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al Behavior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24초

PBG(Problem Behavior Graph)를 이용한 수학적 사고 과정 분석 (An Analysis on Mathematical Thinking Processes of Gifted Students Using Problem Behavior Graph)

  • 강은주;홍진곤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545-562
    • /
    • 2009
  • PBG(Problem Behavior Graph; 문제해결 행동 그래프)는 인지 심리학자인 Newell과 Simon에 의해 제안된 것으로 연구 대상자가 문제를 해결할 때 인지 활동을 그래프 형식을 이용하여 그려놓은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에 재학 중인 수학 영재의 수학적 문제 해결에서 이루어지는 인지적인 과정을 추적하기 위하여, 사고구술법(Think-aloud method)으로 추출된 수학 영재 학생들의 사고 과정을 언어 프로토콜로 나타내고 분석한 것을 토대로 PBG를 구성하는 사례를 제시한다. 이를 통하여 수학 영재 학생들이 문제 해결 과정 중 인지 활동으로 거치게 되는 절차와 사고 과정 특성 지도를 살펴보고 대상 학생들이 여러 번의 시행착오 후 전체적인 과정을 수정하며 수행해 나가게 되는 방법과 문제의 최종적인 해결안을 도출해 내는 경로 탐색 과정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 PDF

독자적 연구에서 나타난 수학영재의 수학적 행동특성 분석 (Analysis on mathematical behavior characteristics of a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 in independent study)

  • 정진영;강순자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3권4호
    • /
    • pp.479-492
    • /
    • 2014
  • According to Krutetskii, the education of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must be focused on the improvement of creative mathematical ability and the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need to experience the research process like mathematician. Independent study is highly encouraged as the self-directed activity of highest level in the learning process which is similar to research process used by experts. We conducted independent study as a viable differentiation technique for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3rd grade, which participated in mentorship program for 10 months. Based on the data through the research process, interview with a study participant and his parents, and his blog, we analyzed mathematical behavior characteristics of a study participant. This behavior characteristics are not found in all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But through this case study, we understand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better and furthermore obtain the message for the selection and education of the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and for the effective method of running mentorship program particularly.

수학 영재를 위한 행동 특성 검사도구 개발 (The Development of behavior Characteristics Scale in the Mathematically Giftedness of the Middle School)

  • 황동주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405-424
    • /
    • 2006
  • 본 연구는 수학 영재의 행동특성 검사 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문헌 연구를 통해 수학 영재의 행동 특성을 추출하여 유목화한 후 측정변인으로 규정하였으며, 각각의 측정변인별로 문항을 개발하여 예비검사 과정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51개 문항으로 구성된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기존에 영재교육을 받은 학생과 표준화된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에서 상의 10%와 교사 지명 학생 포함하여 424명을 연구 대상으로 본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높은 신뢰도(.95)를 확보하였으며 Rash 1모수 모형을 이용하여 내적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주성분 요인추출방법으로 요인을 추출하여 Varimax 방법으로 직각회전을 한 구인타당도 검증에서 일반적인 수학정신 능력 요인, 수학적 능력 요인, 정보 수집과 처리 능력 요인과 수학적 성향 요인이 추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수학 영재 행동 특성 검사 도구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양호하게 검증되었다고 볼 수 있다.

  • PDF

수학 영재아들을 위한 행동특성검사지의 개발과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the Mathematical Gifted Children)

  • 송상헌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2권2호
    • /
    • pp.427-457
    • /
    • 2000
  • This study amis to develop an instrument to measure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the mathematically gifted children. The checklist represents 6 factors of characteristics - aptitude, attitude, inclination, general metal ability, creative ability and reflective ability in mathematics - which are from 36 items by factor analysis.

  • PDF

초등 수학 영재의 판별과 선발 (Identification and Selection the Mathematically Gifted on the Elementary School)

  • 송상헌
    • 한국영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영재학회 2001년도 춘계 학술세미나
    • /
    • pp.43-72
    • /
    • 2001
  • Identification and discrimination the mathematical giftedness must be based on it's definition and factors. So, there must be considered not only IQ or high ability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but also mathematical creativity and mathematical task commitment. Furthermore, we must relate our ideas with the programs to develop each student's hidden potential not to settle only.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discrimination of the recipients who would like to enter the elementary school level mathematical gifted education program. To fulfill this purpose, I considered the criteria, principles, methods, tools and their application. In this study, I considered three kinds of testing tools. The first was KEDI - WISC personal IQ test, the second is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bility written test(1st type), and the third was mathematical creativity test(2nd type) which were giving out divergent products. The number of the participant of these tests were 95(5-6 grade). According to the test, students who had ever a prize in the level of national mathematical contest got mo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cores on 1st and 2nd type than who had ever not, but they were not prominent on the phases of attitude, creative ability or interest and willing to study from the information of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test. Using creativity test together with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test will be more effective and lessen the possibility of exclusion the superior.

  • PDF

개방형 문제 해결과정에서 수학 영재아와 수학 우수아의 행동특성 분석 (An Analysis on Behavior Characteristics between Gifted Students and Talented Students in Open-end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 신인선;김시명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33-59
    • /
    • 2006
  • 본 연구는 과학고등학교의 구성원인 수학 영재아와 수학 우수아의 개방형 문제 해결과정에서 나타나는 행동특성을 살펴봄으로써 과학고등학교의 설립취지인 영재교육의 의미를 되새기고, 학교 교육의 본질적 기능인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의미 있는 학습'이 이들에게도 실현될 수 있는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하여 과학고등학교 1학년 학생 중 3단계 판별절차를 거쳐 연구대상 학생 8명(수학 영재아 4명, 수학 우수아 4명)을 선발하였으며, 문헌연구를 통하여 마련한 틀에 의하여 두 그룹 학생의 행동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렇게 실시한 연구의 결론은 (1)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의 구성을 우수 동질집단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수학적 행동특성 전 분야에서 우수성을 나타내는 수학 영재아와 수학 교과 학습능력이 우수한 수학 우수아로 나누어져 있음을 인정해야 한다. (2) 과학고등학교의 구성원인 수학 영재아와 수학 우수아 두 그룹 사이의 행동 특성 차이를 이해하고, 과학고등학교 교육과정이 일반계 고등학교와 동일한 교육과정에 대한 속진 심화 학습의 형태로 운영되어서는 안되며, 영재교육기관으로서 이들의 특성에 알맞은 창의성 신장을 위해 수업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 영재아들이 보통의 수학 우수아들과 동일한 교육에 의해 보편화되는 일을 줄이고 학교교육의 본질적 기능인 학습자에게 '의미 있는 학습'을 유발할 수 있는 지원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겠다.

  • PDF

수학영재의 수행능력에 대한 교사 및 부모 평정의 예측력 (Mathematical Performance Predictions of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with Gifted Behavior Ratings by Teachers and Parents)

  • 이미순
    • 영재교육연구
    • /
    • 제21권4호
    • /
    • pp.829-845
    • /
    • 2011
  • 본 연구는 초등 수학영재의 수학적 수행능력에 대한 교사 및 부모 평정의 예측력을 조사하였다. 수학적 수행능력을 조사하기 위해, A 광역시 소재 영재교육원에 재원 중인 초등 수학영재(n=787)를 대상으로 수학적 수행능력 검사를 실시하고, 영재교사 및 부모에게 영재아 행동 평정 척도(SRBCSS-R, Renzulli et al., 2002, 2009)를 의뢰하였다. 연구 결과, 수학영재의 학년 수준 그리고 영재의 성에 따라 교사의 영재행동 평정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한편 부모의 영재행동 평정은 수학영재의 학년수준에서만 차이가 나타나, 부모는 5학년 수학영재의 '학습특징'과 '동기 특징'을 6학년 수학영재보다 높게 평정하였다. 영재교사와 부모에 의한 수학영재의 영재행동 평정을 비교하였을 때, 영재교사가 부모보다 '수학적 특징'을 제외하고 '학습특징'과 '동기 특징'을 유의하게 높게 평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수학영재의 수학적 수행능력에 대한 영재교사와 부모에 의한 영재행동 평정의 예측력을 조사하였을 때, 영재교사에 의한 '학습 특징' 그리고 '수학적 특징'에 대한 평정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예측력이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과 관련하여 교사 및 부모에 의한 관찰 및 추천의 현장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수학적 개념 해를 적용한 미고결 암석의 Creep거동 해석 (Creep Behavior of Unconsolidated Rock with Mathematical Concept Solution)

  • 장명환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8권1호
    • /
    • pp.25-37
    • /
    • 2018
  • 미고결 암석에 대한 Creep 특성을 분석하고자 Burger 모델을 이용하였다. Burger 모델은 자료쌍 D(u,t)으로부터 4개의 역학적 매개변수를 결정 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적 개념 해를 적용하여 매개변수를 결정 하였다. 미고결 암석에 대한 Burger 모델의 결정된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Creep을 3년간 가속시켰다. 그 결과 Creep 거동은 수렴이 되지 않고 지속적인 변형거동을 보였다. 따라서 본 광산에서는 Roofbolt 보다 U-Beam 적용이 안정성 측면에서 더 적합 할 것으로 분석 되었다.

An Investigation of Cognitive-Metacognitive Characteristics in Problem Solving Behavior

  • Yoon, Suk-Im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5권1호
    • /
    • pp.59-75
    • /
    • 2001
  • This paper reports an investigation of problem solving activities of students at university level students. The study focused on the cognitive-metacognitive and affective activities appeared in problem solving process. The cognitive-metacognitive framework was used to analyzed and categorize the written response and free response of interviews probing the students\\` cognitive-metacognitive activities. Affective factors were assessed by administering the problem solving survey (Carlson, The emergence of students\\` problem solving behavior, 1999). This study provide an insight for the design of problem solving instruction by identifying cognitive, metacognitive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problem solving behaviors. The results report that the metacognitive factor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problem solving performance interacting with both cognitive and affective factors.

  • PDF

협력형 개체 수 동역학에 대한 1900년대 연구 (Researches in 1900's on cooperative population dynamics)

  • 장정욱;심성아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67-177
    • /
    • 2020
  • Cooperative behavior may seem contrary to the notion of natural selection and adaptation, but is widely observed in nature, from the genetic level to the organism. The origin and persistence of cooperative behavior has long been a mystery to scientists studying evolution and ecology. One of the important research topics in the field of evolutionary ecology and behavioral ecology is to find out why cooperation is maintained over time. In this paper we take a historical overview of mathematical models representing cooperative relationships from the perspective of mathematical biology, which studies population dynamics between interacting biological groups, and analyze the mathematic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these cooperative mod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