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asure theory

검색결과 985건 처리시간 0.033초

산업환기시설에서 사각형 후드의 내부 설치에 의한 유입손실 감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duction of Entry Loss by Inner Structure in Square Hood in Industrial Ventilation System)

  • 배현주;양원호;김종오;손부순
    • 환경위생공학
    • /
    • 제18권3호통권49호
    • /
    • pp.27-34
    • /
    • 2003
  • An objective of local exhaust hood design is to design the hood to operate as efficiently as possible. The greatest loss normally occurs at the entrance to the duct, due to the vena contracta in the throat of the duct. This can be accomplished by minimizing the loss that results from the vena contracta. There have been little studied to be cost-effective approach as installing simple instrument inside the throat of the hood. The aims of this paper were to minimize entry loss using inner square, and to measure the effect of inner square when installed inside hood thro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agnitude of vena contracta could be considered as the difference between direct measured velocity and calculated velocity, which is from Bernoulli theory. In circle hood, calculated velocity and direct measured velocity were 10.7m/sec and 10.3n/sec, respectively. And the calculated velocity and direct measured velocity in square hood were 7.7m./sec and 6.5m/sec, respectively. Second, effect of inner square by width was carried out. The widths of inner square were L/1(18cm), L/2(9cm), L/3(6cm) and L/6(3cm). In case inner square was installed with 3cm width, the entry of coefficient was 0.93, comparing with 0.85 of entry of coefficient of general hood. Third, effect of inner square by distance from hood inside surface to inner square was carried out. The distances were L/3(6cm), L/6(3cm), L/9(2cm) and L/l8(1cm). In case the distance was 3cm the best efficiency was shown (Ce= 0.93). Fourth, effect of inner square by location from hood entry to duct inside was carried out. The locations of inner square were entry(0cm), L/6(3cm), L/3(6cm), L/2(9cm) and L/l(12cm). In case the location was 0cm, 3cm and 6cm the entry of coefficients were 0.93, 0.92 and 0.90, respectively.

사업계획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구성요소 및 기업가유형, 발전단계 측면에서 (A Study on The Effects of Business Plan upon Firm Performance)

  • 고인곤
    • 벤처창업연구
    • /
    • 제6권4호
    • /
    • pp.111-135
    • /
    • 2011
  • 사업계획과 경영성과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다는 주장이 이론적인 측면에서는 설득력을 얻고 있지만, 이를 실증적으로 보여주는 국내외의 연구들은 많지 않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한국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사업계획의 구성요소를 파악하고 각 구성요소들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우량기업과 비우량기업 집단 간에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봄으로써 사업계획과 경영성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이들 영향력이 기업가유형과 기업의 발전단계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도 분석함으로써 연구의 유용성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사업계획의 구성요소들은 재무 및 관련시스템 요인과 제품화 및 판매 요인, 수익 및 품질 요인, 광고 및 유통요인, 경영이념 요인으로, 경영성과는 ROS(return on sales), ROA (return on assets), 시장점유율, 종업원 수의 개선정도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사업계획서의 구성요소들은 종업원 수 항목에서 우량기업집단과 비우량기업집단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구분하고 있었으며, 특히 분류집단 예측력이 높은 요인은 재무 및 관련시스 템 요인과 광고 및 유통 요인이었다. 하지만 ROS, ROA 및 시장점유율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 지 않았다.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력 측면에서 기술/장인 기업가는 제품화 및 판매 요인, 수익 및 품질 요인을, 일반/기회 기업가는 재무 및 관련시스템 요인, 광고 및 유통요인, 경영이념 요인의 영향력을 높게 평가하였으며, 모든 발전단계에서 경영이념 요인의 영향력이 가장 높았다. 여러 요인 가운데서도 특히 재무 및 관련시스템 요인과 광고 및 유통 요인은 기업가유형 간 및 발전단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어 사업계획 수립 시 중점을 두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 PDF

클러치 스냅링부 파괴 예측을 위한 구조응력기법 연구 (A Study of Structural Stress Technique for Fracture Prediction of an Auto-Mobile Clutch Snap-Ring)

  • 김주희;명만식;오창식;김윤재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40권2호
    • /
    • pp.175-183
    • /
    • 2016
  • 복잡한 기계장치에 대한 내구신뢰성 평가는 단순한 응력해석을 통해 피로수명을 예측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하지만 기존 방법은 유한요소 해석 시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일관된 응력해석 결과를 얻기 어려워 해석자에 따라 상이한 수명을 예측하는 단점을 지닌다. 하지만 구조응력을 기반으로 하는 내구신뢰성 평가 기법은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보다 합리적인 결과를 제공해 준다. 구조응력기법은 유한요소 모델의 요소 수와 요소 형태에 무관하게 일관된 응력결과를 제공하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은 내구도 평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해석조건 및 환경에 독립적인 결과를 제공해 주는 구조응력은 최근 대형선박 설계 및 각종 기계장치의 피로수명 예측에 종종 활용되고 있어 보다 깊이 있고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 유한요소모델의 형태에 상관없이 요소에 독립적인 구조응력 산출기법을 제시하고, (b) 이를 이용하여 자동차 클러치 스냅링부의 구조응력 산출하여 피로파괴를 예측하고자 한다.

고체 입자형 MPS법을 이용한 토사물 퇴적 시뮬레이션 (Simulation of Solid Particle Sedimentation by Using Moving Particle Semi-implicit Method)

  • 김경성;유선진;안일혁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9-125
    • /
    • 2018
  • 입자기반 전산유체역학 기법은 유체역학에서의 라그란지안 접근법에 기반을 두고 있다. 입자기반 방식은 입자 각각이 물리량을 가지고 움직이며 이러한 입자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방식으로 유체의 거동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격렬한 움직임에 의한 자유표면 혹은 경계면의 운동 재현에 우수성이 있으나 연속체역학을 위반할 수 있다는 문제점 역시 포함하고 있다. 이를 반대로 말하자면 특별한 조치를 취하지 않는 경우에는 연속체가 아닌 물질에 대한 구현이 매우 쉽게 가능하다는 것이기도 하다. 이에 따라, 기존의 유체에서 사용되는 입자기반 전산해석방식을 지배방정식 단계에서부터 고체입자형으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있다. 본 연구에서는 입자기반 전산해석방식을 고체입자에 알맞은 형태로 변환하였다. 변환을 위해 유체에서 사용되는 점성항을 제거하고 대신 마찰항을 추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고체입자형 전산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고체입자의 붕괴를 구현하였으며 이를 유체입자 붕괴와의 비교를 통해 입증하였다. 또한 유체입자가 가질 수 없는 고체입자만의 특성인 안식각을 구현하여 고체입자를 위한 입자기반 전산해석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국내 시판 안경렌즈의 성능 분석 및 설계 (The Performance Analysis and Design of Selling Spectacle Lenses in Domestic Market)

  • 김세진;임현선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55-360
    • /
    • 2010
  • 목적: 국내에서 시판되는 안경렌즈의 성능을 분석하고 최적화 설계로 수차가 보정된 안경렌즈를 설계하였다. 방법: 굴절률 1.6의 재질을 갖는 4개 회사의 ${\pm}$5.00D의 구면 렌즈와 비구면 렌즈의 중심두께, 곡률반경, 비구면 계수를 측정하였다. Mitutoyo사의 ID-F150으로 중심두께를 측정하였고, Automation Robotics사의 FOCOVISION(SR-2)를 이용하여 곡률반경을 측정하였다. 비구면 계수는 Taylor Hobson사의 PGI 1240S로 측정하였다. 렌즈 후면부터 눈의 회선점까지의 거리 27 mm, 동공직경 4 mm, 중심시야 $30^{\circ}$에서 적은 양의 수차를 갖는 안경렌즈를 설계하였다. 측정 렌즈보다 Axial height를 짧게 함으로써 미용 상의 이점을 높였다. 설계에는 ORA사의 Code V를 이용했다. 결과: -5.00D 비구면 렌즈는 구면 렌즈보다 비점수차와 왜곡수차는 약간 크게 나타났으나 Axial height가 짧고 가장자리 두께가 감소하여 미용 상의 장점이 있다. +5.00D 비구면 렌즈는 왜곡수차의 성능이 향상되고 (-)렌즈와 마찬가지로 Axial height와 중심두께의 감소로 미용 상의 장점을 확인하였다. 최적화 과정을 통한 전면 비구면 렌즈는 비점수차와 왜곡수차가 측정 구면 렌즈보다 좋은 성능과 미용 상의 장점을 확인할 수 있다. 결론: 국내에서 시판되는 비구면 렌즈는 수차의 성능보다는 미용 상의 장점을 키우는 Axial height의 감소와 두께의 감소에 주안점을 둔전면 비구면 설계가 이뤄지고 있다. 최적화 설계이론을 통해 측정렌즈보다 향상된 수차성능과 미용 상의 이점을 모두 갖는 전면 비구면 안경렌즈의 설계를 하였다. 후면 비구면 렌즈의 설계를 통해 전면 비구면 렌즈보다 향상된 성능을 얻을 수 있음을 기대할 수 있다.

이태리 레스토랑 종사자들의 리더십 유형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Leadership Types in Italian Restaurants)

  • 임성빈;김판진
    • 유통과학연구
    • /
    • 제10권12호
    • /
    • pp.35-43
    • /
    • 2012
  • Purpose -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types of leadership on the employees of Italian restaurants, its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utilizing a causal assessment model. In this study,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the type of leadership perceived in the manager or chef by an Italian restaurant's employees, and its efficacy were parameters, and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ere the variables representing the results in the hypothesis. The study aimed to draw implications by verifying the leadership via efficacy and the impa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Italian restaurants.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For the purpose of this analysis, specific questionnaire items were configured according to the theory and efficacy of the study. From a questionnaire used i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comprising 22 questions, six were modified to suit the research purpose of this study. The configured questionnaire comprised 5 parts and 40 items. A Likert (Likert) 5-point scale was utilized to measure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 items from the employees of an Italian restaurant in Seoul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For data collection, 4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344 collected.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were conducted using SPSS18.0 and AMOS18.0. A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as conducted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es. Results -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es, the summary and suggested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The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used to analyze the kind of effect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styles in Italian restaurant employees had on self-efficacy, group-efficacy,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dicated that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uch as, idealized influence, inspirational motivation, individual consideration, and intellectual stimulation), idealized influence and individual consider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elf-efficacy. Idealized influence, individual consideration, conditional reward, and management by exception also positively influenced self-efficacy and altruistic and conscientious behavio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Conclusions - Results suggest that with regard to self-efficacy and group efficacy, managers in different departments and chefs should provide team members with a vision for the future, increase their confidence in their abilities, and build their trust in the organization. By evaluating employee performance and experiences, management can demonstrate leadership and encourag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rough enjoyable, voluntary participation.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is effective in group processes that include social-exchange relationships, self-efficacy and group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However, as this research study utilizes only self-reported data, it has several limitations, such as a vulnerability of errors caused by the various experiment types. A significant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e lack of potential for the duplication of results. The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however, provides complementation to limit the impact of errors from self-reporting studies. A future study can extend this research by utilizing different data collection methods.

  • PDF

민간 현대무용단의 활성화 전략 연구: 전문가 중요도 및 시급성 평가를 중심으로 (Vitalization Strategy Research of Private Modern Dance Organizations: Centered on The Importance of Experts and Urgency Assessment)

  • 김규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1호
    • /
    • pp.527-538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 민간 현대무용단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전문가들의 의견을 듣고 중요도와 시급성을 측정하였다. 먼저 신산업육성 이론을 적용하여 전문가 그룹 5명에게 개방형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였고 중요하게 언급되거나 반복된 내용을 통해 총 24가지의 2차 질문지를 개발하였다. 이를 각 무용단 대표 및 기획자, 대학교수 등 20명에게 배포하였으며 전문가 중요도와 시급성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대항목은 중요도와 시급성 모두 자금지원이 1순위로 나타났고, 소항목 중요도, 시급성 비교분석은 인프라구축에서 차이를 나타냈는데, 중요도 1순위는 '무용프로그램의 홍보채널 확대", 시급성 1순위는 "무용단 전용공간 확보"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분석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자금지원 측면에서는 "무용단 운영을 위한 세분화된 자금지원" 등 공연 및 교육관련 작품개발 측면에서는 "기획 및 연출 등 전문인력 채용" 인력양성 측면에서는 "복합장르를 소화할 수 있는 안무자 양성" 인프라구축 측면에서는 "무용단 전용공간 마련" 컨설팅 지원 측면에서는 "기획 및 연출 등 전문인력 채용"으로 나타났다.

CM에서 고객만족도에 기반한 추천의향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Referral Intension based on Customer Satisfaction in Construction Management)

  • 정민;이강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1권6호
    • /
    • pp.100-110
    • /
    • 2010
  • CM의 특성상 기존고객에 의한 재구매나 기존고객의 추천에 의한 신규고객 유입이 CM서비스의 주요 수주경로라고 볼 때 고객만족과 고객충성도에 대한 연구는 CM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요인으로 볼 수 있다. 그럼에도 현재 CM이 도입된 지 15년이 지났지만, 그동안 CM분야에서 고객만족도와 고객충성도에 관한 연구는 미미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CM서비스에 대한 고객만족도를 기반으로 하여 충성고객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CM서비스를 경험한 135명의 의사결정자를 대상으로 CM서비스에 대한 고객만족도와 고객충성도를 측정하였다. 고객만족도는 건설단계별로 기획단계, 설계단계, 조달단계, 시공단계 및 준공후단계별로 세분화하여 측정하였다. 고객충성도는 NPS(Net Promoter Score, 순고객추천지수) 이론에 근거하여 고객의 추천의향을 측정하였으며 측정결과에 따라 비추천고객, 중립고객, 추천고객으로 분류하여 건설단계별 만족도와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객만족도 수준에 따라 비추천고객, 중립고객, 추천고객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구축하였다. 또한 프로젝트 초기단계인 기획단계 만족도가 추천고객을 형성하는 데 가장 큰 영향력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인터넷 등 정보의 발달로 고객의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구전이 급속도로 노출되는 환경에서 프로젝트 진행과정에서 고객의 만족도를 관리함으로써 충성고객을 확보하는데 사전 예측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산욕초기 어머니 역할획득을 위한 신생아실 간호사 역할수행에 관한 연구 (Nursery Room Nurses′ Role Performance for Maternal Role Attainment of Mothers at Early Postpartum Period)

  • 이영은;박춘화;박금자;김영순;박봉임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4권2호
    • /
    • pp.177-192
    • /
    • 1998
  • The early postpartum period is crucial toward in recovery from childbirth and attainment of the maternal role. Maternal role attainment is a complex social and cognitive process of stimulus-response accomplished by learning. Helping for maternal role attainment is one of nursing goals in the early postpartum period. Based on King's conceptual framework for nursing, this study was planned as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to determin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degree of nursery room nurses' role performance according to several variables of personal, interpersonal, and working system of nurses in nursery roo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to the planning of nursing care to help maternal role attainment of the early postpartum period of mothers and to the development of relevant nursing theor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Feb. 3 to 28 by questionnaires with 273 nurses in nursery room. The instruments for this study were consisted of four parts : 21 questions for rot performance of nurse. 37 questions for personal system of nurse including 31 questions for role perception of nurse : 65 questions for interpersonal system including 63 questions for job stress of nurses , 18 questions for working system of nurse. The toos to measure role performance and role perception, and job stress of nurse were tested for internal reliability. Cronbach's Alphas were 0.9612, 0.9058, and 0.9649. The data were analysed by using in S.A.S. computerized program and included percentage,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Duncan multiple range test.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summerized as follows : 1. The mean score of the items of role performance was 2.12(SD=0.55) in Likert's 4 points scale. 2. The degree of role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role perception(p=0.0001), age (p=0.006), educational background(p=0.002) , and certificate of midwife (p=0.03) among variables of personal system of subjects. 3. The degree of role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job stress (p=0.0001) and numbers of children(p=0.006) among variables of interpersonal system of subjects. 4. The degree of role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having opportunities for baby(p=0.03), the degree of flexibility to bring baby to mother's room(p=0.046), the scope of visitor for baby(p=0.016) , the degree of flexibility of visiting for baby (p=0.049) , the degree of participation of nurse in establishing visiting rules(p=0.017), existence and/or nonexistance of rules for breast feeding(p=0.010) , existence and/or nonexistance of education for breast feeding (p=0.009), existence and/or nonexistance of breast feeding room(p=0.013) , concert methods for breast feeding (p=0.003), working place (p=0.0001), and career(p=0.019) among variables of personal system of subjects.

  • PDF

응력확대계수 측정용 고정 슬랩상사 장치의 개발 (Development of the Fixed Slab Analogy Device for the Measurement of Stress Intensity Factor)

  • 정진석;최선호;황재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6권11호
    • /
    • pp.1999-2010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1)의 방법의 문제점.즉, 두꺼운 판에 강체 균열을 열매립하는 과정에서 균열 첨단에 열변형이 일어나, 변위측정시 측정 오차가 발생하는 점을 해결 하기 위해, 매유 얇은 P.V.C.판(t=0.15mm)에 강체 균열을 열매립 하는 대신 접착제로 부착하는 방법을 채택하여 강체균열 경계상의 곡률 영향을 검토하였으며, (2)의 방법 의 해결책으로서, 강체균열에서 충분히 먼곳의 곡률은 얇은 합금공구강판(alloy tool steel plate`t=1mm)으로 제작한 프레임(Frame)으로 원방곡률을 미리 슬랩 경계조건과 일치하도록 하였고, 또한 변위도 고정(동결)할수있는 새로운 고정 하중장치를 개발하 여 실험 측정치의 정도를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