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ximum Uptake rate

검색결과 152건 처리시간 0.03초

Anti-osteoarthritic effects of a combination of pomegranate concentrate powder, Eucommiae cortex and Achyranthis radix in rats

  • Choi, Beom-Rak;Ku, Sae-Kwang;Kang, Su-Jin;Park, Hye-Rim;Sung, Mi-Sun;Lee, Young-Joon;Park, Ki-Moon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86-113
    • /
    • 2018
  • Objectives: We examined the effects of a mixed formula consisting of dried pomegranate concentrate powder (PCP) and the aqueous extracts of Eucommiae cortex (EC) and Achyranthis radix (AR) in rats with surgically induced osteoarthritis (OA). Methods: Two weeks after OA-inducing surgery, a PCP:EC:AR 5:4:1 (g/g) combination or single formula was orally administered. Changes in body weight, knee thickness, maximum knee extension angle, bone mineral density of the knee joints, femoral and tibial articular surfaces, and compressive strength of the femoral and tibial articular cartilage (AC) were assessed, along with the prostaglandin E2 level, 5-lipoxygenase, matrix metalloproteinase (MMP)-2 and MMP-9 activity, and chondrogenic gene mRNA expression in the femoral and tibial AC with the synovial membrane (SM). In addition, the number of cleaved poly(ADP-ribose) polymerase, cyclooxygenase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immunoreactive cells in the femoral and tibial AC with SM were monitored, and the rate of cell proliferation was determined with a 5-bromo-2'-deoxyuridine uptake assay. Results : The signs of surgically induced OA in rats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by both PCP, EC and AR combined and single formulas. In particular, the combination formula-treated OA model rats showed dose-dependent, significantly increased inhibitory activity against all tested criteria compared with single formula-treated rats. Conclusions: Taken together,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combination formula synergistically increased the anti-OA effects of its components through anti-inflammatory and chondrogenic activity in rats with surgically induced OA. In addition, 200, 100 and 50 mg/kg combination formula treatments showed dose-dependent inhibitory activity against all of the tested criteria.

제주 스코리아로부터 합성한 제올라이트 물질에 의한 암모니아성 질소의 흡착 특성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Ammonia-Nitrogen by Zeolitic Materials Synthesized from Jeju Scoria)

  • 이창한;현성수;감상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9권12호
    • /
    • pp.1261-1274
    • /
    • 2020
  • The characteristics of ammonia-nitrogen (NH4+-N) adsorption by a zeolitic material synthesized from Jeju scoria using the fusion and hydrothermal method was studied. The synthetic zeolitic material (Z-SA) was identified as a Na-A zeolite by X-ray diffraction, X-ray fluorescence analysis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images. The adsorption of NH4+-N using Jeju scoria and different types of zeolite such as the Z-SA, natural zeolite, and commercial pure zeolite (Na-A zeolite, Z-CS) was compared. The equilibrium of NH4+-N adsorption was reached within 30 min for Z-SA and Z-CS, and after 60 min for Jeju scoria and natural zeolite. The adsorption capacity of NH4+-N increased with approaching to neutral when pH was in the range of 3-7, but decreased above 7. The removal efficiency of NH4+-N increased with increasing Z-SA dosage, however, its adsorption capacity decreased. For initial NH4+-N concentrations of 10-200 mg/L at pH 7, the adsorption rate of NH4+-N was well described by the pseudo second-order kinetic model than the pseudo first-order kinetic model. The adsorption isotherm was well fitted by the Langmuir model. The maximum uptake of NH4+-N obtained from the Langmuir model decreased in the order of Z-CS (46.8 mg/g) > Z-SA (31.3 mg/g) > natural zeolite (5.6 mg/g) > Jeju scoria (0.2 mg/g).

Experimental design approach for ultra-fast nickel removal by novel bio-nanocomposite material

  • Ince, Olcay K.;Aydogdu, Burcu;Alp, Hevidar;Ince, Muharrem
    • Advances in nano research
    • /
    • 제10권1호
    • /
    • pp.77-90
    • /
    • 2021
  • In the present study, novel chitosan coated magnetic magnetite (Fe3O4) nanoparticles were successfully biosynthesized from mushroom, Agaricus campestris, extract. The obtained bio-nanocomposite material was used to investigate ultra-fast and highly efficient for removal of Ni2+ ions in a fixed-bed column. Chitosan was treated as polyelectrolyte complex with Fe3O4 nanoparticles and a Fungal Bio-Nanocomposite Material (FBNM) was derived. The FBNM was characterized by using X-Ray Diffractometer (XR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SEM-EDS),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a (FTIR) and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techniques and under varied experimental conditions. The influence of some important operating conditions including pH, flow rate and initial Ni2+ concentration on the uptake of Ni2+ solution was also optimized using a synthetic water sample. A Central Composite Design (CCD) combined with Response Surface Modeling (RSM) was carried out to maximize Ni2+ removal using FBNM for adsorption process. A regression model was derived using CCD to predict the responses and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lack of fit test was used to check model adequacy. It was observed that the quadratic model, which was controlled and proposed, was originated from experimental design data. The FBNM maximum adsorption capacity was determined as 59.8 mg g-1. Finally, developed method was applied to soft drinks to determine Ni2+ levels. Reusability of FBNM was tested, and the adsorption and desorption capacities were not affected after eight cycles. The paper suggests that the FBNM is a promising recyclable nanoadsorbent for the removal of Ni2+ from various soft drinks.

Prognostic Value of Restaging F-18 Fluoro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to Predict 3-Year Post-Recurrence Survival in Patients with Recurrent Gastric Cancer after Curative Resection

  • Sung Hoon Kim;Bong-Il Song;Hae Won Kim;Kyoung Sook Won;Young-Gil Son;Seung Wan Ryu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1권7호
    • /
    • pp.829-837
    • /
    • 2020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gnostic value of the maximum standardized uptake value (SUVmax) measured while restaging with F-18 fluorodeoxyglucose (18F-FDG)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PET/CT) to predict the 3-year post-recurrence survival (PRS) in patients with recurrent gastric cancer after curative surgical resection. Materials and Methods: In total, 47 patients with recurrent gastric cancer after curative resection who underwent restaging with 18F-FDG PET/CT were included. For the semiquantitative analysis, SUVmax was measured over the visually discernable 18F-FDG-avid recurrent lesions. Cox proportional-hazards regression models were used to predict the 3-year PRS. Differences in 3-year PRS were assessed with the Kaplan-Meier analysis. Results: Thirty-nine of the 47 patients (83%) expired within 3 years after recurrence in the median follow-up period of 30.3 months.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SUVmax (p = 0.012), weight loss (p = 0.025), and neutrophil count (p = 0.006) we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for 3-year PRS. The Kaplan-Meier curves demonstrated significantly poor 3-year PRS in patients with SUVmax > 5.1 than in those with SUVmax ≤ 5.1 (3-year PRS rate, 3.5% vs. 38.9%, p < 0.001). Conclusion: High SUVmax on restaging with 18F-FDG PET/CT is a poor prognostic factor for 3-year PRS. It may strengthen the role of 18F-FDG PET/CT in further stratifying the prognosis of recurrent gastric cancer.

돈분퇴비 시용이 산국의 질소흡수 및 수량과 유호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ig Manure Application on Nitrogen Uptake, Yield and Active Components of Chrysanthemum boreale M.)

  • 이경동;앙민석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371-376
    • /
    • 2003
  • 돈분퇴비 시용시 산국 (Chrysanthemum boreale)의 수량과 유효성분들의 함량변화를 알아보고자 토양 16 kg이 충진된 와그너포트에서 돈분퇴비가 각각 0, 2000, 4000, 6000, 8000, 12000 kg $10a^{-1}$을 처리한 결과, 8000 kg $10a^{-1}$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전체 수량과 꽃의 수량은 각각 5.9배 (195.0 g $plant^{-1}$)와 24배 (21.7 g $plant^{-1}$)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질소양분 이용율은 4000 kg $10a^{-1}$처리구가 66.6%로 가장 높았다. 꽃에서의 주요 아미노산은 proline $(7.4{\sim}9.2\;g\;kg^{-1})$이였으며, 돈분퇴비의 시용량이 증가할수록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Cumambrin A함량을 측정한 결과, 돈분퇴비 시용량에 의한 질소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부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 ($R^2$=-0.723, p<0.01), 전체 수량면에서는 오히려 돈분퇴비의 시용량이 증가할수록 cumambrin A의 수량이 오히려 증가하였다. 이로서 돈분퇴비의 시용이 산국의 수량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폐수 내 인 흡착 제거를 위한 제강슬래그와 활성탄 비교 (Comparison of Steel Slag and Activated Carbon for Phosphate Removal from Aqueous Solution by Adsorption)

  • 이승한;김창규;박정근;최동광;안종화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303-30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제강슬래그와 활성탄의 수중의 인 제거 효율을 비교하였다. 제강슬래그는 0.5~2.0 g/200 mL, 활성탄은 3.0~6.0 g/200 mL를 주입하여 흡착실험을 진행하였다. 제강슬래그의 양에 따른 제거 효율은 60분의 실험 결과 47~99%, 활성탄은 240분의 실험 결과 81~98%를 보였다. 흡착등온식을 적용하였을 때 Langmuir식에 더 적합하였으며 제강슬래그와 활성탄의 흡착능력을 비교하였을 때, 이론적 최대흡착량($Q_0$)은 제강슬래그에서 91 mg/g, 활성탄에서 27 mg/g으로 나타났다. 또한 반응속도는 유사 2차식을 따르며 속도상수($k_2$)는 제강슬래그에서 0.023~0.136 g/mg.min, 활성탄에서 0.025~0.122 g/mg.min으로 나타났고, 평형에서의 흡착량($q_e$)은 제강슬래그가 10.8~18.4 mg/g, 활성탄은 3.30~5.49 mg/g로 나타났다. pH의 경우 초기 pH 2에서 제강슬래그와 활성탄 모두 가장 높은 인 제거효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폐수 내 인 제거 면에서 제강슬래그가 활성탄에 비해 우수하였다.

물달개비 경엽(莖葉)의 침수여부(沈水與否)에 따른 생장(生長), 양분흡수(養分吸收) 및 광합성(光合成) 비교(比較) (Effect of Submergence and Air Exposure of the Shoot on Growth, Nutrient Uptake and Photosynthesis in Monochoria vaginalis Presl.)

  • 소창호;양규승;권용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4-20
    • /
    • 1996
  • 물달개비는 논에서 자라는 수륙양서형(水陸兩棲型) 잡초로 수중(水中) 및 토중(士中)에서 발아하여 초기에는 생장속도가 늦지만 경엽이 대기중으로 노출되면 생장속도가 빨라져 경엽부의 침수여부에 따라 생장의 차이를 보이는 잡초이다. 본 실험은 경엽부(莖葉部)가 침수(沈水)되었을 경우와 대기중에 노출되었을 경우 생장량(生長量)과 무기양분(無機養分)의 흡수량을 비고하고 기중광합성(氣中光合成)과 수중광합성(水中光合成)을 비교하여 물달개비의 생태적 특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물달개비를 3엽기 또는 5엽기까지 수경재배(水耕栽培)로 균일하게 키운 다음 수경액으로 경엽부가 침수되도록 한 침수처리와 근부(根部)만 수경액을 공급한 처리를 하여 조사 및 측정을 하였다. 생장량은 초장(草長), 염수(葉數), 염변적(葉面積) 및 생체중(生體重)과 건물중(乾物重)을 처리 후 8일에 조사하였고, 엽록소함량과 무기양분은 2일마다 8일간 조사하였다. 광합성(光合成)은 2일 간격으로 10일 동안 측정하였는데, 기중광합성은 휴대용광합성측정기(LI-6000)로, 수중광합성(水中光合成)은 $CO_2$ 전극(電極)으로 측정하였다. 1. 침수조건하에서 물달개비의 초장(草長)은 신장(伸長)되었으나, 엽수, 엽면적 및 생체중과 건물중은 감소(減少)하였다. 초장은 3엽기에 처리한 것보다 5엽기에 처리한 것이 신장속도가 빨랐다. 2. 엽록소함량은 침수처리(沈水處理) 초기에는 증가하였으나, 3엽기의 경우 처리 2일 이후에, 5엽기의 경우 4일 이후에 급격히 감소하였다. 3. 경엽부의 침수에 따른 무기양분(無機養分)의 흡수량은 $NH^+\;_4$, $NO^-\;_3$, 및 $P_2O_5$은 3엽기 및 5엽기 침수시 모두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K^+$, $Ca^{++}$$Mg^{++}$은 3엽기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5엽기의 경우 $Ca^{++}$$Mg^{++}$은 침수처리시 흡수량이 약간 증가하였다. 4. 기중광합성(氣中光合成)은 생장이 진전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수중광합성(水中光合成)은 3엽기 및 5엽기 모두 침수처리 초기에는 증가하였으나 8일 이후에는 뚜렷이 감소하였다.

  • PDF

수도(水稻)에 대(對)한 질소시비반응(窒素施肥反應)의 품종간(品種間) 차이(差異) (Varietal Differences of Rice in Yield Response of Nitrogen Fertilizer)

  • 이춘수;신철우;곽한강;이강만;안윤수;박준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08-214
    • /
    • 1985
  • 수원지방(水原地方)의 농가포장(農家圃場)에서 1978년(年)~83년(年) (6개년(個年)) 식양토(埴壤土)인 보통답(普通畓)에서 수도품종별(水稻品種別) 질소(窒素) 시비반응(施肥反應) 및 질소(窒素) 생산효율(生産效率) 등(等)을 검토(檢討)하였는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2차회귀식(次回歸式)을 적용(適用), 최다수량(最多收量)을 생산(生産)하기 위(爲)한 질소시비(窒素施肥) 최적량(最適量)은 13.9g~28.0kg/10a 범위(範圍)로 품종(品種)에 따라 차이(差異)가 크므로 질소내비성(窒素耐肥性)을 고려(考慮)하여 품종(品種)을 선정(選定), 재배(栽培)함이 필요(必要)하였다. 2. 질소(窒素) 시비최적량(施肥最適量)이 높았던 품종(品種)에서는 수확기(收穫期) 질소함량(窒素含量)(경엽(莖葉)) 및 총질소(總窒素) 흡수량(吸收量)(경엽(莖葉)+곡실(穀實))이 증가(增加)하였으나 최적량(最適量) 시용시(施用時) 시비(施肥) 및 흡수질소(吸收窒素)의 생산효율(生産效率)과 질소이용율(窒素利用率)은 오히려 감소(減少)하였다 3. 품종별(品種別) 무질소구(無窒素區) 정조수량(正租收量)에 대(對)한 질소(窒素) 최적량(最適量) 시용시(施用時) 정조수량(正租收量)의 증수효과(增收效果)를 증수율(增收率)로서 볼 때 29~121%의 범위(範圍)로서 품종간(品種間) 질소응수(窒素應酬)의 차이(差異)가 현저(顯著)하였다. 4. 질소(窒素) 최적량(最適量) 시용시(施用時) 질소응수(窒素應酬)가 큰 품종(品種)은 수확기(收穫期) 총질소(總窒素) 흡수량(吸收量), 시비(施肥) 및 흡수질소(吸收窒素)의 생산효율(生産效率)과 질소이용률(窒素利用率)이 높았다.

  • PDF

야산(野山) 개간지(開墾地) 토양(土壌)에서 인산시비방법(燐酸施肥方法) 및 시용량(施用量)이 대두수량(大豆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y on the Soybean Yield as Influenced by Method and Rate of Phosphate Application in Reclaimed Soil)

  • 박건호;채재석;황남열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6-63
    • /
    • 1983
  • 호남야산(湖南野山), 신개간지(新開墾地) 토양(土壌)에서 대두(大豆)의 수량성(收量性)을 증대(増大)시키기 위(為)하여 인산질비료(燐酸質肥料)의 시용방법(施用方法) 및 시용량(施用量)을 검토(検討)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인산질비료(燐酸質肥料)의 시비방법(施肥方法)에서는 전층시비구(全層施肥区)에서 가장 높은 수량(收量)을 나타냈으며 국부시용구(局部施用区)에서 수량(收量)이 가장 낮았다. 2. 인산질비료(燐酸質肥料)의 시비량별(施肥量別) 효과(効果)는 표층시비구(表層施肥区)에서는 인산흡수계수(燐酸吸收係数) 15%로 조절시용(調節施用)한 구(区)에서 수량(收量)이 높았으며 국부시비(局部施肥)와 전층시비(全層施肥)에서는 인산흡수계수(燐酸吸收係数) 10%로 조절(調節)한 시용구(施用区)에서 각각(各各) 수량(收量)의 증가(増加)가 현저(顕著)하였다. 3. 인산질비료(燐酸質肥料)를 다량시용(多量施用)한 구(区)에서는 대체(大体)로 경태(茎太)가 굵고 분지수(分枝数)와 협수(莢数)가 증가(増加)되었다. 4. 인산질비료(燐酸質肥料)의 다량시용(多量施用)에 따라 토양중(土壌中) 유효인산함량(有効燐酸含量)은 시험전(試験前) 9ppm에서 시험후(試験後)에는 48~223ppm로 증가(増加)되었으며 염기류(塩基類)의 함량(含量)도 대체(大体)로 증가(増加)되었다. 5. 식물체(植物體)의 인산흡수량(燐酸吸收量)과 수량(收量)과는 r=0.948로 정(正)의 유의상관(有意相関)이 인정(認定)되었다.

  • PDF

쌀 품질 고급화 및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육종현황과 전망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s in Varietal Improvement of Rice Cultivars for High-Quality and Value-Added Products)

  • 최해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
    • /
    • pp.15-32
    • /
    • 2002
  • 1980-'90년대에 쌀의 자급생산이 지속되고 생활수준 향상에 따른 양질미 수요가 점증되면서 자포니카 다수성 품종의 미질 개선에 힘을 크게 기울이게 되었고 식미향상을 위한 육종연구 와 효율적 평가 기술개발 연구에 박차를 가하게 되어 쌀의 이화학적 특성과 식미 및 밥 물리성간 상관과 식미의 객관적 평가방법 개발, 양식미 쌀 및 가공적성 특수미 개발 등 그 동안 많은 연구성과를 올리게 되었다. 1990년대에 밥맛이 매우 좋은 고품질 자포니카 품종과 대립, 심백미, 향미, 유색미 등 가공용 특수미 품종을 개발 보급하였고 식미와 용도에 대하여 식미검정계, 신속점도측정계 및 texture 분석계 등을 이용하여 검토하였다. 최근에는 아밀로스 함량이 9%로 찹쌀과 맵쌀의 중간 성질을 가진 중간찰 품종인 '백진주벼'와 배유가 보얀 멥쌀인 '설갱 벼'를 비롯하여 라이신 함량이 높은 '영안벼' 육성하여 쌀의 가공 이용성과 기능성을 한층 높혀 놓았다. 식미와 여러 가지 미질 특성간 관련성에 관한 연구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쌀의 상온흡수율 및 최대흡수율은 K/Mg율 및 알칼리 붕괴도와 유의한 부의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며 가열흡수율이 높은 품종일수록 밥의 용적팽창률이 컸다. 수분함량이 낮은 경질인 쌀일수록 침지 20분 후의 상온흡수율과 최대흡수율이 더 높은 경향이었으며 이러한 흡수 특성은 쌀 단백질 함량이나 아밀로스 함량 및 식미와는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다 취반 적정가수량은 품종에 따라 마른 쌀 무게의 1.45-l.61배의 변이를 나타내었고 평균은 1.52배였으며 알맞게 취사된 밥의 부피는 평균 쌀 부피의 2.63배가되었다. 쌀 형태, 알칼리붕괴도, 호응집성, 아밀로스 및 단백질 함량은 거의 비슷하지만 식미에 차이가 있는 자포니카 품종들을 사용하여 식미와 관련된 쌀의 이화학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 밥의 윤기와 식미 총평은 생산 연도에 따라 호화점도 특성 중 최고점도, 최저점도 및 응집점도와 밀접한 관계를 나타내었다. 밥맛이 가장 좋은 일품 벼는 쌀의 외층에 아밀로스 함량 분포가 낮고 쌀을 열탕에 담근 20분간 우러난 용출액의 요드 정색도가 낮고 증가정도도 완만하였다. 일품 벼는 밥맛이 떨어지는 동해 벼에 비해 밥알 횡단면의 주사형 전자현미경 사진에서 밥알 외층의 호화전분의 그 물망이 매우 치밀하고 속층의 전분립의 호화정도가 양호하였다. 식미총평은 식미관련 이화학적 특성과의 관계를 이용한 중회귀식에 의해 매우 높은 결정계수로 추정이 가능하였다. 밥노화의 품종간 차이는 α-amylase-iodine 법으로 비교할 수 있었는데 노화정도가 적었던 품종은 일품벼, 추청벼, 사사니시끼, 진부벼 및 고시히까리였다. 통일형 품종인 태백벼와 자포니카 품종 중 섬진벼가 비교적 밥노화가 빨랐다 일반적으로 밥맛이 좋은 품종이 밥의 노화정도가 느렸으며 찬밥의 탄력성이 큰 경향이었다. 또한 밥노화가 느렸던 품종은 최저점도가 높았고 최종점도가 낮았다 찬밥의 탄력성은 쌀의 마그네슘함량과 밥의 용적팽창률과 밀접한 관계를 나타내었다. 식은밥의 더운밥 대비 경도 변화율은 취반용출액의 고형물량과 취반용적 팽창률과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식미관련 주요 이화학적 특성은 밥의 노화와도 직접 간접으로 상관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쌀의 여러 가지 식품 가공적성과 관련된 형태 및 이화학적 특성은 가공식품 종류에 따라 매우 다르다. 쌀 튀김성은 호응집성이 연질이거나 아밀로스 함량이 낮을수록 양호하며 지질함량이나 단백질 함량이 높으면 좋지 않은 경향이다. 심복백정도가 심할수록 튀김현미 정립률이 떨어지며 현미 강도가 높을수록 튀김률은 높은 경향이었다 쌀국수는 밀가루와 50% 혼합시에 쌀의 칼륨 및 마그네슘 함량이 높은 품종일수록 제면 총평이 낮은 경향이었고 제면이 양호한 것이 국수물의 용출고형 물량이 적은 경향이었다. 쌀빵 가공적성은 품종에 따라서 현미와 백미간에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는 것이 있는데 현미에서 반죽의 부피 증가율이 큰 쌀일수록 푹신한 감이 있는 쌀방 제조가 가능하였으며 백미에서 단백질 함량이 높은 품종일수록 쌀빵이 더욱 촉촉한 느낌이 있는 경향이었다. 아밀로스 함량이 높고 호응집성이 경질인 쌀일수록 쌀빵의 탄력성이 더 높은 경향이었다. 쌀의 발효 및 양조적성은 심복백이 심한 쌀이나 새로운 돌연변이인 뽀얀 멥쌀이 홍국균이나 홍국균의 균사활착 밀도가 높고 당화 효소 역가도 높은 경향이었으며 쌀알이 대립이면서 단백질 함량이 낮은 쪽이 양조에 유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찰벼 품종도 여러 가지 이화학적 특성과 전분구조 특성의 차이에 따라 9개의 품종군으로 나누어 볼 수 있을 만큼 품종적 변이가 크며 이들 이화학적 및 구조적 특성간에 상호 밀접한 연관성을 나타내었으며 유과·인절미·식혜ㆍ미숫가루 등에 상당한 가공적성의 차이를 보였다. WTO 체제 출범이후 생산비와 가격 면에서 경쟁력이 약한 우리 쌀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품질의 고급화와 쌀 가공식품의 다양화 및 고기능성 개발을 추구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와 같은 노력은 벼 품종개발만으로 소기의 성과를 올리기 어렵고 쌀 식품의 고급화 및 다양화를 위한 여러 분야의 긴밀한 연구협력이 수반되지 않으면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