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aning in Life

검색결과 1,880건 처리시간 0.027초

암환자의 우울, 고통의 의미와 삶의 만족 (Depression, The Meaning of Suffering and Life Satisfaction in Cancer Patients)

  • 강경아;오복자
    • 종양간호연구
    • /
    • 제1권1호
    • /
    • pp.44-53
    • /
    • 2001
  • Despite the advances in cancer therapy in the last 20 years, cancer continues to be a life-threatening illness, and the newly diagnosed individual faces a crisis that emphasized his or her mortality. Patients who suffer from cancer may have psychological problems, especially depression. Most tend to seek the meaning of suffering when continuing pain was experienced. Then the search for meaning, which is one of the primary needs of humans, begins. This meaning is "unique and specific" to the individual, and it must be fulfilled by the individual alon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a basis of data for 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to minimize a cancer patient's suffering an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depression, and the meaning of suffering in cancer patients. The sample was composed of 160 cancer patients who were inpatients or outpatients of three general hospitals in Seoul. Data collections were carried out from February 25th to April 20th of 2000. The data was analyzed using a SAS program for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s, ANOVA, and Duncan tes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cores on the depression scale ranged from 20 to 65 with a mean of 40.76 (SD 9.6) The mean score on the suffering scale was 97.72 (SD 12.7), and the score of the life satisfaction ranged from 15 to 37 with a mean of 25.51 (SD 5.2). 2.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amount of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r=-.61, P=.00), the life satisfaction and the meaning of suffering (r=.30, p=.00), and the depression and the meaning of suffering (r=-.24, p=.00). 3.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ancer are age (F=2.52, p=.04) and education level (F=3.98, p=.00). The level of the meaning of suffering in cancer patients differed by education level (F=4.13, p=.00). Also, the level of the life satisfaction in cancer patients differed by education level (F=2.72, p=.04). In conclus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pression, the meaning of suffering, and life satisfaction can be used as a concrete and practical datum for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 This may assist patients with cancer, overcome their suffering and lead to a hopeful life by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suffering.

  • PDF

항공서비스학과 비교과 참여 학생의 대학 생활 의미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Meaning of College Life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Engagement of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Service)

  • 이세윤;곽연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363-373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비교과프로그램을 참여하면서 겪은 실제 경험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대학 생활 경험의 본질적 의미를 고찰하는 것이다. 개인이 겪은 본질적 경험에 대해 이해하고 의미를 규명하기 위해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따라 연구를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항공서비스학과에서 운영하는 비교과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참여자 6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심층 인터뷰 기법을 적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비교과 참여의 경험적 특성과 비교과 참여의 의미는 각각 4가지 주제로 도출되었다. 대학생활의 의미는 '대학 생활 만족도 향상', '다양한 대학생활', '대학생활의 추억', '대학생활에 대한 동기부여'의 의미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다양한 비교과프로그램 참여 경험은 한 개인이 성장해 가는 전이과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비교과 활동이 대학생활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였다는 것을 참여자의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COVID-19와 삶의 의미 탐구 (Exploring COVID-19 and Meaning in Life)

  • 배나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315-320
    • /
    • 2022
  • 본 연구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19(COVID-19)시대에 실존주의 심리치료를 통해 부각되기 시작한 삶의 의미에 대해 그것이 갖는 함의를 논의하였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19 팬데믹 상황에서 우리는 의미 있는 삶을 살아가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으며, 과연 어떻게 살아가는 것이 의미 있는 삶인지 개인과 공동체는 의미 찾기에 대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인류는 평안한 삶을 위한 전제를 가지며 과거부터 삶의 의미에 대한 관심이 지속되었다. 2019년 12월 전 세계를 강타한 COVID-19라는 치명적인 바이러스는 사람들에게 불안, 소외, 우울 등 스트레스를 형성하며 개인과 공동체의 삶을 위태롭게 하였다. 삶의 의미에 대한 연구는 COVID-19 이전에도 활발하였지만, 바이러스의 세계적인 대유행 속에 사람들의 삶의 의미에 대한 변화와 각 개인에게 COVID-19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다시 말해 COVID-19시대에 우리 삶의 의미를 명확히 한다라는 것은 스트레스를 줄이는 대처이며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촉매제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삶의 의미에 대한 다양한 시각과 결과를 살펴보며 COVID-19시대에 삶의 질을 향상시킬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성인학습자의 삶의 의미와 학업만족과의 관계: 학업열의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ning of Life and Academic Satisfaction of Adult Learners: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Engagement)

  • 김은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257-265
    • /
    • 2021
  • 본 연구는 성인기의 온라인 학습자의 학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삶의 의미와 학업열의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사이버대학교에 재학중인 148명의 성인학습자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23.0과 PROCESS Macro를 사용하였다. 상관분석결과 삶의 의미와 학업만족, 학업열의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학업만족과 학업열의 간에도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학업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를 확인해 본 결과, 독립변인인 삶의 의미와 매개변인인 학업열의와의 직접효과는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삶의 의미와 학업만족과의 관계에서 학업열의의 간접효과를 검증한 결과 매개효과는 유의미 하였다. 중년기의 삶의 의미에 대한 통찰을 통해서 학업에 열의를 보이고 이는 학업만족으로 이어진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성인학습자의 학업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는 실질적인 교육 프로그램과 동기화 프로그램을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감사증진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삶의 의미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atitude Enhancement Program on Meaning of Life and Subjective Well-Being of Female Colleges)

  • 허정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774-784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감사증진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삶의 의미와 주관적 안녕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감사증진프로그램은 여대생의 삶의 의미 하위 영역 가운데 의미발견, 의미추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감사증진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주관적 안녕감 하위 영역 가운데 삶의 만족도, 정적 정서 영역 가운데 사랑, 기쁨, 부정적 정서 영역에서는 창피함, 슬픔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감사증진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삶의 의미와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증명한 것이다. 앞으로 여대생의 삶의 의미와 주관적 안녕감의 향상을 위해 더욱더 체계적인 감사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실제로 활용도를 높여 가야 할 것이다.

중년의 삶의 의미와 회복력과의 관계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Meaning in life and Resilience in Middle-aged adults :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 이정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8호
    • /
    • pp.253-261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의 삶의 의미와 회복력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45-64세 중년 148명을 대상으로 2019년 5월부터 6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구도구는 삶의 의미, 자아존중감, 회복력이었다. 자료분석은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다중회귀분석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로, 일반적 특성과 관련한 회복력의 차이는 연령, 종교, 건강에서 유의미했다. 삶의 의미, 자아존중감, 회복력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자아존중감은 삶의 의미와 회복력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보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년의 회복력이 강화되도록 하기 위해 삶의 이미는 물론 자아존중감이 증진되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이것은 그들이 중년기를 건강하게 보내고 삶의 질이 증진되도록 도움을 줄 것이다.

노인의 건강보존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Health Conservation among Elders)

  • 오원옥;김은정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34-143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predictors of health conservation for elders in Korea. Method: Random sampling method was used and data from 113 elder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the use of questionnaires which were constructed to include Health Conservation Scale, Purpose in Life Test and Self-efficacy Scale. Results: Health conservation of the elders was in the middle range. The elders of this study had few goals towards meaning in life, and were in an existential vacuum state.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health conservation, meaning in life and self-efficacy.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health conservation of elders were meaning in life, education level and gender. These 3 factors explained 30.6% of health conservation of elders. Conclusions: The results indicate that health conservation is an important link with meaning in life in elders. There should be a comprehensive study in the future for in-depth understanding of health conservation of elders.

  • PDF

대학생의 생의 의미와 행복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Meaning in Life and Happiness among University Students.)

  • 이옥숙;장선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113-122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생의 의미와 행복 정도를 확인하고 이들 변수간의 관계를 파악하며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경상남도에 소재하는 일개 대학의 재학생 20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10월 10일부터 10월 30일까지였고,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acute{e}}$ test, Cronbach's alpha 계수,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및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행복 점수는 6점 만점에 평균 4.18점, 생의 의미는 5점 만점에 평균 3.73점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행복 수준은 성별(p=.045), 학년(p=.038), 전공만족도(p<.001), 건강상태(p<.001)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행복은 하위요인인 자신감(p<.001), 자기통제(p<.001), 긍정적 정서(p<.001)와 생의 의미(p<.001), 생의 의미발견(p<.001), 생의 의미추구(p<.001)와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상자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생의 의미발견, 건강상태, 전공만족도가 유의하였고, 전체 설명력은 41%였다. 따라서 생의 의미는 행복에 밀접한 관련성이 있으며,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기에 대학생의 행복강화를 위한 전략 개발에 생의 의미를 높이는 전략이 고려될 것으로 사료된다.

죽음준비교육 참여군과 비 참여군의 삶의 의미 및 죽음에 대한 태도 비교 (Comparison of Meaning in Life and Death Attitude between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in Well-dying Education)

  • 강경아
    • 종양간호연구
    • /
    • 제10권2호
    • /
    • pp.156-162
    • /
    • 2010
  •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meaning in life and death attitude between the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of the well-dying education program. Methods: This study adopted the descriptive comparative design. Data were collected by interviewing 85 participants and 94 non-participants of well-dying education.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a self-report questionnaire.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gender, marital status, health status, and volunteer experience. The program participants showed higher scores in the death attitude than non-participant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meaning in life and death attitude in participant group. Death attitud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eaning in life in participant group with 6.0% varianc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well-dying education program was effective to prepare good death with more comprehensive vision. Therefore, this program should be served for patient with life-threatening illness by nurse and this is the expended role of oncology and hospice palliative nurses.

중년여성의 우울 구조모형 (A Structural Model for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 박금자;이경혜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69-84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e and test the structural model for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A hypothetical model wa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and a review of literatures. The conceptual framework was built around eight constructs. Exogenous variables included in this model were volunteer activity, health status & economic status. Endogenous variables were meaning of life, self-esteem, perceived life stress & depression. Empirical data for testing the hypothetical model was collected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from 216 middle-aged women in Pusan Cit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May to June, 1999. Reliability of the seven instruments tested with Cronbach's alpha was ranged from .86-.94. For the data analysis, SPSS 7.5 WIN Program and LISREL 8.12 WIN Program were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variance structural analysis. The results of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ere as follows: 1. The hypothetical model showed a good fit with the empirical data. [$x^2$/df=2.87(p=.72), GFI=1.00, AGFI=.98, RMSR=.025, NFI=.99, standardized residuals ($-1.44{\sim}1.44$)]. 2. To heighten for the parsimony and fitness of the model, a modified model was constructed by deleting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meaning. 3. The modified model also showed a good fit with the data. [$x^2$=5.26(01=7,p=.63), GFI=.99, AGFl=.97, RMSR=.025, NFI=.99, standardized reslduals ($-1.50{\sim}1.45$)] Results of the testing of the hypothesis were as follows : 1. Self-esteem(${\beta}_{42}$=-.48, t=-5.64) had a negative and perceived life stress(${\beta}_{43}$=.20, t=3.21)had a positive direct effect on depression. Meaning of life had a negative direct(${\beta}_{41}$=-.17, t=-2.19) and a negative indirect effect through self-esteem on depression. Volunteer activity had a negative indirect effect through meaning of life, meaning of life and self-esteem on depression. Health status had a negative direct and a negative indirect effect through meaning of life, meaning of life and self-esteem on depression. Economic status had a negative indirect effect through perceived life stress on depression. Self-esteem wa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2. Volunteer activity(${\gamma}_{11}$=.43, t=6.78) and health status(${\gamma}_{12}$=.35, t=4.88) had positive direct effect on meaning of life. 3. Meaning of life(${\beta}_{21}$=.50, t=6.53)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on self-esteem. Volunteer activity had a positive indirect effect through meaning of life on self-esteem. Health status had a positive direct(${\gamma}_{22}$=.18, t=2.23) and a indirect effect through meaning of life on self-esteem. Meaning of life wa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4. Economic status (${\gamma}_{33}$=-.44, t값=-6.01)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on perceived life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elf-esteem had the most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depression. Meaning of life and health status had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is self-esteem. Volunteer activity and health status had direct effect on meaning of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e intervention to promote degree of self-esteem and alleviate degree of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