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an Arterial Pressure

검색결과 416건 처리시간 0.03초

개에서 Medetomidine-Tiletamine/Zolazepam 마취에 대한 Atipamezole의 길항 효과 (The Clinical Effectiveness of Atipamezole as a Medetomidine-Tiletamine/Zolazepam Antagonist in Dogs)

  • Kwon, Young-sam;Joo, Eun-jung;Jang, Kwang-ho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86-293
    • /
    • 2003
  • Medetomidine (30 ug/kg IM) - tiletamine/zolazepam (10 mg/kg IV) 합제를 사용하여 마취한 잡종견(4.00$\pm$0.53kg) 12두에서 atipamezole의 심폐계 영향과 길항효과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4개의 실험군에 각각3두씩 임의로 배당하였다 (대조군: atipamezole 처치를 하지 않은 군, A30군: atipamezole 30 um/kg, A60: atipamezole 60 ug/kg, Al50: atipamezole 150 ug/kg). 모든 실험견은 medetomidine 투여 10분 전 atropine (0.03 mg/kg, IM)으로 전처치하였으며, medetomidine 투여 10분 후 tiletamine/zolazepam (TZ)를 투여하였다. TZ투여 15분 후 atipamezole을 정맥으로 투여하였다. 실험견이 머리를 들 때까지의 평균시간은 대조군 43.06$\pm$2.60분, A30군 43.06$\pm$2.60분, A60군 32.83$\pm$8.13분 Al50군 14.36$\pm$1.60분으로 대조군과 비교할 때 A150군에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으나 (P<0.05) 완전한 보행을 보일 때까지의 평균시간에는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회복기에 보이는 두부의 진전, 과도한 유연, 근육 경련과 같은 부작용은 atipamezole치 용량이 증가할수록 심하게 나타났다. 12두의 실험견중 5두가 medetomidine투여 후 5분 이내에 구토를 하였다. 대조군에서 심박수는 TZ 투여 후 15분을 제외하고, 모든 측정시간대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전 실험군에서 medetomidine 투여 10분 후. A30군에서 atipamezole투여 후 40분에 심박수의 유의성 있는 감소가 나타났다 (P<0.05). Al50군에서는 atipamezole투여 10분 후 심계 항진 및 호흡 항진이 나타났다. 대다수 실험견에서 동맥혈압은 medetomidine과 tiletamine/zolazepam 투여 후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으나 (P< 0.05) A60군과 Al50군에서는 atipamezole투여 후 점차적으로 회복되었다. 혈액가스검사와 총 혈구계산치는 유의성 있는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실험의 결과로 atipamezole 150 mg/kg은 MTZ 병용 마취견 각성에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고 사료된다.

Safety and efficacy of target controlled infusion administration of propofol and remifentanil for moderate sedation in non-hospital dental practice

  • Douglas Lobb;Masoud MiriMoghaddam;Don Macalister;David Chrisp;Graham Shaw;Hollis Lai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3권1호
    • /
    • pp.19-28
    • /
    • 2023
  • Background: Fearful and anxious patients who find dental treatment intolerable without sedative and analgesic support may benefit from moderate sedation. Target controlled infusion (TCI) pumps are superior to bolus injection in maintaining low plasma and effect-site concentration variability, resulting in stable, steady-state drug concentrations. We evaluated the safety and efficacy of moderate sedation with remifentanil and propofol using TCI pumps in non-hospital dental settings. Methods: A prospective chart review was conducted on 101 patients sedated with propofol and remifentanil using TCI pumps. The charts were completed at two oral surgeons and one general dentist's office over 6 months. Hypoxia, hypotension, bradycardia, and over-sedation were considered adverse events and were collected using Tracking and Reporting Outcomes of Procedural Sedation (TROOPS). Furthermore, patient recovery time, sedation length, drug dose, and patient satisfaction questionnaires were used to measure sedation effectiveness. Results: Of the 101 reviewed sedation charts, 54 were of men, and 47 were of women.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40.5 ±18.7 years, and their mean BMI was 25.6 ± 4.4. The patients did not experience hypoxia, bradycardia, and hypotension during the 4694 min of sedation. The average minimum Mean Arterial Pressure (MAP) and heartbeats were 75.1 mmHg and 60.4 bpm, respectively. 98% of patients agreed that the sedation technique met their needs in reducing their anxiety, and 99% agreed that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sedation 24 hours later. The average sedation time was 46.9 ± 55.6 min, and the average recovery time was 12.4 ± 4.4 min. Remifentanil and propofol had mean initial effect-site concentration doses of 0.96 µ/.ml and 1.0 ng/ml respectively. The overall total amount of drug administere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longer sedation procedures compared to shorter ones, while the infusion rate decreased as the procedural stimulus decreased.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no patients experienced adverse events during sedation, and all patients were kept at a moderate sedation level for a wide range of sedation times and differing procedures. The results showed that TCI pumps are safe and effective for administering propofol and remifentanil for moderate sedation in dentistry.

박동류 및 비박동류에 의한 체외순환의 비교 (Comparative Studies of Pulsatile and Nonpulsatile Blood Flow during Cardiopulmonary Bypass)

  • 선경;백광제;김요한;임창영;김광택;김학제;김형묵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8권2호
    • /
    • pp.182-192
    • /
    • 1985
  • [here are so many reports that pulsatile blood flow provides physiologic organ perfusions during cardiopulmonary bypass. So, we compared the recent 30 cases undergoing cardiac surgery by Cobe-Stckert pulsatile roller pump with another 30 cases by Polystan nonpulsatile roller pump. Pulsatile flow was applied during aortic-cross clamping period when synchronized to internal EKG simulator, and perfusion mode was changed to continuous nonpulsatile flow after declamping of aorta. Age, sex, weight, and disease entities were comparable and operative techniques were similar between two groups. 1.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verage ACC time, ECC time, and Operation time. 2. Postoperative artificial respiration time was 6hrs 30mins in nonpulsatile group and 4hrs 48mins in pulsatile group, and detubation time after ventilator weaning was 2hrs 44mins in nonpulsatile group and 1hrs 43mins in pulsatile group. 3. Average pulse pressure was 8mmHg in nonpulsatile group and 55mmHg in pulsatile group, and a mean arterial pressure was 66.0mmHg in nonpulsatile group and 60.7mmHg in pulsatile group. 4. Mean urine-output during ACC;ECC period was 9.717.3;9.913.2ml/kg/hr in nonpulsatile group and 14.215.0;15.817.5 in pulsatile group [p<0, 05], and thereafter progressive decrease of differences in urine output between two groups until POD 2, and lesser amounts of diuretics was needed in pulsatile group during same postoperative period. Serum BUN/Cr level showed no specific difference and urine concentration power was well preserved in both groups. 5. Plasma proteins and other Enzymes showed no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but serum GOT/GPT level was higher in nonpulsatile group till POD 2. 6. Serum Electrolytes showed no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7. WBC, RBC, Platelet counts, Hgb and Hct were not different and Coagulogram was well preserved in both groups. 8. Plasma free Hgb level was 7.09mg% in pulsatile group compared with 3.48mg% in pulsatile group on POD 1 but was normalized on POD 2. Gross hemoglobinuria after ECC was noted in 6 cases [20%] of pulsatile group and 4 cases [13%] of nonpulsatile group. 9. In both groups, most patients were included in NYHA class III to IV [28 cases;93% in nonpulsatile group, 22 cases;73% in pulsatile group] preoperatively, and well improved to class I to 11[22 cases; 73% in nonpulsatile group, 30 cases; 100% in pulsatile group] postoperatively. There were 7 operative mortalities in nonpulsatile group only, which were 5 cases of TOF with hepatic failure, 1 case of multiple VSDs with low out-put syndrome, and 1 case of mitral valvular heart disease with cardiomyopathy. We concluded that the new, commercially available Cobe-Stckert pulsatile roller pump device was safe, simple, and reliable.

  • PDF

동맥관 개존증의 임상적 고찰 (A retrospective clinical study of isolated patent ductus arteriosus)

  • 곽영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7권4호
    • /
    • pp.593-606
    • /
    • 1984
  • With the ligation of patent ductus arteriosus by Gross in 1938, surgeons first entered the field of congenital heart disease. Interruption of a ductus is one of the most satisfactory and curative operations in the field of surgery for congenital heart disease. 27 cases of isolated patent ductus arteriosus were operated from Jan. 1978 to July 1984 at the Department of Thoracic & Cardiovascular Surgery in Kyung-Hee University Hospital. Retrospective clinical analysis of these patients were: 1. Sex ratio, female: male, was 2:1. 2. Mean age at operation was 9.85\ulcorner.58 years. The youngest patient was a 23 month-old girl and the oldest one was a 24 year-old male. 3. More than half of the patients had less than 50 percentile of growth retardation. 4. Chief complaints of the patients were frequent URI [52%], dyspnea on exertion [33%], generalized weakness [22%], palpitation [7%], but 7 patients [26%] had no subjective symptoms. 5. Continuous machinery murmur could be heard at the 2nd or 3rd intercostal space on the left sternal border in 22 patients [81%]. The other S patients made systolic murmur with accentuation of the second heart sound and those were associated with pulmonary hypertension. 6. Radiologic findings of Chest P-A were cardiac enlargement in 15 patients [55%], enlargement of pulmonary conus and/or increasing density of pulmonary vascularity in 20 patients [74%]. 7. Electrocardiographic findings of the patients were within normal limit in 13 patients [48%], LVH in 4 patients [15%], biventricular hypertrophy in 3 patients [11%]. 8; echocardiogram was obtained from 11 patients. Ductus was directly visualized in 7 patients. Left atrial enlargement is the secondary change of left to right shunt, 10 patients had LA/Ao ratio more than 1.2. 9. Cardiac catheterization performed in 25 patients. The mean value of the results were:SO2[PA-RV]= 14.72\ulcorner6.01%, Qp/Qs=2.22\ulcorner.80, peak systolic pulmonary arterial pressure=48.28\ulcorner1.60 mmHg. 10. 26 patients were operated through the left posterolateral thoracotomy: closure of ductus by double ligation in 14 cases, triple ligation in 5 cases, and division with suture in 8 cases. One patient suffer from aneurysmal rupture of main pulmonary artery, endocarditis, hemopericardium was treated with cardiopulmonary bypass via median sternotomy and closure of ductus through the ruptured main pulmonary artery. 11.There was no death associated with the operation, but 3 cases were experienced with intraoperative rupture around the ductus resulting in massive bleeding. The other complications were transient hoarseness in one patient, atelectasis in left lower lobe in 3 patients, and postoperative systemic hypertension in 4 patients with unknown etiology. 12. Pulse pressure was reduced, 11.47+5.92 mmHg, postoperatively, as compare to preoperative status. 13. Intraoperative wedge lung biopsy from lingular segment for the evaluation of the pulmonary vascular disease was taken in S patients with severe pulmonary hypertension. The result was Heath-Edward grade I in one case, grade II in two cases, and grade III in two cases.

  • PDF

소아 심혈관 수술 후 발생한 횡격신경마비가 술후 호흡관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hrenic Nerve Paralysis After Pediatric Cardiac Surgery on Postoperative Respiratory Care)

  • 윤태진;이정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10호
    • /
    • pp.1118-1122
    • /
    • 1996
  • 1990년 1월부터 1995년 12월가지 43명의 환아가 다양한 심혈관수술로 인해 유발된 횡격막 마비로횡 격막 습벽형성술을 시행 받았다. 환아의 평균연령은 11.1개월이었고, 남녀 비율은 31:12였다. 횡격막 마비의 원인이 된 수술로는 변형 Blalock-Taussig단락술 및 활로씨 4징증의 전교정술이 각각 7례로 가장 많았고, 기타 동맥 전환술 6례, 심실중격결손을 동반한 폐동맥 폐쇄증에서의 unifocalization 및 변형 Fontan수술, 심실중격결손 교정 등이 각각 3례씩이었다. 마비된 부위는 우측이 17례, 좌측이 23례, 양측성이 3례였으며, 원인은 대부분 과도한 심낭 절제 및 심낭 절개면 부위의 전기소작으로 추정되었다. 원인이 된 수술후 횡격막 습벽형성술까지의 기간은 수술 당일로부터 98일까지로 대부분 2주이내에 습 벽형성술이 이루어졌다 수술방법은 2례를 제외하고 모두 횡격막 신경분지를 피해서 횡격막을 접어주는 central pleating technique 이 적용되었다. 10명의 환아가 습벽형성술후 사망했으며(조기: 7, 만기: 3), 사망원인은 전례 에서 습벽 형성술과는 무관한 것으로 사료되 었다. 36명의 조기생존자들은 습벽 형성술후 1일에서 24일 사이에 양압호\ulcorner으로 부터 벗어날 수 있었다(평균 4.5일). 6명의 환아가 습벽 형성술후 8개 월에서 52개월 사이에 fluoroscopy를 시행하였으며, 대부분 횡격막의 위치 및 운동성이 양호하였다. 결 론적으로 불가역적인 횡격막 신경 손상이 없다면 횡격막 습벽형성술은 단기적으로는 환아의 양압호흡 의존기 간을 단축시키고 장기적으로는 횡격막 기능의 완전회복을 유도할 수 있다.

  • PDF

신생아의 지속성 폐동맥 고혈압증에서 Sildenafil 치료 경험 (Oral Sildenafil in Persistent Pulmonary Hypertension of the Newborn)

  • 손수빈;김경아;윤소영;고선영;이연경;신손문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1호
    • /
    • pp.124-129
    • /
    • 2011
  • 목적: 최근 PPHN의 치료를 위해 iNO와 함께 많은 약물적 치료가 사용되고 있다. Sildenafil은 PDE5의 억제제로 선택적인 폐혈관 확장제로 알려져 있으며 iNO에 비하여 접근성이 뛰어나 iNO에 대안적인 약제로 연구되어 왔다. 저자들은 본원에서 sildenafil로 PPHN을 치료한 경험을 분석하였다. 방법: 심초음파를 통해 PPHN으로 진단된 재태 기간 35주 이상, FiO2 1.0을 필요로 하는 32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sildenafil은 0.5 mg/kg로 시작하여 6시간마다 1 mg/kg로 투약하였으며, 투약 전과 후 6, 12, 24, 48시간의 MAP, $FiO_2$, OI, MBP를 비교하였다. 부작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환아들의 위장관 증상, 뇌초음파, 안저검사와 청성뇌간유발반응 검사의 결과를 조사하였다. 결과: 대상 환아 32명 중 태변 흡인 증후군 9명, 호흡곤란증후군 8명, 폐렴 3명이었으며, 12명은 특발성이었다. 이 중 31명이 생존하였으며 28명의 환아는 본원에서 sildenafil만으로 치료되었고 3명의 환아는 전원되어 iNO 치료 후 회복하였다. Sildenafil 단독으로 치료된 28명의 환아에서 $FiO_2$와 OI는 치료 6시간째부터 MAP는 48시간째부터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모든 환아에서 특별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Sildenafil은 35주 이상의 PPHN 환아에서 비교적 효과적이고 안전하게 시도해 볼 수 있는 대안 약제로서, 특히 iNO가 가능하지 않은 병원에서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기관내 관 제거 후 발생한 급성 호흡부전에서 비침습적 양압 환기법의 유용성 (The Usefulness of Noninvasive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in Patients With Acute Respiratory Failure after Extubation)

  • 나주옥;임채만;심태선;박주헌;이기만;아상도;김우성;김동순;김원동;고윤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3호
    • /
    • pp.350-362
    • /
    • 1999
  • 연구배경: 침습적 기계 호흡 이탈에 성공하여 기관내 관을 제거하였으나 48시간 이내에 급성 호흡 부전이 경우 또는 환자 스스로 기관내 관을 제거한 후 발생된 급성 호흡 부전은 이탈 실패의 중요한 원인이며, 발생시 기관내 관의 재삽관을 통한 호흡 보조가 표준적 치료이다. 비침습적 양압 환기법(noninvasive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이하 NIPPV)은 비 혹은 안면마스크를 통해 양압 환기를 시행하므로 기관내 삽관을 회피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계 호흡 이탈 후 기관내 관을 제거한 환자들에게 발생된 급성 호흡 부전 시 NIPPV 적용이 기관내 삽관을 통한 양압 환기 치료를 대체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대상은 아산 재단 서울 중앙병원 내과계 중환자실에 입원하여 기계적 환기 치료를 받고 이탈 과정에서 기관내 관 제거 후 48시간 이내에 급성 호흡 부전이 발생한 환자 21명 및 스스로 기관내 관을 제거한 후 급성 호흡 부전이 발생한 환자 7명과 기관내 관이 기도내 분비물로 막혀 기관내 관을 제거한 환자 2명등 총 31명에게 NIPPV를 적용하였다. NIPPV는 환자 상태에 따라 기계 환기 양식, 압력 보조 수준 및 흡입 산소의 양이 조절 되어졌으며, 압력 보조 8cm $H_2O$미만에서 임상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완전히 NIPPV에서 이탈하였다. 성공군은 NIPPV 이탈후 48 시간 이상 자발 호흡을 유지한 경우로 정의하였고, 실패군은 NIPPV 시행 후 호흡 부전 소견이나 동맥혈 가스검사의 호전이 없어 다시 기관내 삽관을 시행하여 기계호흡을 시행한 환자로 정의하였다. 각 군에서 NIPPV적용 직전, 적용 후 30분, 6시간, 24시간, NIPPV 이탈 작전 또는 실패하여 기관내 재삽관으로 전환 직전의 심박동수, 분당 호흡수, 동맥혈 가스검사, 압력 보조 수준 및 호기말 양압등을 비교하였다. 결 과: 총 31명에서 NIPPV를 적용하였고, 이 중 성공군은 14명(45%)이었다. 성공군과 실패군을 비교 시 나이, 중환자실 입원 당시의 APACHE III 점수, 기관 내 삽관 기간, 기관내 관 제거 후 NIPPV적용시까지의 시간 및 NIPPV 시행 직전의 분당 호흡수, 심박동수, 동맥혈 가스검사, $PaO_2/FiO_2$ 등은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모든 환자에서 NIPPV적용 30분후부터 분당 호흡수 및 심박동수는 감소하였고 동맥혈 산소 포화도는 증가하였다.(p<0.05) 그러나, 실패군에서는 NIPPV 시행중에 상태가 악화되어 기관내 재삽관을 시행하였고, 재삽관 작전의 분당 호흡수 및 심박동수는 다시 증가하였으며 동맥혈 산소포화도는 감소하였다(p<0.05). 기저 질환이 COPD 이면서 기관내 관 제거 후 급성 호흡부전이 발생한 환자 8명에게 NIPPV 적용 시 COPD가 아닌 다른 환자들에 비해 NIPPV의 성공률이 의미 있게 높았다(62% 대 39%)(p=0.007). NIPPV를 이용한 이탈 시 실패의 원인으로는 기저 질환의 악화 없이 동맥혈 가스 소견이 악화되었던 예가 9예, 그 외 기저 질환 악화 5예, 마스크 부적응이 2예, 기도내 분비물 축적이 1예였다. 결 론: NIPPV는 침습적 기계 호흡이탈과정에서 특히 기저질환이 COPD인 환자들의 경우 기관내 관 제거 후 발생한 급성 호흡 부전 시 기관내 관의 재삽관을 피할 수 있는 유용한 치료적인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비글견에서 medetomidine-midazolam-ketamine 합제의 마취효과와 심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Anesthetic and Cardiopulmonary Effects of Medetomidine, Midazolam and Ketamine Combination in Beagle Dogs)

  • 황유선;박지영;정성목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15-420
    • /
    • 2013
  • 본 연구는 비글견에서 medetomidine-midazolam-ketamine 병용 마취 시 마취효과와 심혈관계 및 호흡기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Medetomidine 0.015 mg/kg (MMK-L군) 또는 medetomidine 0.02 mg/kg (MMK-H군)을 근육 주사한 후에 midazolam (0.3 mg/kg) 및 ketamine (5 mg/kg)을 근육 주사하였다. 마취유도 및 회복시간, 진정 및 진통점수, 심박수, 혈압, 직장 온도 및 호흡수 측정 및 동맥혈액가스분석을 실시하였다. 평균 마취 시간은 MMK-L군 ($52.4{\pm}11.08$분)과 MMK-H군($78.2{\pm}20.72$분)이 유의성 있게 달랐다. 두 군 모두에서 MMK 투여로 인해 개에서 만족스런 진정 및 진통을 얻을 수 있었다. 두 군 모두에서 심박수는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으며 MMK-H군은 투여 후 5분부터 MMK-L군은 투여 후 20분부터 유의적인 심박수의 저하가 확인되었다. MMK 투여 후 두 군 모두에서 혈압은 증가하였으나 두 군사이의 유의적인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실험 결과 비글견에서 medetomidine-midazolam-ketamine 병용마취는 양호한 마취효과를 나타냈으며, 개의 MMK 병용마취에서 부작용을 최소화 하면서 만족할 만한 마취효과를 얻을 수 있는 medetomidine의 용량은 0.015 mg/kg 인 것으로 생각된다.

뇌혈류 자가조절에 대한 Endothelium-derived Relaxing Factor의 역할 (Role of Endothelium-derived Relaxing Factor in Cerebral Autoregulation in vivo)

  • 홍기환;유성숙;임병용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7-37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콜린성 기전에 반응하여 분비되는 내피 의존성 이완물질(endothelium-derived relaxing factor, EDRF)나 nitric oxide(NO)가 마취 흰쥐의 뇌혈류 자가조절기전에 관여할 가능성을 관찰하였다. Acetylcholine($10^{-9}-10^{-6}M$)을 포함한 mock 뇌척수액(CSF)을 관류시 뇌연막 동맥은 농도에 의존하여 이완반응 나타내었고(평균; $19.3{\pm}1.7{\mu}m$, n=36), 이러한 이완반응은 $N{\omega}$-nitro-L-arginine(L-NNA, $10^{-5}M$)에 의해서 억제되었을 뿐 아니라 methylene blue($10^{-6}M$)나 oxyhemoglobin($10^{-6}M$)에 의하여도 억제되었다. 한편 이러한 acethlcholine에 의한 뇌연막동맥의 이완반응을 매게하는 무스카린 수용체는 무스카린 수용체 길항제의 봉쇄효과를 관찰한 실험에서 $M_1$$M_3$ 아형으로 생각되었다. L-Arginine을 함유한 mock CSF로 관류시 일어나는 일시적인 혈관이완반응은 NY 83583 ($10^{-5}M$)에 강력히 억제되었으나 L-NNA ($10^{-5}M$)에 의해서는 억제되지 아니하였다. 한편 acetylcholine과 L-arginine에 의한 혈관이완반응은 ATP-sensitive $K^+$ 통로 봉쇄제인 glibenclamide에 의해 유의하게 봉쇄되었다. 나아가 뇌연막동맥의 직경 변화를 동맥압의 변화에 대하여 검정한 결과 혈관이완과 혈관수축의 희귀 직선의 경사도는 $10^{-5}M$ L-NNA의 전처치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아니하였으나, $3{\times}10^{-6}M$ glibenclamide에 의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혈압하강에 대해 쥐의 뇌연막동맥에 나타나는 혈관이완반응은 EDRF(NO)에 의해 매개되지 않는다고 사료된다.

  • PDF

대돈(大敦) ${\cdot}$ 소충(少衝) ${\cdot}$ 소부(少府) ${\cdot}$ 자침(刺鍼)이 뇌혈류역학(腦血流力學)에 미치는 영향 (Experimental Study of Dadun(LR1) ${\cdot}$ Shaochung(HT9) ${\cdot}$ Shaofu(HT8) Reinforcement in Acupuncture on the Improvement of Cerebral Hemodynamics)

  • 박은주;조명래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4권1호
    • /
    • pp.111-125
    • /
    • 2007
  • Objection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ti-ischemic effect of LR1 ${\cdot}$ HT8 ${\cdot}$ HT9 Reinforcement in Acupuncture. Methods : I designed to investigate whether LR1 ${\cdot}$ HT8 ${\cdot}$ HT9 Reinforcement in Acupuncture affects cerebral hemodynamics [regional cerebral blood flow(rCBF), pial arterial diameter(PAD), mean arterial blood pressure (MABP) ] in normal and cerebral ischemia rats by MCA occlusion method, and to make manifest whether LR1 ${\cdot}$ HT8 ${\cdot}$ HT9 Reinforcement in Acupuncture is mediated by cyclooxygenase or guanylate cyclase. The changes of rCBF and MABP were determinated by laser-doppler flowmetry(LDF), and the change of PAD was determinated by video microscope and width analyzer.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LR1 ${\cdot}$ HT8 ${\cdot}$ HT9 Reinforcement in Acupunctur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rCBF, PAD, but decreased MABP after withdrawing of the needle. This results suggest that LR1 ${\cdot}$ HT8 ${\cdot}$ HT9 Reinforcement in Acupuncture induced significantly rCBF by dilating PAD. 2. Pretreatment with indomethacin (1mg/kg, i.v.) was significantly inhibited LR1 ${\cdot}$ HT8 ${\cdot}$ HT9 Reinforcement in Acupuncture induced increase of rCBF and PAD, but increased LR1 ${\cdot}$ HT8 ${\cdot}$ HT9 Reinforcement in Acupuncture induced decrease of MABP after withdrawing of the needle. 3. Pretreatment with methylene blue(10/${\mu}$g/kg, i.v.) was decreased LR1 ${\cdot}$ HT8 ${\cdot}$ HT9 Reinforcement in Acupuncture induced increase of rCBF and MABP, but accelerated LR1 ${\cdot}$ HT8 ${\cdot}$ HT9 Reinforcement in Acupuncture induced decrease of PAD. This results suggest that the mechanism of LR1 ${\cdot}$ HT8 ${\cdot}$ HT9 Reinforcement in Acupuncture is mediated by cyclooxygenase or guanylate cyclase. Conclusion : I suggest that LR1 ${\cdot}$ HT8 ${\cdot}$ HT9 Reinforcement in Acupuncture has an anti-ischemic effect through the improvement of cerebral hemodynamics, and the mechanism IS mediated by cyclooxygena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