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al Attitudes

검색결과 169건 처리시간 0.023초

튜링의 인지과학: 튜링 탄생 백주년을 기념하는 메타수학 에세이 (Turing's Cognitive Science: A Metamathematical Essay for His Centennial)

  • 현우식
    • 인지과학
    • /
    • 제23권3호
    • /
    • pp.367-388
    • /
    • 2012
  • 이 연구는 튜링의 탄생 백주년을 맞이하여 인지과학을 위한 그의 심대한 공헌을 고찰하기 위한 작업이다. 이 논문에서는 특히 튜링에게 가장 중요한 학문적 영향을 주었던 괴델의 시각을 통하여 튜링의 공헌과 입장이 논의된다. 이를 위하여 메타수학적 접근이 시도되며, (1) 튜링의 인지에 대한 수학적 분석, (2) 보편튜링기계, (3) 보편튜링기계의 한계, (4) 보편튜링기계의 한계를 넘는 모델로서의 오라클튜링기계, (5) 인지과학을 위한 튜링테스트가 논의된다. 이 연구에 의하면, 튜링의 공헌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첫째 튜링은 수리논리를 사용하여 마음과 물리적 세계의 새로운 가교를 발견했다. 둘째, 튜링은 마음의 작동에 대하여 새로운 형식적 분석을 제공했다. 셋째, 튜링은 자신의 튜링기계의 한계를 넘어서는 마음의 새로운 모델로서 오라틀 튜링기계와 연결주의적 신경망기계를 제시했다. 우리 인지과학자들은 튜링의 어깨 위에 서서 늘 새로운 튜링테스트를 기다리고 있게 될 것이다.

  • PDF

공과대학생들의 학습양식을 고려한 수학 교수-학습 모형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athematics teaching-learning model considering learning styles of the students of engineering college)

  • 정수연;강윤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7권4호
    • /
    • pp.407-428
    • /
    • 2013
  • 본 연구는 공과대학생들의 수학 학습 능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활용 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수-학습과정에서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하는 학생들의 학습양식과 수학학습태도를 조사하여 둘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구대상자들은 의존적이고 참여적인 성향이 강한 것으로 파악되었기 때문에, 이런 성향의 학습자들이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개발된 교수-학습 모형을 한 학기 공업수학 강좌에 적용한 후 학생들의 반응을 조사한 결과, 이 모형은 공과대학생들이 메타인지적으로 자기 학습과정을 진단하고 조정하는 능력을 향상시켜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수학 학습에 긍정적인 태도를 갖게 하는데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대학생 교사제의 효과 분석: 사범대학 수학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제언 (The Effect of Teaching Experience in After-School Learning Programs: Impli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Program)

  • 주미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5권3호
    • /
    • pp.295-313
    • /
    • 2006
  • University teacher education programs have sought for ways of how to improve student teaching in order to supply mathematics teachers with practical theory to achieve the goals of the current educational reform in school mathematics.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udent teachers' teaching experience in the after-school mathematics programs and the ways of how to develop the after-school learning programs as an effective site for learning to teach based on the inquiry into student teachers' own teaching experience. For the purpos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interviews with the student teachers who had taught after-school mathematics class. In additio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 class observation, and seminal meetings with the student teachers in order to supplement the findings from the interview analysis. Data analysis focused on the student teachers' experience with teaching in after-school mathematics classes, that is, what and how they had learned as teachers, what kinds of difficulties they encountered in their teaching and supports that they expect to improve their learning through teaching. The analysis shows that the teaching experience in the after-school programs had positively contributed to their development as future mathematics teachers. Specifically, the after-school programs provide the site for learning through teaching at the early stage of teacher education program. The after-school programs provided the students teachers for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peripherally in educational practice of school. Through the participation, the student teachers developed positive attitudes toward teaching career and became to have more solid ideas about how to teach mathematics. Based on the analysis, this research provides following suggestions concerning how to improve student teaching.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student teachers to participate into the practice of teaching at the early stage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Second, it is important to give students teacher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teaching at peripheral and legitimate positions. Finally,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mentoring networks to support student teachers to move from a peripheral position toward a center of teaching practice.

  • PDF

수학과 생명과학 통합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적용 -미적분과 통계 기본의 확률의 뜻과 활용 단원을 중심으로- (A Study of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Integrated Education of Mathematics and Biological Science - Focused on Probability in Calculus and Basic Statistics Curriculum -)

  • 신보미;주은화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629-656
    • /
    • 2014
  • 이 연구는 수학과 과학, 특히 생명과학과의 연결성에 기초하여 미적분과 통계 기본 교과의 확률의 뜻과 활용 단원을 생명과학I의 유전 내용과 통합하여 지도하는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개발된 교수-학습 자료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수업에 참여한 고등학생들이 드러내는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그 교수학적 시사점을 기술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통합 교수-학습 자료 개발을 위한 세부 관점을 상세화하고 생명과학 교과서와 수학 교과서를 분석하여 연계 가능한 내용을 추출한 다음 이를 실제 교수-학습 자료로 조직하였다. 이를 활용한 수업에서 학생들이 보이는 특징을 4가지로 요약하여 제시함으로써 수학과 과학 통합교육의 설계와 실행에 있어 몇 가지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PDF

현상학적 관점을 반영한 학교수학의 연구방법론에 대한 고찰 (A Review of Research Methodology in Mathematics Education from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 조정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6권4호
    • /
    • pp.383-408
    • /
    • 2012
  • 본 연구는 수학교육 연구를 위한 다양한 관점의 제공에 기여할 수 있는 현상학(phenomenology)을 수학교육의 연구방법론적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현상학이란 현상과 경험에 대한 연구이며, 현상학적 연구는 무엇인가를 경험한 개인한테서 그가 경험한 것의 의미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현상학이 수학교육 연구의 한 가지 새로운 질적 연구방법론으로 어떤 가능성을 열어줄 수 있는지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수학교육과 질적 연구방법의 동향, 현상학의 주요 개념들, 현상학적 연구를 위한 현상학적 방법, 그리고 현상학적 연구 방법과 절차에 대해 살펴보았다. 결론으로는 현상학은 수학교육이 "체험"에 초점을 두게 하고, 수학교육에서 생활세계의 인식에 대한 중요성을 부각시키며, 그리고 수학교육의 전반적인 현상에 대한 본질과 경험의 의미를 파악 가능하게 해 준다.

수학과목 학업성취요인 - 부산.경남의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Factors: a Case Study of the Second Grade Students at Middle Schools in Busan City and Kyungsangnam Do)

  • 박동준;백경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523-543
    • /
    • 2009
  • 수학 교육과 학업의 결과인 수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을 탐색하고 분석하기 위하여 부산의 2개 중학교와 경남의 2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총 484명의 중학교 2학년들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가정환경 및 배경, 학생 개인의 성격 및 교우관계, 수학문제 해결을 위한 학습습관, 수업방식과 교사와 관련된 변인, 컴퓨터의 활용도, 수준별 이동수업 등의 학교환경, 사교육의 실태 등을 조사한 설문지를 평가도구로 활용한다. 그리고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사교육 현황을 지역별로 비교하여 제시한다. 설문자료를 활용하여 통계적 기법인 요인분석을 실행하여 수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변인들을 분석하고 그들의 특징을 제시하여 수학교육 연구자와 중등수학교사들에게 중등수학교육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중등수학교육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한국 국제학교에서의 이중 언어를 활용한 수학학습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bilingual learning of mathematics at International High School in South Korea)

  • 공미나;김응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115-132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한국의 일반 고등학교와는 다르게 이중언어로 수학을 가르치고 있는 한국의 경인지역에 있는 A 국제학교에서 학생들이 이차함수와 그래프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어와 영어로 학습하였을 때의 실태와 성향에 어떤 특징이 보이는지 조사하였다. 특별히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국내 고1 교육과정을 따른 수학 I 수업을 한국어로 진행하였고 미국 Common Core State Standard을 따른 Algebra II 수업을 영어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이중 언어를 활용한 수학 학습이 한국 학생들의 수학 학습능력 향상과 수학 학습 태도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는 학생들의 학습참여도와 동기부여가 잘 되었고 대학 진학을 위한 준비 단계로서도 유익한 과정이었다. 둘째로는 본 연구 결과로서 얻게 되는 시사점으로서 소수이기는 하지만 한국에서의 이중언어로서의 수학교육에서는 학생들의 필요와 다루게 되는 교재들의 국가 간의 차이에 의한 영향들을 고려하여 이중언어 수학수업에 보다 효율적인 지도방법의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기대된다.

고등학생용 수학불안 요인 측정 도구 개발 및 타당도 검증 (Development of a Tool to Measure Math Anxiety Factors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Validation of Validity)

  • 강양구;한선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6권2호
    • /
    • pp.201-227
    • /
    • 2022
  • 한국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적합한 수학불안 요인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요인 탐색, 문항 개발,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의 단계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분석을 통해 기 개발되어 사용되어온 문항을 수정 보완하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개방형 조사를 통해 사교육 및 수학 교수 방법에 대한 시대적 배경을 반영한 신규 문항을 추가하였다. 개발된 측정문항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연구 결과, 수학교과의 특성에 기인하는 불안 요인이 구체화되었고, 모둠학습이나 발표수업 등과 같은 교수학습 방법 등이 반영되었다.

초등학교 수학 교과용 도서 선정과 관련한 교사들의 의사결정 탐색 (Elementary textbook adoption process and teacher decisions)

  • 한채린;임웅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1권2호
    • /
    • pp.221-237
    • /
    • 2022
  • 이 연구는 검정 도서로 전환된 초등학교 3~4학년 수학 교과용 도서를 선정하는 교사들의 의사결정을 조사하였다. 개별 학교에서 수학 교과용 도서 선정에 참여한 296명의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Shavelson과 Stern (1981)의 의사결정 모델에 따라 수학 교과용 도서와 관련한 이들의 신념, 도서를 평가하는 판단 기준으로서 도서 내·외적 요인, 최종적인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결과를 토대로 (1) 평소 신념과 실제 교과서 선정 의사결정 요소가 상충하는 현상, (2) 다교과 수업 업무에서 기인하는 의사결정 요소, (3) 교과서의 다양성을 추구하는 이상적인 정책과 차별성 없는 교과서에 안주하는 학교 현장 간의 괴리 현상 등 새로운 교과서 발행제도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수학교육에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 교사와 중등 수학 교사의 인식 분석 (An analysis of perceptions of elementary teachers and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on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 mathematics education)

  • 김정원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3권2호
    • /
    • pp.351-368
    • /
    • 2024
  • 인공지능이 수학교육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인 중 하나는 인공지능을 수용하는 교사의 인식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인공지능의 정의와 활용 태도, 수학 교수 도구, 수학 학습 도구, 수학 평가 도구의 네 가지 범주로 구분한 뒤, 초등 교사 161명과 중등 수학 교사 157명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수학 교수 및 학습의 도구로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데에 가장 긍정적인 인식을 드러냈으나, 자신의 수학 수업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것과 관련된 인공지능에 대한 태도와 관련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인식을 드러냈다. 또한 모든 문항에서 초등 교사가 중등 수학 교사보다 긍정 응답률이 높게 나타났고, 중등 교사의 경우 중립적 인식에 가진 교사의 비율이 초등 교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드러난 교사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인공지능이 수학교육에 효과적으로 활용되기 위하여 교사들에게 필요한 구체적인 교수학적 지원과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