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rix metalloprotease 20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4초

The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ase 20 is Stimulated by Wild Type but not by 4 bp- or 2 bp-Deletion Mutant DLX3

  • Park, Hyun-Jung;Ryoo, Hyun-Mo;Woo, Kyung-Mi;Kim, Gwan-Shik;Baek, Jeong-Hwa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34권1호
    • /
    • pp.21-28
    • /
    • 2009
  • Mutations in DLX3 are associated with both autosomal dominant hypoplastic hypomaturation amelogenesis imperfecta (ADHHAI) and tricho-dento-osseous (TDO) syndrome. ADHHAI is caused by a c.561_562delCT (2bp-del DLX3) mutation whereas TDO syndrome is associated with a c.571_574delGGGG (4bp-del DLX3) mutation. However, although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DLX3 and an enamel phenotype have been established, the pathophysiological role of DLX3 mutations in enamel development has not yet been clarified. In our current study, we prepared expression vectors for wild type and deletion mutant DLX3 products (4bp-del DLX3, 2bp-del DLX3) and examined the effects of their overexpression on the expression of the enamel matrix proteins and proteases. Wild type DLX3 enhanced the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ase 20 (MMP20) mRNA and protein in murine ameloblast-like cells. However, neither a 4bp-del nor 2bp-del DLX3 increased MMP20 expression. Wild type DLX3, but not the above DLX3 mutants, also increased the activity of reporters containing 1.5 kb or 0.5 kb of the MMP20 promoter. An examination of protein stability showed that the half-life of wild type DLX3 protein was less than 12 h whilst that of both deletion mutants was longer than 24 h. Endogenous Dlx3 was also found to be continuously expressed during ameloblast differentiation. Since inactivating mutations in the gene encoding MMP20 are associated with amelogenesis imperfecta, the inability of 4bp-del or 2bp-del DLX3 to induce MMP20 expression suggests a possible involvement of such mutations in the enamel phenotype associated with TDO syndrome or ADHHAI.

AGS 인체 위암세포에서 톳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침윤성 저해 (Inhibition of Cell Invasion by Ethyl Alcohol Extracts of Hizikia fusiforme in AGS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Cells)

  • 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2호
    • /
    • pp.1784-179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AGS 인체 위암세포에서 톳 에탄올 추출물(EHF)의 항침윤성과 tight junctions (TJs)의 tightening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EHF에 의한 AGS 위암세포의 증식억제와 연관된 세포이동성 및 침윤성의 감소는 transepithelial electrical resistance의 증가와 연계된 Js의 tightness 증가와 연관성이 있었다. EHF는 matrix metalloprotease (MMP)-2 및 -9의 활성을 억제하였으며, 이는 MMPs의 mRNA 및 단백질 발현 감소에 의한 것이었으나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 (TIMP)-1 및 -2의 mRNA 발현은 증가시켰다. 또한 EHF는 TJs의 주요 조절인자인 claudin family 단백질들(claudin-1, -3 및 -4)의 발현을 감소시켰으며, insulin like growth factor-1 receptor 단백질은 감소된 반면 thrombospondin-1 및 E-cadherin의 발현은 증가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톳 추출물이 암의 전이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효능이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만형자 추출물의 항산화 및 주름개선 효과 (Antioxidant and Anti-wrinkling Effects of Extracts from Vitex trifolia L.)

  • 이미경;김동희;박태순;손준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8권2호
    • /
    • pp.125-12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만형자 분획물의 항산화 및 주름개선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만형자 ethyl acetate 분획물은 DPPH, ABTS에서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주름개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elast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1,000{\mu}g/mL$에서 74%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만형자 ethyl acetate 분획물의 세포생존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섬유아세포로 MTT assay에 의해 확인 한 결과 5, 10, 15, 20, $25{\mu}g/mL$의 농도구간에서 100%에 가까운 세포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만형자 ethyl acetate 분획물의 MMP-1 저해활성을 측정 한 결과 $25{\mu}g/mL$에서 14%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만형자 ethyl acetate 분획물의 MMP-1의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25{\mu}g/mL$의 농도에서 50%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만형자 ethyl acetate 분획물의 주름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 천연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 Minimally Invasive Rabbit Model of Progressive and Reproducible Disc Degeneration Confirmed by Radiology, Gene Expression, and Histology

  • Kwon, Young-Joo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3권6호
    • /
    • pp.323-330
    • /
    • 2013
  • Objective : To develop a simple, reproducible model of disc degeneration in rabbits through percutaneous annular puncture and to confirm the degree of degeneration over time. Methods : Fifteen New Zealand white rabbits (4 to 5 months old and weighing approximately 3 to 3.5 kg each) underwent annular puncture of the L2-L3, L3-L4, and L4-L5 discs. Rabbits were sacrificed at 4, 8, or 20 weeks after puncture. For a longitudinal study to assess changes in disc height over time, serial X-rays were performed at 0, 2, 4, 8, and 20 weeks for rabbits in the 20-week group. Upon sacrifice, the whole spinal column and discs were extracted and analyzed with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real time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histological staining. Results : The X-rays showed a slow, progressive decrease in disc height over time. Significant disc space narrowing compared to preoperative disc height was observed during the time period (p<0.001). The MRI grade, aggrecan, and matrix metalloprotease-13 mRNA expression and hematoxylin and eosin/safranin O/anti-collagen II staining were consistently indicative of degeneration, supporting the results of the X-ray data. Conclusion : Percutaneous annular puncture resulted in slow, reproducible disc degeneration that was confirmed by radiology, biochemistry, and histology. This in vivo model can be used to study and evaluate the safety and efficacy of biologic treatments for degenerative disc disease.

우절 에탄올추출물의 미백활성능과 주름저해 효능평가 (Evaluation of Whitening Activity and Wrinkle Inhibitory Effect of Ethanol Extracts of Nelumbinis Rhizomatis Nodus)

  • 장영아;염보슬;김세기;이진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1호
    • /
    • pp.1192-1199
    • /
    • 2019
  • 본 연구는 화장품 소재로서 우절 에탄올추출물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는 연근의 마디부분을 70%에탄올로 추출하여 사용하였으며 미백효능 및 주름개선 효과에 대한 생물학적 활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시료의 미백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멜라닌세포(B16F10 cells)의 MTT assay를 이용한 샘플의 독성평가와 멜라닌 생성에 영향을 주는 관련 단백질의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시료의 주름활성억제 평가를 위해 collagenase inhibition assay를 수행하였다. 또한 UVB로 유도된 섬유아세포(CCD-986sk cells)의 MTT assay를 이용한 샘플의 독성평가와 matrix metalloprotease (MMP-1) inhibition 및 procollagen synthesis를 평가하였다. 미백활성 평가를 알아보기 위한 western bolt 결과, 멜라닌 생성과 관련된 두 단백질 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1, Tyrosinase related protein-2 TRP-2)의 합성이 농도의존적으로 감소됨을 나타내었다. 게다가 우절 에탄올추출물의 collagenase inhibiion 실험의 결과, $500{\mu}g/ml$의 농도에서 대조군인 EGCG와 효능이 비슷한 80%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Procollagen synthesis 결과 UVB 자극군에 의해 콜라겐 합성은 68.8%로 감소되었으며 시료의 $25{\mu}g/ml$의 농도에서 80.2%의 콜라겐 합성에 회복능을 보였다. MMP-1 inhibition 실험결과는 $25{\mu}g/ml$ 농도에서 20.2%의 저해능을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는 NRN의 미백 및 주름 억제 효과를 검증하고, 향후 안전한 천연 화장품 재료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발아 흑미 유래 펩타이드의 개발과 화장품 응용에 대한 연구 (Development of Peptides from the Germinated Black Rice and Applications as Cosmetics Ingredients)

  • Dong-hwan, Lee;Jin-hwa , Kim;Jun-tae, Bae;Sung-min, Park;Hyeong-bae, Pyo;Tae-boo, Choe;Bum-chun, Lee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41-246
    • /
    • 2004
  • 발아 과정을 통한 식물 종자의 변화를 확인하고, 발아된 식물종자로부터 새로운 펩타이드를 개발하여 항노화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발아과정을 통한 식물 종자의 변화는 단백질 양 측정, 겔 투과 크로마토그램(GPC)과 SDS-PAGE를 통한 단백질 분자량 분포 변화, 아미노산 조성분석을 통해 발아 전과 비교하였다. 발아된 검은 쌀로부터 펩타이드를 생산하기 위해 단백질 분해효소를 처리하였으며, 생산된 발아 검은 쌀 펩타이드의 효과를 발아 검은 쌀 단백질과 비교하여 확인하였다. In vitro matrix-metalloprotease (MMP) 활성 저해효과는 형광 정량법을 이용하였으며, 인간 섬유아세포 활성화 효과를 확인하였고, 콜라겐 생합성 촉진효과와 자외선 조사에 의한 MMP 발현 저해효과는 효소면역분석법(ELISA)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발아에 의해 검은 쌀의 단백질량, 단백질 분자량 분포 및 아미노산의 조성이 변화함을 확인하였으며, 검은 쌀의 발아와 단백질 분해효소중 파파인 처리를 병행함으로서, 상대적으로 낮은 분자량을 갖는 신규 펩타이드의 제조가 가능하였다. GPC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아 검은 쌀 펩타이드의 분자량 분포를 확인한 결과, 대부분이 900dalton 이하의 분자량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이러한 발아 검은 쌀 펩다이드는 약 40% 정도의 인간 섬유아세포 활성화 효과를 가지며, 또한 농도 의존적으로 콜라겐 분해효소 활성 저해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자외선 조사에 의해 유도되는 콜라겐 분해효소 발현을 약 50% 억제하며, 콜라겐 생합성을 약 20% 촉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Suppressive Effect of Pueraria lobata Root Extract and Its Biotransformed Preparation against Skin Wrinkle Formation

  • Koo, Hyun Jung;Lee, SungRyul;Kang, Se Chan;Kwon, Jung Eun;Lee, Da Eun;Choung, Eui-Su;Lee, Jong-Sub;Lee, Jin Woo;Park, Yuna;Sim, Dong Soo;Sohn, Eun-Hwa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72-279
    • /
    • 2017
  • EP was obtained through 20% ethanol extraction of Pueraria lobata root, and the fermented form of EP, FEP, was prepared from the EP after incubating with Lactobacillus rhamnosus vitaP1. There was no significant toxicity by EP and FEP up to $1000{\mu}g/ml$ in NIH-3T3, HaCaT, and B16F10 cells. In addition to antioxidant potentials of EP and FEP determined by DPPH and ABST assays, we confirmed increase of procollagen type I and elastin synthesis by supplementation of the EP and FEP at the concentration of $50{\mu}g/ml$ using ELISA kits. The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matrix metalloprotease (MMP)-1, -3, and -9, those are involved in the degradation of collagen or other skin matrix proteins, were remarkably suppressed while their inhibitory protein metallopeptidase inhibitor 1 (TIMP-1) was greatly up-regulated by supplementation of the EP and FEP at a concentration of $50{\mu}g/ml$. Taken together, both EP and FEP supplementation could be involved in the suppression of the skin wrinkle formation through inhibiting degradation of collagen and stimulating the synthesis of collagen and elasti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nti-wrinkle potential of the EP and FEP will be a promising candidate for developing cosmeceutical compounds or products.

Toll-like Receptor 2 유전자의 Microsatellite 유전자 다형성과 만성폐쇄성폐질환 발생과의 연관성 결여 (Lack of the Association between Microsatellite Polymorphism in Toll-like Receptor 2 Gene and Development of COPD)

  • 이희석;이혜원;김덕겸;고동석;박근민;황용일;이상민;유철규;김영환;한성구;심영수;임재준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8권4호
    • /
    • pp.367-374
    • /
    • 2005
  • 연구배경 : 장기간 흡연을 하는 사람의 10-20%에서만 COPD가 발생한다는 사실은 COPD의 발생에 유전적 인자가 관여함을 시사한다. 최근 surfactant protein A가, COPD의 병인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MMP-9의 분비를 TLR2를 통해 증가시킨다고. 그러므로 COPD의 병인에 TLR2이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 아래, TLR2 유전자의 intron II에 존재하는 Guanine-Thymine (GT)의 반복으로 이루어진 유전자다형성과 한국인에서의 COPD의 발생과의 연관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 법 : 흡연력이 있는 남자 COPD 환자와 정상 폐기능을 보이는 남자 흡연자를 대상으로 하여, TLR2 유전자의 intron II의 GT 반복횟수를 확인하였다. 그 GT 반복이 3상성의 분포를 보여 이들을 다시 세 개의 맞섬 유전자 아형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12-16회 GT 반복: 짧은 아형; 17-22회 반복: 중간 아형; 23-27회 반복: 긴 아형) 결 과 : 각각의 맞섬유전자 아형의 분포는 125명의 COPD군과 144명의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75). 또한 각각의 맞섬유전자 아형의 유무에 따른 유전형의 빈도도 두 군간의 차이는 관찰할 수 없었다. 결 론 : TLR2 유전자의 intron II에 존재하는 GT 반복으로 이루어진 유전자다형성은 한국인에서 COPD의 발생과 연관되어 있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