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rix metalloproteinase-3

검색결과 390건 처리시간 0.03초

잘피(Zostera marina L.)의 신규 항노화 화장품 소재 응용 (New Cosmetic Agents for Anti-aging from Zostera marina L.)

  • Jin-Hui, Kim;Kyung-Eun, Lee;Jin-Hwa, Kim;Young-Ho, Cho;Sung-Min, Park;Jeong-Jae, Lee;Bum-Chun, Lee;Hyeong-Bae, Pyo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35-240
    • /
    • 2004
  • 해양 천연물 유래의 신규 광노화 방지소재의 개발을 위해 항산화 활성과 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 발현 억제활성을 갖는 잘피(Zostera marina L.)를 선별하였다.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3개의 화합물(compound 1과 2, 3)을 분리하였으며 각각 apigenin-7-O-$\beta$-D-glucoside (1)과 chrysoeriol (2), luteolin (3)으로 동정하였다. 이 화합물들은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에 대하여 각각 0,18mM과 0.68mM, 0.01mM의 $SC_{50}$/ 값을 나타내었으며, xanthine과 xanthine oxidase의 반응으로 생성되는 superoxide radical에 대하여 각각 0.04mM과 0.03mM, 0.01mM의 $SC_{50}$/ 값을 나타내었다. 특히 compound 3은 MMP-1에 대해 35.0$\mu$M의 농도에서 44% 이상의 발현 억제황성을 나타내었으며 MMP-1 발현을 유도하는 신호전달물질로 알려 있는 interleukin 6의 생성도 억제하였다. 또한 잘피 추출물을 함유한 제품이 주름 개선효과를 측정하였다. 추출물을 3.0% 함유한 크림을 8주간 적용하여 미세주름과 피부거칠음의 현저한 개선효과를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잘피 추출물에서 분리된 화합물들은 우수한 항산화 활성과 MMP-1 발현 억제활성을 가지며, 이 추출물을 함유한 제품은 피부주름의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잘피 추출물은 화장품의 새로운 항노화 소재로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광나무 추출물의 항 노화 효과 (Anti-Aging Effect of Ligustrum japonicum Extract in the Human Fibroblast Cells)

  • 김윤정;이유리;천종우;이현상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95-30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천연 추출물을 이용하여 화장품 원료를 개발하고자 다양한 천연물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그중 광나무 추출물을 선별하여 주름 개선 원료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주름 개선 효과로 잘 알려진 oleanolic acid 31.06 %와 ursolic acid 8.92 %를 확인하였다. 제조된 광나무 추출물은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procollagen type I과 hyaluronan synthase-3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matrix metalloproteinase (MMP)-1, MMP-2, cyclooxygenase-2의 발현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elastase의 활성을 억제하여 주름 개선 기능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광나무 추출물은 주름개선 화장품 소재로 개발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

유색미 겨 추출물의 염증반응 억제활성 (Inhibitory Activity of the Extracts from the Pigmented Rice Brans on Inflammatory Reactions)

  • 최선필;강미영;남석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2호
    • /
    • pp.222-227
    • /
    • 2004
  • 유색미 겨 추출물이 염증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백혈구가 분비하는 염증관련 산물인 nitric oxide, histamine 및 matrix metalloproteinase(MMP) 생성에 대한 억제활성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대식세포 세포주인 RAW264.7 세포에서 nitric oxide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한 결과, 일반미와 유색미 추출물 간에 큰 활성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호중구 세포주인 RBL-2H3 세포를 이용하여 histamine 분비에 대한 억제활성을 조사한 결과, 유색미 추출물이 일반미에 비해서 약 3.6-5.4배 정도의 우수한 저해능을 보였다. 특히 조사한 유색미 5품종 중 LK1-3-6-12-1-1가 저해활성이 가장 높았다. RAW264.7 세포주를 이용하여 유색미 추출물이 matrix metalloproteinase(MMP)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일반미는 농도의 증가에 따라 오히려 효소활성이 증가한 반면, 유색미 경우는 LK1A-2-12-1-1을 제외하고 농도의 증가에 따라 효소활성이 감소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특히 LK1-3-6-12-1-1와 Elwee의 저해활성이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는 유색미가 염증반응의 원인인 백혈구의 histamine과 MMP의 분비를 저해하는 능력이 일반미보다 우수함을 나타내었다.

Cytochalasin D-induced Matrix Metalloproteinase-2 Regulates Articular Chondrocytes Dedifferentiation

  • Choi, In-Kyu;Yu, Seon-Mi;Kim, Song-Ja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79-186
    • /
    • 2008
  •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also designated matrixins, hydrolyze components of the extracellular matrix. These proteinases playa central role in many biological processes, such as embryogenesis, normal tissue remodeling, wound healing, and angiogenesis, and in diseases such as atheroma, arthritis, cancer, and tissue ulceration. In previous data, disruption of the actin cytoskeleton by cytochalasin D (CD) inhibited NO-induced apoptosis, dedifferentiation, cyclooxygenase (COX)-2 expression, and prostaglandin $E_2$ production in chondrocytes cultured on plastic or during cartilage explants cultur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actin cytoskeleton architecture on MMP-2 expression and dedifferentiation by CD in rabbit articular chondrocytes. Rabbit articular chondrocytes were prepared from cartilage slices of 2-weeks-old New Zealand white rabbits by enzymatic digestion. CD was used as a disruptor of actin cytoskeleton. In this experiments measuring CD dose response, primary chondrocytes were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CD for 24h. The actin disruption was determined by immunostaining. MMP-2 expression levels were determined by immunoblot analysis and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d MMP-2 activity was determined by gelatin zymography. We found that cell morphological change and up-regulation of MMP-2 expression by CD as determined via immunostaining, gelatin zymography and immunoblotting. Moreover, CD induced MMP-2 transcription was detected by RT-PCR. Also, CD-induced type II collagen expression was inhibited by MMP-2 inhibitor I treatment. Our results indicate that CD up-regulated MMP-2 activation causes dedifferentiation of articular chondrocyte.

  • PDF

1년간 금연이 미치는 치은열구액 내 치주염 바이오마커 변화: 사례연구 (Influence of Smoking Cessation on Periodontal Biomarkers in Gingival Crevicular Fluid for 1 Year: A Case Study)

  • 황수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525-536
    • /
    • 2014
  • 2009년 9월부터 2010년 2월까지 대전 서구보건소, 서구 관저보건지소, 건양대학교 금연클리닉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연구에 동의한 금연대상자들을 기초시점, 2주차, 2개월, 4개월, 6개월, 12개월 시점에 추구조사하고, MMP-8, MMP-9, IL-$1{\beta}$의 농도를 ELISA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중 1년간 금연에 성공한 11명의 치은열구액내 변화사례를 관찰한 결과, 1. 각 대상자의 치은열구액내 MMP-8, MMP-9, IL-$1{\beta}$ 변화는 대상자에 따라 각기 다른 파동성을 보였다. 2. 금연기간 동안 치은열구액 내 MMP-8의 변화 경향은 5명의 대상자가 감소하였고 2명의 대상자가 증가하였으며, 4명의 대상자가 유지되었다. MMP-9의 변화 경향은 6명의 대상자가 감소, 2명의 대상자가 증가, 3명의 대상자가 유지되었다. IL-$1{\beta}$의 변화 경향은 5명의 대상자가 감소하였고 3명의 대상자가 증가하였고, 3명의 대상자가 유지되었다. MMP-8과 9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이는 2명의 대상자는 다른 대상자에 비해 기초시점부터 각 바이오마커의 농도가 상당히 낮은 대상자였으며 증가폭은 다른 대상자에 비해 그 양이 적었다. 본 사례연구를 통해 금연은 치주에 관한 다른 처치 없이도 치은열구액 내 MMP-8, MMP-9, IL-$1{\beta}$ 농도를 감소시키거나 유지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었으나, 연구대상자수의 충분한 확보와 금연 성공률의 향상을 통해 통계분석이 가능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Photoimmunological and Photobiological Action of Infrared Radiation

  • Danno, Kiichiro
    • Journal of Photoscience
    • /
    • 제9권2호
    • /
    • pp.194-196
    • /
    • 2002
  • While ultraviolet radiation alters various cutaneous cell functions, little is known about photo-immunological and photobiological effects of infrared radiation (IR) on the skin except its local thermal effects. The fIrst part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single exposure of mouse skin to near IR (0.7 - 1.3 $\mu$m) reversibly suppressed the proliferating activity of the epidermis, the density of Langerhans cells, and the ability of skin to induce contact hypersensitivity reaction. The second part demonstrated that the rate of wound closure was significantly accelerated by repeated exposures in animal models. The production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l and matrix metalloproteinase-2, which are responsible for the wound healing processes, was significantly upregulated by irradiation, as shown by enzyme immunoassay, zymography, and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Thermal controls were negative. The results suggest that near-IR irradiation can modulate the epidermal proliferation and part of the skin immune system, and stimulate the wound healing processes, presumably by non-thermal effects.

  • PDF

발효 돈태반과 그 주요 다이펩타이드 섭취가 UVB 조사에 의한 무모 생쥐의 피부 주름생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Orally Administered Fermented Porcine Placenta and Its Major Dipeptides on UVB-induced Wrinkle Formation in the Hairless Mice)

  • 이지은;박종일;김종배;정혜인;황재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229-24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발효 돈태반 (fermented porcine placenta, FPP)과 그의 주요 다이펩타이드인 L-Leucyl-Glycine (Leu-Gly), Glycyl-L-Leucine (Gly-Leu)의 섭취가 UVB 조사에 의한 무모 쥐의 피부 주름 생성에 미치는 효능을 알아보았다. Human Primary Dermal fibroblasts-Neonatal (HDF-N) 세포에서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농도를 설정하여 평가하였을 때, FPP, Leu-Gly, Gly-Leu 처리 시 procollagen의 증가 및 MMP-1 (matrix metalloproteinase-1)의 감소를 확인하였다. 또한 무모 생쥐에 주 3회 UVB를 조사하여 광노화를 유도하였고, FPP 10, 100 mg/kg, Leu-Gly 10 mg/kg, Gly-Leu 10 mg/kg을 매일 총 8주간 경구투여 한 후, 주름생성, 홍반및 MMPs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8주간 진행된 동물 실험 결과 UVB만 조사한 군과 비교하여 UVB를 조사하고 FPP, Leu-Gly, Gly-Leu을 섭취시킨 군에서 주름생성과 홍반이 감소하였고 피부 수분함량과 콜라겐 생합성이 증가하였다. 뿐만 아니라 FPP, Leu-Gly, Gly-Leu 섭취군에서 콜라겐 분해효소인 MMP-3, MMP-13의 mRNA 발현량이 감소하였고, MMP-2와 MMP-9의 활성이 감소하였다.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FPP의 주요 다이펩타이드인 Leu-Gly과 Gly-Leu은 자외선에 의한 주름 생성을 억제하고, 피부 손상을 회복시키는 효능을 갖는 피부미용식품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이 클 것으로 사료된다.

단순만성치주염환자와 2형 당뇨환자의 만성치주염에서 Matrix metalloproteinase-1의 발현양상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1 between Simple Chronic Periodontitis and Type 2 Diabetes associated Chronic Periodontitis on Protein level)

  • 이재목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5권3호
    • /
    • pp.649-659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전신적으로 건강한 치주질환자를 대조군으로 하여 제 2형 당뇨병을 동반한 치주질환자의 치은조직에서 MMP-1의 발현양상을 관찰, 비교하는 것으로 당뇨병을 동반한 경우 MMP-1의 발현양상이 변화되는지의 여부를 연구하였다. 경북대학교 병원 치주과에 내원한 환자 중 검사 및 수술에 동의한 환자로 전선 질환이 없고 부착 소설이 없거나 안정되어 있으며 치은 염증 소견이 없는 환자를 정상조직군, 임상적 치주낭 깊이가 5 mm 이상이고 방사선 사진상 치조골 소실이 분명한 환자를 만성 치주염 환자군, 심각한 전신적 합병증, 감염등의 위험요인이 없고 2형 당뇨병으로 진단받은 환자로서 만성 치주염으로 진단된 환지군 각 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만성 치주염 환자와 당뇨병을 가진 만성 치주염 환자에서 치은 염증 소견을 보이는 치은조직을 채득하고 액화질소에 넣어 급속 동결고정시킨 후 MMP-1의 발현 양상을 western blot analysis를 통해 관찰하였고, densitometer를 이용하여 상대적 발현을 정량, 각 조직의 ${\beta}-actin$을 이용하여 표준화하여 각 군의 평균치를 비교하였다. 각 군 간의 차이를 one way ANOVA test로 분석하였다. 모든 군에서 분자량 53 kDa의 MMP-1에 상응하는 띠가 나타났으며 정량결과 전신적으로 건강한 치주염 환자군에서 MMP-1의 발현이 당뇨병을 동반한 치주염 환자군과 정상조직군의 치은조직에서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치은염증의 존재시 MMP-1의 발현이 다소 증가됨을 관찰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였으며, 당뇨병을 동반한 치주염 환자군에서 전신적으보 건강한 치주염 환자군에서 보다 MMP-1의 발현이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석류추출물의 항산화와 MMPs 단백질 발현 억제 및 액정 유화물에서의 안정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tioxidant and MMPs Protein Expression Inhibitive Effect of Punica granatum L. Extract and Its Stabilization with Liquid Crystal Emulsion)

  • 노진선;염현지;오민정;이진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64-17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석류추출물의 기능성 활성 검증 및 화장품 개발을 위한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1,000 ㎍/ml의 농도에서 60.6%의 효과를 나타내었고, ABTS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1,000 ug/ml의 농도에서 93.9%의 소거능을 보였다. 또한 elastase 억제 활성과 collagenase 억제 활성은 1,000 ㎍/ml의 농도에서 각각 30%와 47.2%의 억제 활성을 보였다. 석류추출물이 섬유아세포(CCD-986sk)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MTT법으로 세포 생존성을 측정한 결과, 500 ㎍/ml 이하의 농도에서 130% 이상의 생존율이 확인됐다. 석류추출물을 처리한 섬유아세포에서 MMP-1, MMP-2, MMP-3의 단백질 발현은 100 ㎍/ml의 농도에서 각각 23.2%, 81.9%, 69.2%의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석류추출물이 0.1% (w/v)의 농도로 함유된 O/W 액정크림을 제조하여 4, 25, 45, 50℃에서 pH, 시간에 따른 변화, 온도별 안정성 등의 안정성을 조사한 결과, 모두 1개월간 안정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석류추출물의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치수세포에서 PPARγ의 항 염증작용에 관한 연구 (ANTI-INFLAMMATORY EFFECTS OF PPARγ ON HUMAN DENTAL PULP CELLS)

  • 김정희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1권3호
    • /
    • pp.203-214
    • /
    • 2006
  • 치수는 상아질로 둘러싸인 간엽조직으로 다양한 세포와 기저 물질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혈관과 신경조직이 분포되어 있다. 치수의 염증은 조직의 분해를 야기하며 이는 Matrix Metalloproteinase에 의해 세포 외 기질의 분해가 촉진되어 병적인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에 Lipopolysaccharide에 의한 MMP와 inflammatory cytokine의 유도와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s (PPAR)에 의한 염증매개 물질의 조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사람의 치수세포를 다양한 LPS농도에 노출시킨 후 24시간째 MMP-2, MMP-9의 변화를 보고 LPS에 의해 자극된 치수세포에서 ICAM-1, VCAM-1, $IL-1{\beta},\;TNF-{\alpha}$의 분비가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Adenovirus $PPAR{\gamma}\;(Ad/PPAR{\gamma})$$PPAR{\gamma}$ agonist인 rosiglitazone를 LPS로 자극된 치수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48시간째 MMPs와 Adhesion molecules, cytokines의 감소를 확인하였다. 이로써 사람의 치수세포에서 $PPAR{\gamma}$가 가지는 항 염증효과에 대해 지속적 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