels on the Adsorption Capacity of Charcoal in the Cartridges of Air Purifying Respirators)

  • 박두용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50-56
    • /
    • 2011
  • The adsorption capacity of charcoal is a function of the airborne concentration of the target chemical. To evaluate the adsorption capacity of charcoal packed in the cartridges of air purifying respirators, breakthrough tests were conducted with carbon tetrachloride for three commercial cartridges (3M models #7251, #6000 and AX) at 25, 50, 100, 250 and 500 ppm. Adsorption capacities were calculated using a mass transfer balance equation derived from the curve fitting to the breakthrough curves obtained experimentally. Carbon micropore volumes were estimated by iteration to fit the Dubinin/Radushkevich (D/R) adsorption isotherm. They were 0.6566, 0.5727 and 0.3087 g/cc for #7251, #6000 and the AX cartridge, respectively. Above 100 ppm (at high challenge concentrations), #7251 and #6000 showed higher adsorption capacities. However, as the challenge concentration decreased, the adsorption capacities of #7251 and #6000 sharply dropped. On the other hand, the adsorption capacity of the AX cartridge showed little change with the decrease of the challenge concentration. Thus, the AX showed a higher adsorption capacity than #7251 and #6000 at the 5-50 ppm level. It is concluded that service-life tests of cartridges and adsorption capacity tests of charcoal should be conducted at challenge concentration levels reflecting actual working environmental conditions. Alternatively, it is recommended to use the D/R adsorption isotherm to extrapolate adsorption capacity at low concentration levels from the high concentration levels at which breakthrough tests are conducted, at a minimum of two different concentration levels.

수술후성 기관협착증에 관한 임사적 고찰 (The clinical study for the postoperative tracheal stenosis)

  • 김기령;홍원표;이정권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77년도 제11차 학술대회연제 순서 및 초록
    • /
    • pp.9.1-10
    • /
    • 1977
  • 문명의 발달로 나날히 복잡해지는 사회 환경속에서 우리는 생명을 위협하는 수 많은 사고를 당하게 되며, 이럭 경우에 상기도를 유지하기 위한 기관절재술을 많이 시행하게 되는데, 때로는 기관협착등 이에 따른 여러가지 합병증을 유발하게 되는 경우가 있으며, 임상가들에게도 곤란한 문제를 갖어다 주고있다. 그러나 이러한 합병증은 수술방법의 개선과 항생제의 출현등으로 그 빈도가 많이 감소되기는 하였으나, 1969년 Lindholm은 술후성 기관협착증의 빈도를 1.5%내지 10%라고 했으며, 1969년 Donnelly, Mulder와 Rubush, 그리고 1971년 Andrew와 Pearson 등은 이들 원인의 대부분이 cuff 가 있는 기관삽입관이나, 기관케뉼(tracheal canula)의 부적합한 사용이나, 또는 감염에 의한 압박괴사(pressure necrosis)로 형성된다고 하였고, 협착부위로서 1972년 Bryce는 절개공(stoma)주위가 가장 많으며, 응급기관절개술시에 의사의 부정요법(mal-practice)도 원인이 될 수 있다고도 주의한 바 있다. 기관협착증의 치료로서 협착이 경미한 경우에는 일차적으로 세심한 관찰을 실시하면서 실리콘관(silicon tube)이나 스텐트(stent)를 사용하거나, 비강을 통한 삽관법(naso tracheal intubation)으로 기계적인 확장을 시도하며 (Schmiegelow, 1929, Montgomery, 1965), 육아조직이 형성되었을 경우에는 기관경검사하에서 이를 제거한 후에 steroid를 병용하는 편이 좋은데(Birck, 1970) 그밖에도 기관개찰술(Fenestration method, 백·홍 1974)이나 재수술(Revision)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서도 치료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그 협착 부분을 절제한 후에 단단문합술(End-to-End Anasto-mosis)을 시행하는 수도 있다. 저자들은 1967년 10월부터 1977년 3월까지 10연년간 세브란스병원에서 기관절개술을 받았던 1514례를 대상으로 일련의 조사를 실시하여 이들 중에서 기관협착증을 유발한 23례를 치료하였으며, 여기서 몇가지 지견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연골피막편 이식후 기관 결손부위의 재생에 관한 실험적 연구(제 1 보) (Tracheal Reconstruction with Perichondrial Graft - An Experimental Study in Rabbits -)

  • 이원상;서장수;이성은;홍원표;박찬일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2년도 제16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0.3-11
    • /
    • 1982
  • 근래에 기도 협착의 발생빈도는 수술요법의 괄목할만한 진전과 Low pressure cuff가 개발된 후 현저히 감소하고 있으나 호흡부전으로 Ventilator를 사용하는 경우와 심한 상기도 감염이나 손상이 있을 때 또는 장기간 삽관을 함으로서 발생하는 기관 협착증은 아직도 이비인후과 영역에 있어서 난제라고 하겠다. 이러한 기도 협착증의 치료로는 기계적으로 확장을 하거나 협착 부위를 수술적으로 제거하고 조직을 이식하는 여러 방법들이 있어서 그적응증에 따라 각각 사용되어 오고 있으나 아직까지도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는 때가 많은 실정이다. 1959년 Lester가 우연히 늑골의 잔존 연골피막으로부터 신생 연골이 재생된 것을 발견한 이후 Skoog(1972), Sohn(1974), Ohlsen(1975)등은 동물 실험을 통하여 연골 피막으로 부터의 연골 재생에 관하여 다각적인 보고를 하였다. 임상적으로 이개, 비중격, 늑골 및 피부편등 여러 가지 다양한 조직들이 기관의 결손 또는 협착 부위의 재생에 사용되어 왔으나 기관의 정상적인 지지 조직의 연골이며 또한 연골피막이 연골의 재생을 가능케 한다는 점에 입각하여 기관의 재건에 연골피막의 사용가능성을 알아 보고저 다음의 실험을 하였다, 가토의 이개연골에서 연골피막을 취한후 인위적으로 만든 가토의 기관 결손부위에 이식한 다음 2주부터 8주경과 할때 까지의 재생 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결론) 1) 기관결손 부위의 재생은 대조군에서는 결손부위에 섬유질 및 혈관으로 구성되었으나 이식군에서는 비후된 연골피막과 섬유질로 구성되었다. 2) 점막의 재생은 대조군과 이식한군 모두에서 2주경과 표본부터 정상점막으로 완전히 재생 되었다. 3) 이식 부위의 변화를 보면 2주-모세혈관의 확장과 염증반응을 동반하며 섬유조직의 증식시작이 관찰되었다. 4주-점차 모세혈관의 확장이 감소하며 염증반응의 감소가 있으며 점막하층의 섬유조직의 증식이 있고 1개의 표본에서 연골피막내에 미숙연골 세포군이 존재. 6주-경도의 모세혈관의 확장과 만성염증반응이 존재하며 점막하층의 섬유조직화가 존재하였으며 2개의 표본에서 연골피막내에 연골 세포군 및 골화현상이 존재하였다. 8주-경미한 모세혈관의 확장이 존재하였으나 염증반응은 소실되었고 점막하층에 심한 섬유화를 동반하였다. 표본 2개에서 연골 피막내에 연골 세포군의 존재가 관찰되었다. 4 ) 이식방법을 달리한 경우에도 연골 및 점막의 재생에는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5) 연골피막 이식부위에서 미숙연골 세포군과 endo-chondrial ossification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대조군에서는 결손부위의 섬유화만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때 연골피막은 기관결손부위의 재진에 적합한 조직이라할 수 있었다. 그러나 40 례의 표본중 5례의 표본에서만 연골의 세포군을 관찰할 수 있어 이로 미루어 볼때 연골피막으로 부터 신생 연골이 재생된다 확인하기는 불충분하다고 생각되며 앞으로의 추시가 요망된다 하겠다.

  • PDF

관상동맥우회술 시 사용된 박동성펌프$(T-PLS^{TM})$와 비박동성펌프$(Bio-pump^{TM})$의 비교연구 (The Comparative Study of on Pump CABG during Pulsatile $(T-PLS^{TM})$ and Nonpulsatile $(Bio-pump^{TM})$ Perfusion)

  • 박영우;허균;임재웅;신화균;원용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5호
    • /
    • pp.354-358
    • /
    • 2006
  • 배경: 체외순환에 사용되는 박동성 펌프는 비박동성 펌프에 비해 조직관류가 좋지만 혈구손상이 많다고 알려져 왔다. 관상동맥우회술 시 박동성 펌프인 $T-PLS^{TM}$(이중 박동성 인공심폐기)와 비박동성 펌프인 $Bio-pump^{TM}$의 임상결과를 비교하여 $T-PLS^{TM}$의 안전성 및 장단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4월부터 2005년 6월까지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 받은 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T-PLS^{TM}$을 이용하여 관상동맥 우회술을 시행 받은 환자는 20명이었고 $Bio-pump^{TM}$을 이용하여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 받은 환자는 20명이었다. 수술은 모든 환자에서 심폐체외순환하에서 박동하여 시행하였다. 수술 전 위험인자와 수술 중 상태, 술 후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두 군 간 연령, 남녀비, 당뇨, 고혈압, 흡연력 및 폐쇄성 폐질환, 심근경색, 신부전 등 술 전 위험요소는 차이가 없었다. 수술시간, 심폐기 사용시간, 사용한 우회도관 및 문합한 관상동맥분지는 두 군에서 차이가 없었다. 수술 중 수축기 동맥압, 이완기 동맥압, 평균동맥압은 두 군 간 차이는 없었지만 맥박압은 $T-PLS^{TM}$군에서 높게 측정되었다$(46{\pm}15\;mmHg\;in\;T-PLS^{TM}\;vs\;35{\pm}13\;mmHg\;in\;Bio-pump^{TM},\;p<0.05)$. 수술 중 소변량은 $T-PLS^{TM}$군에서 높은 경향이 있었지만 통계적 의미는 없었다$(9.7{\pm}3.9\;in\;T-PLS^{TM}\;versus\;8.9{\pm}3.6\;in\;Bio-pump^{TM},\;p=0.20)$. 수술 후 평균 호흡기 사용시간, 24시간 실혈량은 두 군간 차이는 없었다. 수술 후 유리혈장색소는 $T-PLS^{TM}$군에서 유의하게 낮게 측정되었다$(24.5{\pm}21.7\;mg/dL\;in\;T-PLS^{TM}\;vs\;46.8{\pm}23.0\;in\;Bio-pump^{TM},\;p<0.05)$. 수술 후 심근경색, 부정맥, 신부전, 뇌혈관질환 이환율은 두 군에서 차이가 없었다. 수술 후 사망은 $T-PLS^{TM}$군에서 1예(5%) 발생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 박동성 혈류펌프인 $T-PLS^{TM}$를 이용하여 심폐기하 관상동맥 우회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중 기계오류에 의한 사고는 없었고 수술 후 임상경과가 $Bio-pump^{TM}$를 이용하여 수술한 경우와 차이가 없었다. 또한 박동성 혈류의 문제점이었던 혈구손상은 감소하였다. 저자들은 본 연구를 통해 $T-PLS^{TM}$의 안정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