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s Books of Chosun Dynasty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5초

중국 수학자와 산서 (Chinese Mathematicians and their works)

  • 김창일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1-42
    • /
    • 2006
  • 중국 수학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 중국 수학자의 주요업적과 그들의 저서에 대하여 조사한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중국어 발음표기와 이미 출판된 발음표기를 비교한다.

  • PDF

묵사집산법(?思集算法)에 수록된 퇴타개적문(堆?開積門)의 현대적 재구성 및 수학교육적 활용 방안 (A Modern Reconstruction of the Problems on the Sums of Sequences in MukSaJipSanBup and its Pedagogical Applications)

  • 양성현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19
    • /
    • 2020
  • Under 2009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and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mathematics teachers can help students inductively express real life problems related to sequences but have difficulties in dealing with problems asking the general terms of the sequences defined inductively due to 'Guidelines for Teaching and Learning'. Because most of textbooks mainly deal with the simple calculation for the sums of sequences, students tend to follow them rather than developing their inductive and deductive reasoning through finding patterns in the sequences. In this study, we reconstruct 8 problems to find the sums of sequences in MukSaJipSanBup which is known as one of the oldest mathematics book of Chosun Dynasty, using the terminology and symbols of the current curriculum. Such kind of problems can be given in textbooks and used for teaching and learning. Using problems in mathematical books of Chosun Dynasty with suitable modifica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is a good method which not only help students feel the usefulness of mathematics but also learn the cultural value of our traditional mathematics and have the pride for it.

조선 시대의 방정식론 (Theory of Equations in Chosun Dynasty)

  • 홍영희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16
    • /
    • 2004
  • 조선 시대의 산학서 묵사집산법, 구일집(九一集), 차근방몽구(借根方夢求), 산학정의(算學正義) 및 익산(翼算)에 나타나는 방정식 이론을 조사함으로써, 조선 시대의 방정식론의 역사를 연구한다. 먼저 조선 산학에서 다항식과 방정식의 표현 방법의 변화를 취급한 후 방정식의 해법에 관한 역사를 다룬다.

  • PDF

조선 산학자 이상혁의 방정식론

  • 홍성사;홍영희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4
    • /
    • 2004
  • Iksan(翼算) written by Lee Sang Hyuk(李相赫, 1810∼\ulcorner) is unique among mathematical books published in Chosun Dynasty since it is the only book which accomplishes the conceptualization of theory of equations if not that of mathematics itself. We investigate its process by his other publications and mathematical interaction with Nam Byung Gil(南秉吉, 1820∼1869).

  • PDF

중국 및 조선시대 산학서에 나타난 원주율과 원의 넓이에 대한 고찰

  • 장혜원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16
    • /
    • 2003
  •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how Chinese and Korean evaluate $\pi$ and measure tile area of circle by reviewing the problems in the old mathematical books. The books are Gu-Jang-San-Sul(The nine chapters on tile mathematical art) for China and Gu-Il-Jib for Chosun Dynasty. The result shows that our ancestors used the different values of ${\pi}$ in relation to the accuracy and the various methods for measuring the area of circle.

  • PDF

조선(朝鮮) 산학(算學)과 사원옥감(四元玉鑑) (Mathematics in Chosun Dynasty and Si yuan yu jian)

  • 홍성사;홍영희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6
    • /
    • 2007
  • 송(宋), 원대(元代)의 가장 중요한 산학자(算學者) 소구배(泰九韶), 이치(李治), 주세걸(朱世傑)이 19세기 조선(朝鮮)에서 연구되어 19세기 중엽 조선(朝鮮) 산학(算學), 특히 대수학 분야가 크게 발전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사원옥감(四元玉鑑)이 조선(朝鮮) 산학(算學)에 미친 영향을 조사한다. 나사림(羅士琳)의 사원옥감세초(四元玉鑑細艸)를 연구한 남병길(南秉吉)의 옥감세초상해(玉監細艸詳解), 이상혁(李尙爀)의 저서로 추정되는 사원옥감(四元玉鑑)과 이에 기초하여 저술된 남병길(南秉吉)의 산학정의(算學正義), 이상혁(李尙爀)의 익산(翼算)을 조사하여 사원옥감(四元玉鑑)과 조선(朝鮮) 산학(算學) 발전의 관계를 연구한다.

  • PDF

조선시대의 산학서에 관하여

  • 이창구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9
    • /
    • 1998
  • This article explores what is the genuine Koreanness in Korean arithmetic by examining what kind of influence the Chinese arithmetic had on the Korean arithmetic and how the Korean arithmetic scholars had accepted and utilized it. Because the main stream of Korean culture before the end of Chosun dynasty was located under the umbrella of the Chinese philosophy, technique, and culture, it is necessary to make researches on the historical documents and materials in order to establish the milestone in the Korean arithmetic history for the Korean arithmetic scholars. For this research, the arithmetic books published in between the sixteenth century and the end of Chosun dynasty are mainly consulted and discussed, dealing with the bibliographical introduction in the arithmetic Part in Re Outline History of the Korean Science & Technology written by Prof. Yong-Woon Kim.

  • PDF

조선 산학의 삼각형 (Triangles in Chosun Mathematics)

  • 장혜원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1-52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조선 시대의 산학서에서 다루어진 삼각형에 대한 내용을 고찰한다. 기하보다 대수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던 조선시대 산학 연구의 특성을 고려하면, 삼각형 자체에 대한 기하학적 탐구보다는 삼각형 모양의 밭의 넓이 측정 방법에 대한 설명이 기대된다. 그러나 예외적으로 직각삼각형인 구고에 대해서는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졌고, 측정이라 하더라도 일반 삼각형에 대해서는 근삿값 수준으로 다루어진 것을 감안하면 삼각형 관련 내용에 대한 분석은 의의 있다고 생각된다. 조선의 산학서 <묵사집산법>, <구일집>, <산학입문>, <주해수용>, <산술관견>에 대한 고찰 결과, 삼각형 관련 내용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 다. 측정의 필요가 있던 밭 모양과 관련한 도형의 측도, 측정 대상으로서의 도형으로부터 기하 연구 대상으로서의 도형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내용, 서양 수학의 영향으로 인한 도형의 정의 및 성질에 대한 탐구와 타당화이다.

  • PDF

이상설(李相卨)의 산서 수리(算書 數理) (Lee Sang Seol's mathematics book Su Ri)

  • 이상구;홍성사;홍영희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14
    • /
    • 2009
  • 17세기에 서양 수학이 조선에 들어온 이래 조선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산서는 수리정온(數理精蘊)이었다. 19세기 말 조선에서 신교육이 시작되면서 수리정온(數理精蘊)이후의 서양 수학을 가르치게 되었다. 이 때 일본을 거쳐서 들어온 서양 수학은 주로 교과서로 나타난다. 이 논문은 독립 운동가로 잘 알려진 이상설(李相卨)의 저서인 수리(數理)를 조사하여 19세기 말 선교사를 통하여 서양 수학이 조선에 전해지는 과정을 알아본다. 특히 이상설(李相卨)이 조선 산학의 대수학 분야에서 중요한 변화와 발전을 이루어 낸 것을 밝혀낸다.

  • PDF

동양의 영부족술과 서양의 가정법 (The Excess and Deficit Rule and The Rule of False Position)

  • 장혜원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3-48
    • /
    • 2005
  • 가정법은 중세 서양에서 상용된 대수 방정식의 산술적 해법이며, 보통 그 근원을 중국 수학의 영부족술이라 말한다. 이와 관련하여 중국 및 조선의 산학서와 이집트, 아랍, 인도 및 서양의 수학 교재를 고찰함으로써 수학사에 있어 그 역사적 자취를 추적하고 두 가지 사실을 확인한다. 첫째, 중국의 영부족술은 일차연립방정식의 해법인 방정술과는 구별되어 일차방정식으로 해석되는 특정 수량 관계를 다루기 위한 계산 알고리즘이며, 둘째, 동양의 영부족술과 서양의 가정법의 명확한 관계는 전자에서의 가정을 포함하는 응용 부분이 후자에서의 이중 가정법과 상응한다는 것이다. 나아가 가정법의 수학적 가치를 수학 교육적 가치로 환원하기 위한 제안을 포함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