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s Lesson

검색결과 270건 처리시간 0.028초

CAI 프로그램의 활용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중3 통계단원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CAI Program on the Learning Achievement in Mathematics -Focusing on the lesson statistics in the 3rd grade of middle school-)

  • 이재국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3권2호
    • /
    • pp.123-131
    • /
    • 2000
  • In order to educate future leaders of the new age, we should help students to increase their basic knowledge,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t is necessary that we should use multi-media, computer as well as old teaching-learning material to improve students' basic knowledge and to motivate their interest in mathematics in the small-sized Middle School situated on the agricultural and fishery village. In solving this problem, it is ultimately necessary that we should utilize CAI program on the learning achievement in mathematics for the students to understand basic concept, principle, law and to promote teaching-learning process considered on individual different abilities. Therefore, this study is on the effect of students' interest and learning achievement in mathematics when we develop CAI program focusing on the lesson statistics in the 3rd Grade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 and explain the concept and principle of statistics through using exact and various techniques of computers

  • PDF

한국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 교육과정 지식에 대한 사례 연구 (The Story of a South Korean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of Mathematics Curriculum)

  • 김리나;신항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7권3호
    • /
    • pp.173-188
    • /
    • 2014
  • 본 사례 연구의 목적은 한국초등교사의 수학교육과정 지식을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업지도안, 수업 관찰, 인터뷰 등의 다양한 데이터 자료의 분석을 통해 한국 초등교사의 수학교육과정 지식이 어떻게 그들의 수학 교수 활동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심도 깊은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데이터 분석 결과 한국 초등교사의 수학교육과정 지식은 수업을 설계하고, 진행하고, 학습자의 과업을 평가하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수학교육과정 지식이 수직적 수학교육과정 지식, 수평적 교육과정 지식의 두 개의 하위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음을 밝혀냈다. 이 국제 사례연구의 결과는 초등 수학 수업과 연관된 교사의 교육과정 지식을 이해하는데 더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며, 한국과 미국 양국의 연구자들, 정책입안자들에게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초등 수학 수업의 이해를 위한 관찰과 분석 (Observation and analysis of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 discourse)

  • 이경화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4권3호
    • /
    • pp.435-461
    • /
    • 2002
  • In this paper I attempt to survey on the theories of observation and analysis of mathematics classroom discourse. In order to discuss applicability of the theories I look at preservice teachers' observation of mathe-matics classroom and teachers' conception of mathematics lesson. In examining reports from preservice teachers' I identify how they understand mathematics lesson and how the theories can enhance their understanding. Not surprisingly, there are lots of obstacles for teachers to practice mathe-matics educational theories. 1 find some features of their efforts or attempts to overcome the obstacles in an attempt to gain insights into alternative ways of concep-tualizing the methods of observation and analysis through the interview and the discussion with teachers.

  • PDF

우수수업 사례를 통해서 본 초등 수학 교실에서의 의사소통 (The Communication of Elementary Math Classes Through Observing the Excellent Lesson Videos)

  • 최은아;이광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2권4호
    • /
    • pp.507-530
    • /
    • 2010
  • 본 연구는 지역별 우수수업 동영상에서 나타나는 수학적 의사소통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양질의 수업을 찾아 교사의 수업 관행에 도움을 주고자한 것이다. 교사와 교실 전체 간에 이루어지는 담화를 중심으로 수업을 분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지역별 우수수업 동영상의 수학적 의사소통 수업유형은 무엇인가? 둘째, 지역별 우수수업은 의사소통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셋째, 담화중심 수업의 수학적 의사소통 수준은 어떠한가? 공개된 24개의 수업을 수업 유형에 따라 분류한 결과 초등학교 수학 수업의 특성상 조작 중심수업 유형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다른 유형의 수업도 좀 더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교수 학습 지도안에서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을 고려한 수업은 5개이며 이 중 1개 수업만이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을 인지적 영역에 포함시키고 있어,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에 대해 교사가 정확히 알 필요가 있었다. 또한, 학생 간 질문하기를 수업에 반영할 필요가 있었다.

  • PDF

수학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수업 반성에 대한 준거 제안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Criteria for Teaching Reflection for the Professional Enhancement of Mathematics Teachers)

  • 이금선;강옥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0권2호
    • /
    • pp.199-222
    • /
    • 2008
  • 본 연구는 수학교사의 전문성 관점에서 최근 활발히 대두되고 있는 수업 반성의 의미와 방법 등을 살펴보고, 수학과 수업 반성의 효율적 실현을 위한 분석의 준거를 고찰하고 제안해 보고자 시도되었다. 선행연구 분석 결과, 기존의 자기 평가적 체크 리스트의 결과와는 차별화 된 세부 항목들을 통합한 총체적이고 체계적인 반성적 분석 준거 개발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선행연구의 고찰 결과를 토대로 수학과 수업 반성을 위한 분석 절차를 수업 전 중 후로 분류하고 이에 따르는 세부 영역에 적합한 반성적 질문들을 도출하여 수학과 수업 반성을 위한 준거를 제안하였다.

  • PDF

The Role of Science Knowledge Application in Improving Engineering Problem Solving Skills

  • Nam, Younkyeong;Chae, Jimin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36-445
    • /
    • 2019
  • This study presents how two types of integrated science and engineering lessons affect students' engineering problem solving skills and their perceptions of engineering. In total, 146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Eighty-six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Type I lesson (complete engineering design lesson with a science knowledge application) and 60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Type II lesson (engineering design without a science knowledge application). Two main datasets, (1) students' Creative Engineering Problem Solving Propensity (CEPSP) measurement scores and (2) open-ended survey questions about students' perceptions of engineering,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the less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after participating in the Type I lesson, students' CEPSP scores significantly increased, whereas the CEPSP scores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Type II lesson did not increase significantly. In addition,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Type I lesson perceived engineering and the engineering integrated science lesson differently compared to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Type II less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engineering integrated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 mathematics (STEM) lessons should include a complete engineering design and a science knowledge application to improve students' engineering problem solving skills.

'정의'의 재발명을 상상하다 : Lesson Play의 분석 (Imagining the Reinvention of Definitions : an Analysis of Lesson Plays)

  • 이지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4호
    • /
    • pp.667-682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도형 정의의 재발명에 대해 세 교사가 쓴 lesson play를 통하여, 교사들이 가지고 있었던 정의 개념과 연역적 조직화로서의 정의하기를 가르치고자 할 때 봉착했던 교수학적 문제들을 살펴보았다. 교사들은 lesson play에서 도형의 정의를 주입식으로 전달하지 않았으며 여러 다른 정의의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나, 연역적 조직화로서의 정의하기를 적극적으로 구현할 수는 없었다. 교사들은 정의를 어떤 용어에 대한 언어적 약속으로 생각하여, 정의를 가르치는 데 있어 연역적 조직화와 같은 과정이 왜 필요한 지를 이해하지 못하였다. 또 수학적 정의의 임의성 및 정의와 정리의 지위가 절대적이지 않다는 사실을 수용하는 데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교사들이 도형의 수학적 정의를 자신이 배웠던 방식과 다르게 가르치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사교육에서 단순히 Freudenthal의 이론과 같은 이상적인 교수 방향 및 철학을 소개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며, 상식적인 정의 개념과 수학적 정의 개념의 차이를 인식하고 반성해보는 것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 PDF

예비 교사의 초등 수학 수업에 대한 기술과 비평의 변화 (Changes in Describing and Commenting on Elementary Mathematics Instruction by Prospective Teachers)

  • 방정숙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99-424
    • /
    • 2014
  • 예비 교사 교육은 수업 전문성의 기초를 쌓는 시기라는 점에서 중요하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본 논문은 예비 교사가 초등수학교육방법론 강의를 수강하면서 초등 수학 수업을 기술하고 비평하는 능력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분석한 것이다. 연구 결과 수업 기술 측면에서는 강의 초반보다 후반에 수업의 핵심적인 단계에 더 주목하게 되었고 학습 내용에 적합한 수업 전략의 활용 여부에 주목하게 되었다. 수업 비평 측면에서는 전반적으로 수업 전략과 수학적 담화에 대한 내용에 대해 교사를 중심으로 평가적 수준에서 대안 없이 비평하는 비중이 높았다. 다만 강의 후반에는 교사와 학생을 함께 고려하고, 수학 개념이나 이론을 적용하여 비평의 근거를 마련하며, 해석적 수준에서 비평하는 비중이 높아졌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논문은 예비 교사 교육에서 초등수학교육방법론 지도와 관련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PDF

창의와 인성 함양을 위한 수업척도 고찰에 관한 연구 - 중등 수학 수업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Criteria for Lessons that Build Students' Creativity and Character - Focused on Secondary Mathematics Classes -)

  • 이은주;이재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2권1호
    • /
    • pp.1-14
    • /
    • 2013
  • This study focuses on the criteria for lessons that develop secondary students' creativity and character in mathematics classes. Literature used in this study is related to the future direction of education (e.g., Core competencie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Constructivism education) and intent of the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Lesson criteria for developing students' creativity and character include educational content associated with the real-world contexts, use of tools and resources, active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problem-solving skills, teachers' attitudes, and the classroom environment. This study suggests ways to implement mathematics lessons that build students' creativity and character.

"Heart beating" of the classroom-Interaction in mathematics lessons as reflected in classroom discourse

  • Levenberg, Ilana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8권3호
    • /
    • pp.187-208
    • /
    • 2014
  • This study engages in the features of interaction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lessons as reflected in the class discourse. 28 pre-service teachers documented the discourse during observation of their tutor-teachers' lessons. Mapping the interaction patterns was performed by a unique graphic model developed for that purpose and enabled providing a spatial picture of the discourse conducted in the lesson. The research findings present the known discourse pattern "initiation-response-evaluation / feedback" (IRE/F) which is recurrent in all the lessons and the teacher's exclusive control over the class discourse patterns. Hence, the remaining time of the lesson for the pupils' discourse is short and meaningl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