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at product

검색결과 523건 처리시간 0.021초

전자식별칩(RF-ID)을 이용한 한우 생산이력추적시스템 도입 (Establishment of Hanwoo(Korean Cattle, Bos taurus, Linn.) Traceability System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RF-ID))

  • 서강석;김시동;이정규;손영곤;;최태정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1호
    • /
    • pp.1-8
    • /
    • 2008
  • 본 연구는 전자식별칩(RF-ID)를 활용한 생산이력추적 시스템을 도입하여 가축의 생산, 도축, 가공 및 유통단계에 있어 효율성을 증진시키고 소비자들에게 질 좋고 위생적인 한우육을 제공할 수 있도록 발전시키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생산이력추적 시스템의 기본이 되는 새로운 개체식별 바코드, 등록번호 및 농장번호를 고려하여 관리, 자료의 수집과 저장이 용이하도록 설계되었다. 특히 이 시스템은 1) 가축관리를 위하여 표준 전자 식별칩(RF-ID), 표준이표, 마이크로칩 그리고 이표식별 장비를 제공하고, 2) 한우육 상표 보장을 통해 소비자를 보호하고 3) 품질 좋은 한우육을 생산하는 농가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4) 국가적 개체관리에 있어 획일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몇몇 농가조합에 적용한 결과와 모 백화점에서 실시한 시범사업 결과 RF-ID 시스템 사용에 대한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유통식육에서의 톡소포자충 검출을 위한 유전자검사법 개발 (Real-time PCR assay for the Detection of Toxoplasma gondii in Retail Meats: Proof-of-concept Study)

  • 윤한성;서수환;곽효선;주인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99-205
    • /
    • 2017
  • 인수공통 감염증의 하나인 톡소포자충의 검출을 위해서는 대부분은 ELISA 법이 사용 되고 있으나, 충체가 사멸된 후에도 양성반응이 나타나는 등 사용에 제한이 있다. 반면 유전자 검출법은 현재 감염상태를 확인 할 수 있기 때문에 식중독 원인조사 등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어 이를 활용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톡소포자충의 유전정보를 통해 529 repeat region의 염기서열을 얻고, 프라이머 및 TaqMan 프로브를 설계하여 real-time PCR을 이용한 검출법을 개발하였다. 검출한계(lower limit of detection) 및 적정곡선을 확인한 결과 10 genomic DNA copy가 검출한계로 확인되었고, 정량을 위한 곡선은 $10^1{\sim}10^6$ DNA copies까지 0.999의 $R^2$ 값을 나타내었다. 개발된 검출법의 증폭효율을 비교하기 위해 B1 gene 타겟 프라이머 세트와 타입별 검출한계를 비교한 결과, type 1, 2, 3 톡소포자충에서 같거나 더 나은 검출한계를 보였다. 또한 식품에서 주로 분리되는 식중독 세균 14종 및 원충 3종에 대해 특이도를 비교한 결과, 모두 음성으로 나타났다. 개발된 검출법을 식육검체에 적용하였을 때 type 1, 2, 3에서 모두 원활한 검출결과를 보여 증폭방해물질이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유전자검출법은 국내 유통 중인 식육에서 인수 공통감염 원충의 하나인 톡소포자충의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사전적 모니터링의 방법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머루주 박의 급여가 돈육 등심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Loin Fed with Wild Grape(Vitis amurensis Ruprecht) Wine By-product)

  • 정인철;문윤희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68-174
    • /
    • 2005
  • 본 연구는 머루주박 사료가 돈육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일반성분, VBN, TBARS 및 pH는 대조구와 머루주박 급여구 사이에 차이가 없었으나 콜레스테롤 함량과 가열감량은 대조구보다 머루주박 급여구가 낮았고, 염용성 단백질 추출성은 머루주박 급여구가 높았다. (p<0.05). 돈육의 $a^{\ast}$$b^{\ast}$값이 머루주박 급여 돈육이 높았고, 지방은 대조구보다 머루주박 급여구의 $a^{\ast}$값이 높았다(p<0.05). 그러나 $L^{\ast}$값은 돈육과 지방에서 대조구와 머루주박 급여구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Cohesiveness, gumminess 및 chewiness는 대조구(각각 $66.2\%$, 428kg 및 189g)가 머루주박 급여구(각각 $61.4\%$, 357 kg 및 154 g)보다 높았다. (p<0.05). 총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두 시료 사이에 차이가 없었지만 공통적으로 많이 함유된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leucine, arginine 및 aspartic acid의 순이었다. 지방산 조성에서 머루주박 급여 돈육의 arachidonic acid, EPA및 DHA함량이 대조구보다 높았다. (p<0.05) 그리고 머루주박 급여 돈육의 맛(p<0.001), 향기(p<0.05), 풍미(p<0.001), 다즙성(p<0.01) 및 전체적인 기호성(p<0.01)이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축육과 유사한 텍스쳐를 가진 어육단백질 농축물의 가공조건 및 저장중의 품질변화 -제 1 보 : 가공조건- (Processing Conditions and Quality Stability during Storage of Meaty Textured Fish Protein Concentrate -I. Processing Conditions of Meaty Textured Fish Protein Concentrate from Filefish and Sandfish-)

  • 이응호;조덕제;김세권;한봉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6-42
    • /
    • 1982
  • 말쥐치(Novodon modestus) 및 도루묵(Arcotoscopus japonicus)을 원료로써 축육과 유사한 어육단백질농축물을 가공하기 위한 최적조건을 검토하였다. 말쥐치를 원료로 하였을 때, 고기풀의 pH 8.0, 식염첨가량 1%, 고기풀에 대하여 3배량의 $25^{\circ}C$ 에탄올에 15분간 침지처리한 다음 다시 2배량의 비등 에탄올에 15분간 2회 침지처리하는 것이 좋았다. 도루묵의 경우는 pH 및 식염첨가량은 말취지와 같고 4배량의 $25^{\circ}C$ 에탄올에 15분간 침지처리하고, 다시 4배량의 비등 에탄올에 25분간 4회 침지처리하는 것이 좋았다. 이와같은 최적조건하에서 만든 말취지 및 도루묵의 축육과 비슷한 조직단백질 농축물 제품의 수분은 각각 9.7%, 9.5%, 단백질은 각각 84.5%, 84.2%, 지질은 각각 0.2%, 1.1%였으며, 수율은 각각 13.7%, 12.5%였다. 그리고 제품 중의 필수아미노산함량은 쇠고기 및 대두단백질과 비교하였을 때 큰 손색이 없었다.

  • PDF

다시마와 효소처리 고등어육 조미소재의 저장중 품질 변화 (Quality Changes of Seasonning Material of the Mixture of Laminaria and Enzyme Treated Mackerel Meat during Storage)

  • 이강호;정인학;홍병일;정병천;정우진;민진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52-556
    • /
    • 1998
  • 새로운 형태의 천연조미소재를 개발하여 저장에 따른 품질변화를 갈변도, 아미노질소, TBA가, Chlorophyll a 함량, 관능검사 및 지방산조성을 분석하여 살펴보았다. 갈변도는 저장 초기에 제품 A와 제품 B의 산패가 제품 C보다 빨리 진행되어 저장 30일경에 최대값을 보인 반면 제품 C는 저장 40일경에 최대값을 보이고 이후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아미노질소의 경우 세 시료 모두 큰 차이없이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는데, 저장기간 동안 제품 C가 비교적 안정된 값을 보였고, 제품 A와 제품 B는 다소 변화의 차이는 있으나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한편, chlorophyll a의 함량 변화는 아미노질소값의 결과와 유사하게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는데, 저장 50일 후 초기값의 약 $10{\sim}20%$ 정도 감소하였다. 구성지방산 함량은 모두 monoene산, 포화산, polyene산의 차례였고, 주요 구성 지방산은 $C_{16:0},\;C_{16:1},\;C_{18:1},\;C_{20:1},\;C_{20:5}$$C_{22:6}$ 등이었다. 특히 시제품은 고도불포화지방산의 대표격인 $C_{20:5}$$6.0{\sim}6.5%,\;C_{22:6}$$10.8{\sim}11.4%$로 비교적 높은 편이었으며 저장 30일 후에도 이 두 지방산의 합이 $13.8{\sim}14.6%$로 소폭 감소하여 큰 변화는 없었다.

  • PDF

고추장 숙성 전복의 제조 및 이화학적 특성 (Preparation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balone Meat Aged in Kochujang)

  • 고소미;김해섭;조영철;강성국;김정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773-779
    • /
    • 2009
  • 전복의 대량 양산 체제에서 전복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전복 가공품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복을 생전복, 구운전복, 증숙전복의 형태로 전처리하고 얇게 슬라이스를 한 후 이를 고추장과 함께(1:3 w/w) 섞어 제조한 후 $20^{\circ}C$에서 숙성시키면서 각각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제조된 생전복, 구운전복, 증숙전복을 첨가한 고추장을 1일 숙성 후, 고추장에서만의 수분(43%)은 각각 57.9%, 53.7%, 50.8%로 증가하였고, 2주후에는 모든 제품에서 수분함량이 약 $53{\sim}54%$에 도달하였다. 고추장의 색도는 밝기에 해당하는 L-값과 적색도인 a-값, 황색도인 b-값 모두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고추장 숙성전복제품의 초기일반미생물은 고추장에서 각각 5.74, 5.70, 5.83 log CFU/g로 검출되었고, 숙성 28일후에는 0.28, 0.30, 0.11 log CFU/g 정도만 증가하였다. 고추장 숙성 증숙전복에서 전복육의 산도는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pH의 저하와 함께 14일째는 5.40으로 최대치를 보인 후 점차 감소하였다. 원료인 생전복, 구운전복, 증숙전복육의 초기 휘발성염기질소는 각각 약 1.4mg%, 0.9 mg%, 2.7 mg%로 나타났으나, 고추장전복을 제조하여 숙성 1일 후에 전복에서는 각각 14.0 mg%, 13.8 mg%, 11.6 mg% 나타났다. 숙성 8일 후 전복육의 휘발성염기질소는 각각 15.5 mg%, 13.3 mg%, 11.3 mg%로 보통 선도의 어육에 해당되는 값을 나타내었고, 증숙전복육이 가장 낮은 값을 보여주었다. 결과적으로 고추장전복을 제조할 때 전처리 가공방법은 증숙전복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Effect of visual marbling levels in pork loins on meat quality and Thai consumer acceptance and purchase intent

  • Noidad, Sawankamol;Limsupavanich, Rutcharin;Suwonsichon, Suntaree;Chaosap, Chanpor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12호
    • /
    • pp.1923-1932
    • /
    • 2019
  • Objective: We investigated visual marbling level (VML) influence on pork loin physicochemical traits, consumer palatability responses, VML liking, purchase intent, and their relationships. Methods: For each of five slaughtering dates, at 24-h postmortem, nine paired Duroc castrated male boneless Longissimus dorsi (LD) muscles were categorized into low (LM, score 1 to 2, n = 3), medium (MM, score 3 to 4, n = 3), and high (HM, score 5 to 6, n = 3) VML. Meat physicochemical quality traits and consumer responses (n = 389) on palatability and VML liking, and purchase intent were evaluated. The experiment was in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Analysis of variance, Duncan's multiple mean comparisons,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determined. Results: VML correspond to crude fat (r = 0.91, p<0.01), but both were reversely related to moisture content (r = -0.75 and -0.91, p<0.01, respectively). As VML increased, ash (p<0.05) and protein (p = 0.072) decreased, pH and $b^{\star}$ increased (p<0.05), but drip, cooking (p<0.05) and thawing (p = 0.088) losses decreased. Among treatments, muscle fiber diameter, sarcomere length, total and insoluble collagen contents, $L^{\star}$, and $a^{\star}$ did not differ (p>0.05). Compared to the others, HM had lower collagen solubility percentage (p<0.05), but similar (p>0.05) Warner-Bratzler shear force (WBSF). No differences (p>0.05) were found in juiciness, overall flavor, oili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but HM was more tender (p<0.05) than the others. Based on VML, consumers preferred MM to HM (p<0.05), while LM was similar to MM and HM (p>0.05). Corresponding to VML preference (r = 0.45, p<0.01), consumers (83%) would (p<0.01) definitely and probably buy MM, over LM (74%), and HM (68%), respectively. Conclusion: Increasing VML in pork LD altered its chemical composition, slightly increased pH, and improved water holding capacity, thereby improving its tenderness acceptability. Marbling might reduce chewing resistance, as lower collagen solubility in HM did not impact tenderness acceptability and WBSF. While HM was rated as most tender, consumers visually preferred and would purchase MM.

Comparative Efficacy of Synthetic and Natural Tenderizer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structured Spent Hen Meat Slices (RSHS)

  • Kantale, Rushikesh Ambadasrao;Kumar, Pavan;Mehta, Nitin;Chatli, Manish Kumar;Malav, Om Prakash;Kaur, Amanpreet;Wagh, Rajesh Vishwanath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21-138
    • /
    • 2019
  • In the present study, comparative efficacy of natural as well as synthetic tenderizer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structured spent hen meat slices (RSHS) was studied. Four different batches of RSHS viz. Control (without any tenderizer), T1 (1.25% calcium chloride replacing salt in formulation), T2 and T3 (1.5% each of pineapple rind and fig powder, replacing binder in the formulation) were developed in pre-standardized formulation. Vacuum tumbling was performed for 2.5 h and cooked product (RSHS) was assayed for quality attributes. Samples were packaged in aerobic conditions, stored for 21 days under refrigeration ($4{\pm}1^{\circ}C$) and were evaluated for pH, oxidative and microbial quality parameters at regular interval of 7 days. Water holding capacity of T2 was recorded the highest and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all other samples. The textural attributes of T2 were comparable to T1 but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C and T3. The colour attributes ($L^*$, $a^*$, and $b^*$ value) of T2 and T3 were improved due to use of natural tenderizers. During sensory evaluation, tenderness scores for T2 samples were recorded the highest. Throughout storage period,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free fatty acids (FFA) and peroxide value (PV) followed an increasing trend for control as well as treated products; however, T2 showed a significantly (p<0.05) lower value than control and other treated samples. It can be concluded that good quality RSHS with better storage stability could be prepared by utilizing 1.5% pineapple rind powder as natural tenderizer.

Linseed oil supplementation affects fatty acid desaturase 2,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gamma,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 1 gene expression in turkeys (Meleagris gallopavo)

  • Szalai, Klaudia;Tempfli, Karoly;Zsedely, Eszter;Lakatos, Erika;Gaspardy, Andras;Papp, Agnes Bali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4호
    • /
    • pp.662-669
    • /
    • 2021
  • Objective: Effects of linseed oil (LO) supplementation on the fat content and fatty acid profile of breast meat, and the expression of three genes in the liver, breast muscle and fat tissues of commercial 154-day-old hybrid male turkeys were investigated. Methods: The animals in the control group were fed a commercially available feed and received no LO supplementation (n = 70), whereas animals in the LO group (n = 70) were fed the same basic diet supplemented with LO (day 15 to 21, 0.5%; day 22 to 112, 1%). The effect of dietary LO supplementation on fatty acid composition of breast muscle was examined by gas chromatography, and the expression of fatty acid desaturase 2 (FADS2),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gamma (PPARγ),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 1 (IGF1) genes was analysed by means of 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esults: The LO supplementation affected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breast muscle. Hepatic FADS2 levels were considerably lower (p<0.001), while adipose tissue expression was higher (p<0.05) in the control compared to the LO group. The PPARγ expression was lower (p<0.05), whereas IGF1 was higher (p<0.05) in the fat of control animals. There were no significant (p>0.05) differences in FADS2, PPARγ, and IGF1 gene expressions of breast muscle; however, omega-6/omega-3 ratio of breast muscle substantially decreased (p<0.001) in the LO group compared to control. Conclusion: Fatty acid composition of breast meat was positively influenced by LO supplementation without deterioration of fattening parameters. Remarkably, increased FADS2 expression in the liver of LO supplemented animals was associated with a significantly decreased omega-6/omega-3 ratio, providing a potentially healthier meat product for human consumption. Increased PPARγ expression in fat tissue of the LO group was not associated with fat content of muscle, whereas a decreased IGF1 expression in fat tissue was associated with a trend of decreasing fat content in muscle of the experimental LO group.

새송이 버섯파치 발효액의 급이가 돈육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By-product of Pleurotus eryngii in Pigs on Pork Quality)

  • 이수정;강민정;정미자;이현욱;서종권;성낙주;신정혜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1호
    • /
    • pp.1521-1531
    • /
    • 2008
  • 새송이 버섯파치 발효액(0, 0.5%, 1% 및 1.5%)의 급이가 돼지의 혈액 성분 및 돈육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돼지의 혈중 총 지질, 총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은 대조군에 비해 1.5%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HDL-, LDL-, VLDL-콜레스테롤 함량은 대조군과 처리군간의 유의차가 없었다. 동맥경화 지수 및 심혈관 질환 위험지수는 대조군에 비해 1.5% 발효액 급이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GOT, LDH 활성도는 1.5% 첨가군에서 대조군 및 0.5% 첨가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혈중 항산화 활성은 $45.92{\pm}2.46{\sim}47.25{\pm}1.64%$의 범위로 유의차가 없었다. 돈육의 기호도는 대조군해 새송이 버섯파치 발효액을 급이한 돈육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각 실험군간의 유의차는 없었다. 돈육 등심의 명도는 저장 1일에 유의차가 없었으나, 저장 20일에는 증가되는 경향이었고, 적색도는 새송이 버섯 발효액의 첨가량 및 저장 기간에 따른 유의차가 없었다. 가열감량은 새송이 버섯파치 발효액 1% 및 1.5% 첨가 급이군에서 저장 10일부터 감소하다가 저장 20일에는 다소 증가하였다. 전단가는 저장 20일에 대조군에 비해 새송이 버섯파치 발효액 1% 및 1.5% 첨가 급이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저장기간 동안 돈육의 수분, 조지방 함량 및 pH의 변화는 유의차가 없었다. TBARS의 함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든 처리군에서 증가되었으나, 대조군에 비해 새송이 버섯파치 발효액 첨가 급이군에서 다소 낮았다. 새송이 버섯파치 발효액 첨가 급이 시 포화지방산에 대한 불포화 지방산의 비율(UFA/SFA)은 1% 및 1.5% 첨가군에서는 저장 15일까지 감소되다가 저장 20일에는 다시 증가되어 대조군과 비슷한 경향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