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ximum uptake rates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31초

다양한 전자선 전류 조건에서 조사된 폴리에틸렌 분리막의 특성 연구 (A Study on Characterization of Polyethylene Separators Irradiated at Various Electron Beam Current Conditions)

  • 임종수;손준용;신준화;임윤묵;최재학;김정수;노영창
    • 폴리머
    • /
    • 제34권1호
    • /
    • pp.74-7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전류조건하에 전자선 조사로 가교된 리튬 이차전지용 폴리에틸렌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폴리에틸렌 분리막의 가교율은 조사량이 증가할수록 그리고 빔 전류가 낮을수록 증가하여 최대 71%까지 증가하였다. 낮은 빔 전류에서 조사된 폴리에틸렌 분리막은 상용 분리막 보다 우수한 열수축률(51%) 및 기계적 특성을 보여주었다. 가교된 분리막의 이온전도도는 $1.01{\times}10^{-3}\;S/cm$와 전해액 함침률(275%)은 조사되지 않은 분리막과 거의 동일하였다.

Relative Microalgal Concentration in Prydz Bay, East Antarctica during Late Austral Summer, 2006

  • Mohan, Rahul;Shukla, Sunil Kumar;Anilkumar, N.;Sudhakar, M.;Prakash, Satya;Ramesh, R.
    • ALGAE
    • /
    • 제24권3호
    • /
    • pp.139-147
    • /
    • 2009
  • Microalgae using a submersible fluorescence probe in water column (up to 100 m) were measured during the austral summer of 2006 (February) in Prydz Bay, East Antarctica (triangular-shaped embayment in the Indian sector of Southern Ocean). Concurrently, environmental parameters such as temperature, salinity and nitrogen (nitrate, ammonium, urea) uptake rates were measured. The concentration of phytoplankton is relatively high due to availability of high nutrients and low sea surface temperature. Phytoplankton community is dominated by diatoms whereas cryptophytes are in low concentration. The maximum concentration of total chlorophyll is 14.87 ${\mu}g\;L^{-1}$ and is attributed to upwelled subsurface winter water due to local wind forcing, availability of micro-nutrients and increased attenuation of photosynthetically available radiation (PAR). Concentration of blue-green algae is low compared to that of green algae because of low temperature. Comparatively high concentration of yellow substances is due to the influence of Antarctic melt-water whereas cryptophytes are low due to high salinity and mixed water column. Varied concentrations of phytoplankton at different times of Fluoroprobe measurements suggest that the coastal waters of Prydz Bay are influenced by changing sub-surface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due to subsurface upwelling induced by local winds as also melting/freezing processes in late summer. The productivity is high in coastal water due to the input of macro as well as micro-nutrients.

동물세포의 연속 대량생산에 관한 연구 (Mass Production of Mammalian Cells under Chemostat Cultivation)

  • 이현용;강재구;박형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73-177
    • /
    • 1989
  • HeLa 세포주의 연속 배양시 세포수가 배지의 이동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현상을 나타냈으며, 최대 세포수를 유지할 때의 dilution rate은 0.012(1/h)로 wash-out인 0.050(1/h)보다 극히 낮으며, dilution rate이 0.030(1/h)일 때 2.0(mL of cells/L/h)의 최대 세포 생산속도를 보였다. 또한 낮은 배지 이동속도에서 세포수의 감소에 따른 maintenance term의 존재를 확인했다. 더불어 packed cell volume파 산소소비속도의 측정값이 실제 세포증식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이 입증되어 간접방법에 의한 생육도치 측정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산소 yield model에 의해 최대 산소 수율, $Y_{O2}^{max}$과 maintenance 산소소비속도, m$_{O2}$가 각각 4.1$\times$$10^5$(cells/mmole $O_2$)와 10.71$\times$$10^{-9}$(mmole $O_2$/ cells/h)로 측정되었다.

  • PDF

Aureobasidium pullulans가 생산하는 과당 및 포도당 전이효소에 의한 올리고당류의 생산 (O1igosaccharide Formation and Production of Transfructosylase and Transglucosylase by Aureobasidium pullulans)

  • 윤종원;윤태경한성범송승구
    • KSBB Journal
    • /
    • 제9권2호
    • /
    • pp.133-139
    • /
    • 1994
  • Aureobasidium pullulans를 설탕 및 맥아당을 주 탄소원으로 하는 배지에서 각각 배양하면서 여러 종류의 올리고당류의 합성, 기질 이용성, 그리고 과당 전이효소 및 포도당전이효소의 생산특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맥아당 배지에 비하여 설탕배지에서 초기 기질의 소비속도가 더 빨랐고 합성된 올리고당류는 두 경우 모두 최대 중합도 6까지의 올리고당류를 생산하였고, 이때 합성된 올라고당류의 최대 농도는 초기 설탕농도 100g/ㅣ 의 경우에서 58g/ㅣ 이었다 이들은 대부분 배양 중에 탄소원으로 다시 이용되었으나 중합도 6의 이소말토올리고당은 기질로 이용되지 않고 배양 말기까지 계속 잔존하였다. 설탕을 주 탄소원으로 하는 배지에서 맥아당은 과당전이효소 및 포도당전이효소의 생산을 촉진시켰으나, 맥아당을 주 탄소원으로 하는 배지에서 설탕은 포도당전이 효소의 생산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비점오염원 저감을 위한 죽산천 인공습지의 오염물질 정화효율 평가 (Evaluation of Treatment Efficencies of Pollutants in Juksancheon Constructed Wetlands for Treating Non-point Source Pollution)

  • 최익원;서동철;강세원;이상규;서영진;임병진;박종환;김갑순;허종수;조주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642-648
    • /
    • 2012
  • 주암호 상수원 상류지역인 죽산천에 위치한 죽산천 인공 습지의 수생태학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질에서의 영양 염류 처리효율, 수생식물의 무기성분 흡수량 및 퇴적물내 화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수질에서의 영양염류 처리효율은 COD와 SS를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낮았다. 죽산천 인공 습지의 주요 우점종의 영양염류 흡수량을 조사한 결과, T-N 및 T-P 흡수량은 8월에 노랑꽃창포 > 수련 > 노랑어리 연꽃 순으로 최대흡수량을 나타내었다. 퇴적물내 O.M 함량은 시기별로 큰 차이가 없었고, T-N 및 T-P의 함량은 봄에서 여름으로 시기가 변함에 따라 낮아져서 겨울까지 낮은 함량을 유지하였다. 퇴적물내 microbial biomass C:N:P의 비율은 봄, 여름, 가을 및 겨울이 각각 117~140:1~4:1, 86~126:5~6:1, 68~101:2~6:1 및 47~138:2~4:1로 나타났다. 죽산천 인공습지는 질소와 인의 처리효율이 낮고, 겨울철 수질 정화효율이 낮아 습지의 정화효율 향상을 위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비점오염원 저감을 위한 신평천 인공습지의 수생태학적 특성 평가 (Evaluation of Aquatic Ecological Characteristics in Sinpyongcheon Constructed Wetlands for Treating Non-point Source Pollution)

  • 서동철;강세원;임병진;박종환;김갑순;이준배;김현욱;허종수;장남익;성환후;조주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400-407
    • /
    • 2011
  • 비점오염원 저감을 위한 신평천 인공습지의 수생태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질내 영양염류 처리효율, 수생식물의 무기성분 흡수량 그리고 퇴적물내 화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유입원수의 BOD, COD, SS, T-N 및 T-P의 함량은 각각 0.07~1.47, 0.60~2.65, 0.50~4.60, 1.38~6.26 및 $0.08{\sim}0.32mg\;L^{-1}$ 범위이었으며, 평균 처리효율은 BOD, COD, SS, T-N 및 T-P가 각각 14, 6, 18, 24 및 10%로서 전반적으로 영양염류의 처리효율이 낮았다. 수생식물내 T-N 흡수량은 8월에 갈대가 $2^{nd}$ 처리조에서 $813mg\;plant^{-1}$ 부들이 $3^{rd}$ 처리조에서 $1,172mg\;plant^{-1}$ 로 최대 흡수량을 보였고, T-P 흡수량도 8월에 갈대가 $2^{nd}$ 처리조에서 $247mg\;plant^{-1}$, 부들이 $3^{rd}$ 처리조에서 $359mg\;plant^{-1}$ 로 최대 흡수량을 보였다. 퇴적물내 O.M, T-N 및 T-P 함량은 $1^{st}$ > $2^{nd}$ > $3^{rd}$ 처리조 순으로 높았으며, 시기별로는 큰 차이 없이 유사한 경향이었다. 퇴적물내 처리단계별 microbial biomass C/N/P의 비율은 $1^{st}$, $2^{nd}$$3^{rd}$ 처리조에서 각각 78~110/3~6/1, 73~204/1~6/1 및 106~169/1~6/1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미루어볼 때 신평천 인공습지는 수생태적 측면에서 전반적으로 유입수의 오염부하량이 낮아 습지생태계 유지를 위한 영양영분이 부족하여 향후 수생태계의 미생물과 수생식물 안정화를 위한 운영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토양잔류 농약의 무 흡수양상 및 토양 안전관리기준 설정 (Establishment of Safe Management Guideline Based on Uptake Pattern of Pesticide Residue from Soil by Radish)

  • 황정인;곽세연;이상협;강민수;류준상;강자군;정혜현;홍성현;김장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78-285
    • /
    • 2016
  • 토양에 잔류된 엔도설판(ED) 살충제의 ${\alpha}$, ${\beta}$ 이성질체 및 sulfate 대사체의 무 흡수이행 양상을 조사하고 무 재배지 토양에 대한 ED의 안전관리기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생물농축계수(BCF)를 산출하였다. 토양은 2 및 10 mg/kg의 농도가 되도록 처리하였으며 각각의 처리구에 파종한 무를 40일부터 70일까지 재배 후 10일 간격으로 수확하고 수확된 무는 지상부와 지하부로 나누어 ED의 잔류분석을 실시하였다. 토양으로부터 무 한 개체로 흡수된 total ED (이성질체와 대사체의 합) 잔류량에 대해 ED-sulfate가 48.5-100.0%로 가장 많이 분포하였고 그 다음으로 ${\alpha}$- (0.0-35.2%) 및 ${\beta}$-ED (0.0-16.4%) 순이었다. ED 잔류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무와 토양사이에 total ED의 잔류량 비로써 BCF를 산출하였으며 그 값은 무 지상부에 대해 0.0002-0.0429, 지하부에 대해 0.0077-0.2345로 지하부의 BCF 값들이 더 컸다. 이 값들로부터 얻어진 회귀방정식( $R^2$ >0.86)을 이용하여 장기적인 BCF 값들을 예측하고 무에 대한 ED의 MRL 값인 0.1 mg/kg과 비교하여 무 재배지 토양 중 ED의 안전관리기준을 산출하고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고려한 결과, 무와 무청 둘 다에 대해 2.0 mg/kg이었다.

사질답토양(砂質沓土壤)에서 투수속도조절(透水速度調節)과 질소흡착(窒素吸着) Zeolite의 시비량(施肥量)에 관(關)한 연구(硏究) (Optimum Rates of N. Absorbed Zeolite to be Applied under the Water Percolation Adjusted Sand Paddy Soil)

  • 안상배;박준규;조성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01-106
    • /
    • 1987
  • 누수(漏水)가 심(甚)한 사질답(砂質畓)인 강서류(江西流) 토양(土壤)에 질소질비료(窒素質肥料)를 Zeolite에 흡착(吸着)시켜 시용(施用)할때 양분(養分)의 경시적변화(經時的變化)와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알기 위(爲)하여 투수속도(透水速度)를 조절(調節)할 수 있는 pot조건(條件)에서 시험(試驗)을 수행(遂行)한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정조수량(精祖收量)은 투수속도(透水速度) 10mm/일구(日區)가 30mm/일구(日區)에 비(比)하여 증수(增收)되었으며 증수(增收)된 요인(要因)은 수당입수증가(穗當粒數增加)와 등숙률(登熟率)이 높은데 있었다. 2. 토양용액중(土壤溶液中) $NH^+_4-N$, $K^+$, 및 $SiO_2$ 등(等)의 용탈량(溶脫量)은 투수속도(透水速度) 30mm/일구(日區)가 10mm/일구(日區)에 비(比)하여 많았으며 Zeolite 1.0 T/10a 시용(施用)은 무시용(無施用)에 비(比)하여 벼 생육초기(生育初期)의 $NH^+_4-N$$K^+$의 용탈량(溶脫量)을 크게 감소(減少)시켰다. 3. 수확기(收穫期) 질소(窒素)와 가리흡수량(加里吸收量)은 투수속도(透水速度) 10mm/일구(日區)가 30mm/일구(日區)에 비(比)하여, 규산흡수량(珪酸吸收量)은 30mm/일구(日區)가 10mm/일구(日區)보다 많았으며 각성분(各成分) 공(共)히 Zeolite 시용량(施用量)에 따라 흡수량(吸收量)도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었다. 4. Zeolite 시용적량(施用適量)은 투수속도(透水速度)에 따라 악간의 차이(差異)는 있었지만 약 1.0T/10a 정도(程度)이었다.

  • PDF

질소 관비량 절감이 토마토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Reduced Nitrogen Fertigation Rates on Growth and Yield of Tomato)

  • 이인복;임재현;박진면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06-312
    • /
    • 2007
  • 토마토의 생육, 수량, 물과 질소 이용율 등에 미치는 질소 관비 처리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토양검정시비량의 0%, 40%, 60%, 80%, 100%에 해당하는 질소량은 15회에 걸쳐 토마토에 점적관비 하였으며, 질소 점적관비 효과는 질소관행시비구(기비와 추비를 60:40의 비율로 표층시비)와 비교하였다. 질소관비량 증가로 토마토의 초장과 건물중은 증가하였으나, 경경은 현저한 차이가 없었다. 질소관비량 증가에 따른 상품과실수 증가로 토마토수량은 증가하였다. 질소관비처리구의 과실수량은 질소관비처리량에 따라 $9{\sim}33%$ 가량 증가하였으며, 토양검정시비량의80%(NF80처리구)에 해당하는 $176kg\;ha^{-1}$의 질소 관비시(96.6 mg $L^{-1}$) 과실은 최대수량을 보였다. 질소관비량 증가로 토마토 부위별 건물중과 질소흡수량은 증가하였다. 전체건물중 대비 과실 중량의 비율은 관행에 비해 질소관비처리구들에서 $2.6{\sim}5.3%$ 증가하였고, 과실중 질소분배량은 $3.7{\sim}21.7%$ 가량 증가하여 질소 관행처리에 비해 질소 관비처리구에서 과실로의 질소분배 및 동화산물 전이가 효과적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질소 관비량 증가로 인한 질소흡수량은 증가하였으나, 질소 흡수율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질소관비처리구의 질소흡수율은 $71.8{\sim}102.3%$ 범위로서 질소관행 처리구의 45%와 비교할 때 현저하게 높았다. 반면에 질소관비처리구의 물이용효율성은 $327{\sim}361kg/ha\;cm^{-1}$로서 관행 질소 처리구의 $324kg/ha\;cm^{-1}$보다 높았으며, NF80 처리구의 경우 $361kg/ha\;cm^{-1}$으로 가장 효율적으로 물을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과실의 상품수량, 상품율, 물 이용효율성 등을 고려할 때, 토양검정시비량의 80%에 해당하는 질소량을 관비시 토마토의 생육 및 수량 증가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수도(水稻)에 대(對)한 질소시비반응(窒素施肥反應)의 품종간(品種間) 차이(差異) (Varietal Differences of Rice in Yield Response of Nitrogen Fertilizer)

  • 이춘수;신철우;곽한강;이강만;안윤수;박준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08-214
    • /
    • 1985
  • 수원지방(水原地方)의 농가포장(農家圃場)에서 1978년(年)~83년(年) (6개년(個年)) 식양토(埴壤土)인 보통답(普通畓)에서 수도품종별(水稻品種別) 질소(窒素) 시비반응(施肥反應) 및 질소(窒素) 생산효율(生産效率) 등(等)을 검토(檢討)하였는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2차회귀식(次回歸式)을 적용(適用), 최다수량(最多收量)을 생산(生産)하기 위(爲)한 질소시비(窒素施肥) 최적량(最適量)은 13.9g~28.0kg/10a 범위(範圍)로 품종(品種)에 따라 차이(差異)가 크므로 질소내비성(窒素耐肥性)을 고려(考慮)하여 품종(品種)을 선정(選定), 재배(栽培)함이 필요(必要)하였다. 2. 질소(窒素) 시비최적량(施肥最適量)이 높았던 품종(品種)에서는 수확기(收穫期) 질소함량(窒素含量)(경엽(莖葉)) 및 총질소(總窒素) 흡수량(吸收量)(경엽(莖葉)+곡실(穀實))이 증가(增加)하였으나 최적량(最適量) 시용시(施用時) 시비(施肥) 및 흡수질소(吸收窒素)의 생산효율(生産效率)과 질소이용율(窒素利用率)은 오히려 감소(減少)하였다 3. 품종별(品種別) 무질소구(無窒素區) 정조수량(正租收量)에 대(對)한 질소(窒素) 최적량(最適量) 시용시(施用時) 정조수량(正租收量)의 증수효과(增收效果)를 증수율(增收率)로서 볼 때 29~121%의 범위(範圍)로서 품종간(品種間) 질소응수(窒素應酬)의 차이(差異)가 현저(顯著)하였다. 4. 질소(窒素) 최적량(最適量) 시용시(施用時) 질소응수(窒素應酬)가 큰 품종(品種)은 수확기(收穫期) 총질소(總窒素) 흡수량(吸收量), 시비(施肥) 및 흡수질소(吸收窒素)의 생산효율(生産效率)과 질소이용률(窒素利用率)이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