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xillary anterior esthetics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3초

구치부 지지 소실에 의한 전치부 마모 가속화 환자의 수복: 증례보고 (Restoration of patient accelerating anterior teeth wear by loss of posterior support: Case report)

  • 최혜진;이재훈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382-388
    • /
    • 2019
  • 구치부가 상실되면 전치부 저작이 증가하게 되어 상대적으로 전방부에 교합력이 집중된다. 이로 인해 전방부 치아의 마모와 교합성 외상이 발생하고 상실된 치아로 인해 대합치의 정출과 교합부조화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증례의 67세 여환에서 양측 상악 구치부, 좌측 하악 구치부의 소실, 상하악 전치부의 과도한 마모 및 다수치아의 정출이 관찰되었다. 진단모델은 수직고경 및 악간공간을 평가하기 위해 교합기에 중심위로 마운팅하였다. 보철물 제작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전치부 핀 기준 3 mm의 수직고경 증가를 동반하여 진단왁스업을 시행하였다. 진단왁스업을 참고하여 임시수복물을 제작하였으며, 환자의 구내에서 확인하였고 이를 참고하여 최종보철 수복을 진행하였다. 수직고경의 변화에 대한 적응을 평가하기 위해 3달 이상의 경과 관찰기간을 가졌으며 저작기능의 회복여부와 턱관절 및 근육 저작에 불편감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일련의 치료 과정을 통해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매복된 상악 전치의 교정적 치료 : 증례보고 (ORTHODONTIC TREATMENT OF IMPACTED MAXILLARY INCISOR : A CASE REPORT)

  • 김해리;오소희;김영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709-717
    • /
    • 2007
  • 상악 전치의 매복은 제3대구치, 상악 견치, 상하악 제2소구치에 비해서 드물지만, 정중 과잉치, 외상, 치근만곡 등의 치근형성의 변이가 높은 빈도로 나타나기 때문에 다른 전치부에 비해서는 매복되는 비율이 높고, 보통 약 8세 이후의 초기 혼합치열기의 아동에서 관찰된다. 상악 중절치의 매복으로 인한 인접치아의 이동으로 공간상실과 함께 정중선 변이가 나타날 수 있고 낭종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고 적절한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치료 방법으로는 외과적 발거, 자발적 맹출의 관찰, 교정적 견인 등이 있으나, 매복치의 병적 변화가 없고, 치근의 발육이 양호하다면 기능과 심미성의 회복을 위해 교정적 견인을 시행한다. 이에 매복된 상악 전치들을 교정적 견인을 통해 정상적인 맹출방향으로 유도하여 양호한 치료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Esthetic outcome for maxillary anterior single implants assessed by different dental specialists

  • Al-Dosari, Abdullah;Al-Rowis, Ra'ed;Moslem, Feras;Alshehri, Fahad;Ballo, Ahmed M.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8권5호
    • /
    • pp.345-353
    • /
    • 2016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sthetic outcome of maxillary anterior single implants by comparing the esthetic perception of dental professionals and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Twenty-three patients with single implants in the esthetic zone were enrolled in this study. Dentists of four different dental specialties (Three orthodontists, three oral surgeons, three prosthodontists, and three periodontists) evaluated the pink esthetic score (PES)/white esthetic score (WES) for 23 implant-supported single restorations. The satisfactions of the patients on the esthetic outcome of the treatment have been evaluated according to the visual analog scale (VAS). RESULTS. The mean total PES/WES was $12.26{\pm}4.76$. The mean PES was $6.45{\pm}2.78$ and mean WES was $5.80{\pm}2.82$.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different specialties for WES (P<.01) and Total PES/WES (P<.01). Prosthodontists were found to have assigned poorer ratings among the other specialties, while oral surgeons gave the higher ratings than periodontists, orthodontists, and prosthodontists. CONCLUSION. Prosthodontists seemed to be stricter when assessing aesthetic outcome among other specialties. Moreover, a clear correlation existed between dentists' and patients' esthetic perception, thereby providing rationales for involving patients in the treatment plan to achieve higher levels of patient satisfaction.

상악 전치부 단일 임플란트 지지 수복금관의 주변 연조직반응의 단면적 연구 (Soft tissue reactions around implant-supported single-tooth replacements in the maxillary anterior region)

  • 장문택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8권2호
    • /
    • pp.321-337
    • /
    • 1998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firstly to investigate soft tissue reactions around single implant-supported crowns and secondly to compare soft tissue dimensions and conditions of the crowns in relation to interdental papillae, and lastly to investigate patients'esthetic satisfaction with their single implant-supported crowns according to the interdental papillae presence/absence. Twenty-nine patients (41 implants) whose single missing tooth in the maxillary anterior region had been replaced by single implant-supported crown participated for the study and various variables of soft tissue conditions, dimensions and crown dimensions were measured around the single implant-supported crowns at clinical examination and from study models and slid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oft tissue conditions around the single implantsupported crowns were similar to those around implants used for partially or totolly edentulous patients. Except for the high frequency of bleeding on probing, all other parameters revealed healthy conditions. The buccal sites of the crown had a shallow pocket comparing with other sites. At all sites of the crown, similar status of little inflammation was found. Mesial sites and central-incisor positioned implantsupported crowns had lower contact point position than distal sites and lateral-incisor positioned crowns, respectively. Mucositis index, probing depth and contact point positio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apillae index(p < 0.05). More inflammation and lower contact point position were found at the implant-supported crown with no interdental space than that with interdental space. Patients showed high esthetic satisfaction regardless of interdental space presence. The result indicated that, despite of their submucosal crown margins, single implantsupported crowns have soft tissue conditions as good as other implants used for the treatment of the different types of edentulism and a clinician can manipulate interdental papilla height by modifying crown shapes within the limits of not violating total esthetics.

  • PDF

상악 전치부 단일치 상실 환자에서 지르코니아 레진접착성 고정성 국소의치를 이용한 수복 증례 (Zirconia resin-bonded fixed partial denture in maxillary single-tooth edentulous area: A case report)

  • 오로지;장희원;김나홍;방주혁;이근우;이용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1권2호
    • /
    • pp.135-142
    • /
    • 2023
  • 일명 '메릴랜드 브릿지'로 불리는 Resin-bonded fixed partial denture (RBFPD)는 전치부 결손부위를 수복하는데 있어 침습범위를 최소화하는 보존적 보철치료로 잘 정립되어 있다. 하지만 RBFPD의 여러 이점에도 불구하고 높은 탈락률, 비심미성, 지지체 파절 등으로 인해 보편적인 치료방법으로 선택되지는 못하였다. 최근 치과 재료의 발달과 함께 지르코니아가 RBFPD의 새로운 재료로 도입되면서 강도와 심미성이 개선된 전치부 RBFPD의 적용에 적합한 재료로 평가받고 있다. 본 증례는 상악 좌측 측절치를 상실한 환자에서 지르코니아 RBFPD를 수복한 증례로, 전치부에서 비침습적이며 심미적인 보철물을 이용하여 치아상실부위를 수복하였고, 환자와 술자 모두 만족하는 결과를 얻었기에 본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양산시 거주 청소년의 MIH 유병률과 임상적 특성 (Prevalence and Clinical Features of Molar-Incisor Hypomineralization in Adolescents in Yangsan)

  • 신종현;이금랑;김종수;김지연;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10-219
    • /
    • 2017
  • 본 연구는 영구치열이 완성된 청소년을 대상으로, MIH를 포함한 영구치 법랑질 저광화의 유병률과 분포를 조사하고, 심미적 만족도와의 연관성을 파악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양산시 거주 14 - 16세 청소년 1371명을 대상으로 횡단연구가 수행되었다. MIH를 포함한 법랑질 저광화는 유럽소아치과학회 기준에 의거하여 평가하였다. 전치부 심미성에 대한 설문 조사를 병행하여 전치부 법랑질 저광화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MIH에 이환된 경우는 189명으로 13.8%의 유병률을 보였다. 모든 영구치 중 1개 이상에서 저광화 병소가 나타난 경우는 318명(23.2%)으로 일반적인 MIH 기준 적용시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영구치에 나타난 법랑질 저광화 이환 빈도는 하악 제1대구치, 상악 중절치, 하악 제2대구치 순이였다. 전치부에 대한 평가에서는 상악 중절치의 절단연이 가장 높은 이환 빈도를 보였다. 전치부에서 저광화 병소가 존재하는 경우 높은 심미치료 요구도가 관찰되었다.

편측성 완전 구순 구개열 환자의 구개열 형태 및 치궁의 분석 (A Study Model Analysis of Complete Unilateral Cleft Lip & Palate Patients)

  • 임대호;김승룡;신효근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지
    • /
    • 제2권1_2호
    • /
    • pp.5-14
    • /
    • 1999
  • The aim of treatment of cleft lip and palate is to correct the cleft and associated problems surgically and thus hide the anomaly so that patients can lead normal lives. This correction involves surgically producing a face that does not attract attention, a vocal apparatus that permits intelligible speech, and a dentition that allows optimal function and esthetics. In neonatal periods, gross distortion of tissues surrounding the cleft requires considerable effort and time due to post operative functional defect and scarring and induces milk feeding problem, malocclusion of deciduous or permanent dentition, congenital missing teeth, skeletal dysplasia. The occurrence of a cleft deformity is a source of considerable shock to the parents of an afflicted baby, and the most appropriate approach is very important things. Thus we tried to analysis of dental arch, shape and size of deformity in cleft patients.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When the cast measurements of UCLP subjects at first visit it was found that the mean length was 9.29mm at the alveolar cleft width, also that was 11.7mm at the anterior width and 14mm at the posterior cleft width. 2. Comparison of UCLP group at first visit and just lip surgery, it was found that the older group showed a insignificant reduction in the width of the cleft in the alveolar, canine, and tuberosity regions. 3. The maxillary casts of the UCLP group at 6 months differ Significantly from those of the at 3 months in both length and width.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except anterior ridge length of nonclefted site. 4. Comparison at 6 months and 18 months, there was a greater change in length of the alveolar cleft width, intercanine width, and anterior cleft width. Maxillary arch became wider at both the canine region and intertuberosity region. also posterior anteroposterior length was increased but anterior AP length was decreased from 8.1mm to 7.7mm. There was meaningful increase at intertuberosity length; however, a significant reduction in width t-t'

  • PDF

치과대학생의 상악 전치부의 심미적 요소 분석 및 인식도 평가 (Analysis of esthetic factors and evaluation of esthetic perception for maxillary anteriors of dental students)

  • 김선경;김옥수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118-126
    • /
    • 2019
  • 목적: 상악 전치부에 대한 심미적 요소들에 대하여 조사하고 남녀 간 차이 및 개인 심미적 인식도와의 연관성이 있는 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치주적으로 건강한 25 - 35세의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생 70명을 대상으로 상악 모형을 제작하였고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표준화된 사진을 촬영하고 계측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악 전치의 근 원심 최대 시각적 폭경과 치은 정점의 수직적 위치, 중절치의 최대 높이를 계측하였고 중절치의 치관 형태를 분류하였다. 참가자들의 심미 인식도 평가를 위해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program을 이용하여 시행하였다. 결과: 상악 전치 시각적 폭경 비율의 경우 우측은 1.38:1:0.78, 좌측은 1.41:1:0.81의 평균값을 가졌고 황금 비율과는 차이가 있었다. 중절치관의 폭경 대 장경 비율의 경우 우측은 0.84, 좌측은 0.83의 평균값을 가졌다. 치은 정점의 위치의 경우 중절치는 원심측, 측절치는 중심, 견치는 원심측에 주로 위치하였다. 상악 전치부 시각적 폭경 비율, 중절치 폭경 대 장경 비율, 치은 정점 위치, 치관 형태, 미소시 치은 노출 정도는 남녀 간 차이가 없었고 이런 요소들과 안모의 형태와 참가자들의 심미적 인식도와는 관련성이 없었다. 결론: 참가자들은 상악 전치 시각적 폭경의 황금비율 및 중절치 치관의 이상적 폭경 대 장경 비율과는 일치하지 않았지만 상악 전치부 심미성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심미적 인식은 참가자들의 수치화된 객관적 지표보다는 주관적 판단이 더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Bone-level implants placed in the anterior maxilla: an open-label, single-arm observational study

  • Gao, EnFeng;Hei, Wei-Hong;Park, Jong-Chul;Pang, KangMi;Kim, Sun Kyung;Kim, Bongju;Kim, Soung-Min;Lee, Jong-Ho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7권5호
    • /
    • pp.312-327
    • /
    • 2017
  • Purpose: This study assessed marginal bone remodeling and soft tissue esthetics after the loading of single bone-level implants in the anterior maxilla. Methods: An open, single-arm observational clinical trial with 3 years of follow-up was performed, including 22 implants. The patients presented with a single tooth gap in the anterior maxilla (tooth positions 14-24), with natural or restored adjacent teeth. An implant was placed at least 8 weeks post-extraction and healed submerged for 6 weeks. After the second-stage operation, a fixed provisional prosthesis was provided. The final restoration was placed 6 months after the provisional restoration. The time of the provisional crown connection was considered to be the baseline in this study. Esthetic parameters and the marginal bone level were assessed at 6, 12, 24, and 36 months. Results: All implants were well integrated in the bon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was found in the mean implant stability quotient between the time of the provisional prosthesis and the time of the final prosthesis. Most implants (95.5%) revealed marginal bone resorption (<0.5 mm), and just 1 implant (4.5%) showed a change of 2.12 mm from baseline to 36 months (mean $0.07{\pm}0.48mm$), while the crestal bone level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2.34{\pm}0.93mm$ at baseline to $1.70{\pm}1.10mm$ at 36 months. The facial gingival margin and papilla were stable and the esthetic scores indicated high patient and dentist satisfaction. Conclusions: Platform-switching bone-level implants placed in maxillary single-tooth gaps resulted in successful osseointegration with minimal marginal bone resorption. The peri-implant soft tissue was also esthetically satisfying and stable.

치근단 병소를 가진 치아의 발치 후 즉시 임플란트 식립 및 보철을 통한 심미성 회복 (Immediate implant placement into extraction sites with periapical lesions in the esthetic zone: a case report)

  • 이재영;김지환;한동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191-197
    • /
    • 2012
  • 상악 전치부는 심미적 회복이 강조되는 부위다. 발치 후 치유될 때까지 기다린다면 치조골 흡수와 치간 유두 수축을 방지할 수 없다. 일단 흡수된 조직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외과적 술식이 필요하고 치료 기간도 많이 소요된다. 발치 전 치조골과 치은 조직이 건강하다면 치주 조직을 보존 유지하기 위해 발치와 동시에 즉시 임플란트 식립을 고려할 수 있다. 특히 건전한 발치와에서의 즉시 임플란트 식립은 여러 논문에서 성공적인 결과를 보였다. 치근단 병소가 존재하는 치아의 발치 후 즉시 임플란트 식립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연구가 많았으나, 최근에는 확실한 발치와의 육아조직제거와 전신적 항생제 투여 시 성공률이 높다는 결과도 보고되고 있다. 본 증례는 73세 여환으로 상악 좌측 중절치의 포스트-코어와 금속도재관이 탈락되었으며 임플란트 치료를 받고 싶다는 주소로 내원하였다. 치근단 병소와 수직적 치근 파절이 존재하였으나 치근단 병소가 있는 치아에서도 즉시 임플란트 식립의 성공사례가 여러 차례 보고되어 발치 및 즉시 임플란트 식립을 계획하였다. 발치 후 발치와 육아조직제거와 클로르헥시딘 용액 소독 및 tetracycline 용액으로 soaking을 시행한 후 임플란트를 식립하였으며 식립 전 후로 전신적 항생제를 투여하였다. 임플란트를 식립하면서 인상채득하여 2일 뒤 임시 보철물을 장착하였다. 약 6개월 뒤 치경부 형태를 재연하여 최종 인상 채득하였으며 최종 보철물을 장착하였다. 보철물 장착 후 2년까지 치은선이 인접치아와 조화를 이루고 변연골 흡수없이 심미적으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