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al Anxiety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5초

중학생용 수학불안 검사 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Development of Mathematics Anxiety Scale for Middle School Students & its Validity)

  • 옥보명;이창연;류병국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5권3호
    • /
    • pp.233-255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불안을 줄이기 위한 프로그램의 계획·실행을 위한 중학생용 수학불안 검사 도구의 개발과 타당화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용 수학불안 검사 도구 개발 및 타당화 과정을 설명하고, 구인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과정을 자세하게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로 수학교과, 수학태도, 수학시험, 환경 등 4개 요인 30문항으로 이루어진 중학생용 수학불안 검사 도구 MASS-M이 개발되었다. MASS-M은 중학생의 수학불안 요인으로서 '수학시험' 요인, '환경' 요인, 특히 수학적 처치를 설명하는 '수학교과' 요인과 심리적 처치를 설명하는 '수학태도' 요인을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MASS-M은 중학생의 수학불안을 측정하기 위해 타당화한 검사 도구로써, 중학생의 수학불안 관련 연구에 일관성을 유지하고 더 나아가 중학생의 수학불안을 처치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토대가 되기를 기대한다.

성격유형에 따른 수학불안 관련성 연구 (A Study on the Relativity of Mathematical Anxiety Depending on the Types of Students' Characteristics)

  • 고호경;박상희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369-384
    • /
    • 2007
  • 본 연구는 성격과 수학불안이 무관하지 않다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성격유형에 따라 수학불안 하위요인에서의 불안 정도를 비교하고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충남 공주 및 경기도 안양의 고등학생 159명이었고 네 가지 선호지표(E-I, S-N, T-F, J-P), 기능과 기질, 16가지 성격유형으로 분류하고 각 유형별, 수학불안 하위요인별로 느끼는 수학불안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수학불안 하위요인인 학습동기에서는 E형이 교수방법에서는 N형의 학생들이 수학불안을 가장 많이 느끼고 있음을 보였다. 또한 교수방법에서 심리적 기질 및 기능에서 NT형의 학생들이 수학불안 정도가 높게 나옴으로서 성격유형에 따른 수학불안의 하위요소와의 관련성이 있음을 검증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수학불안 하위요소를 고려한 교수 학습을 제안할 수 있다.

  • PDF

수학학습유형과 학년에 따른 초등학생의 수학불안에 관한 연구 (Mathematics Anxiety by Mathematical Learning Style and the Grade in School: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이세나;한석실;이승훈
    • 아동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16
    • /
    • 2007
  • In this study of mathematics anxiety, mathematical learning style, and grade in school, 1,264 elementary students completed the Mathematics Anxiety Scale(Lee, 2005) and the Mathematical Learning Style Scale(Yang & Whang, 2005)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alysis of their responses showed that anxiety about mathematics increased with grade in school. Among sub-factors of mathematics anxiety, the subject itself, learners' attitude, and learning environment increased the anxiety of upper grade students. Motivation, initiative, and regulation styles of learning mathematics were found to be important factors in the mathematics anxie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PDF

중학교 학생을 위한 수학불안 검사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Anxiety Test for Middle School Students)

  • 이소라;구예리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469-489
    • /
    • 2020
  • 중학교 학생은 수학불안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늘날 중학교 학생의 특성을 반영한 검사도구의 필요성에 따라 중학교 학생을 위한 수학불안 검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수학불안의 하위 요인을 설정하였으며 각 요인에 해당하는 문항을 제작하였다. 두 번의 파일럿 검사를 통해 문항의 적합성 및 타당도를 분석하여 일부 문항을 수정하였다. 수정된 문항을 사용하여 중학교 학생 255명을 대상으로 본 검사를 실시하였고, 246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검사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최종 개발된 검사도구는 하위 요인 6개, 총 36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수학불안의 정도에 대한 준거를 함께 제시하여 학생의 수학불안에 대한 정보를 학생과 교사, 학부모에게 제공하고자 하였다.

중학생의 학년별 및 성별에 따른 수학불안과 수학성취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s Anxiety and Mathematical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Gender and Grade)

  • 황선욱;유경훈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2권2호
    • /
    • pp.175-189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진학 준비의 심리적 부담을 현실적으로 느끼기 시작하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수학불안과 수학성취 정도가 학년 및 성별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 분석하고 수학불안과 수학성취 요인 간의 상관관계 및 수학불안 요인이 수학성취에 미치는 설명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의 중학생 587명을 대상으로 수학불안 검사와 수학 성적을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t-검증, Pearson 상관계수, 회귀 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성별에 따른 수학 점수 및 수학 불안도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별로도 수학 점수 및 수학 불안도에 있어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 수학불안과 수학성취 간의 관계는 모두 높은 상관이 있었으며 학년별, 성별로도 상관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중학생들의 수학성취 정도를 가장 잘 설명해주는 요인으로는 흥미와 관심도, 수학교과요인, 교사요인 순으로 의미 있는 설명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수학불안 요인 중에서 흥미도, 수학교과요인, 교사요인이 중학생들의 수학성취를 증진시키는 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고등학생의 수학사회화 경험 수준에 따른 수학점수, 수학불안과 수학흥미도 간의 관계 연구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s Anxiety, Interest and Mathematical Grades of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Math Socialization)

  • 황선욱;유경훈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3권1호
    • /
    • pp.21-34
    • /
    • 2019
  • 이 연구는 대학 진학의 심리적 부담을 느끼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수학사회화 경험, 수학점수와 수학불안 및 흥미도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뒤 수학사회화 경험이 수학점수와 수학불안 및 흥미도에 미치는 설명력을 알아보며, 수학사회화 경험 수준에 따라 수학점수와 수학불안 및 흥미도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수도권지역의 고등학생 479명을 대상으로 수학사회화 경험, 수학불안, 흥미도 검사와 수학 성적을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t-검증, Pearson 상관분석, 회귀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수학사회화 경험과 수학점수, 수학불안과 흥미도는 의미 있는 관계가 있었으며 둘째, 수학사회화 경험은 수학점수, 수학불안과 흥미도를 의미 있게 설명하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수학사회화 경험 수준에 따라 수학점수 및 수학불안과 흥미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상수학적 데이터 분석법을 이용한 수학학습 불안 분석 사례 (Mathematics Anxiety Analysis using Topological Data Analysis)

  • 고호경;박선정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4권2호
    • /
    • pp.177-189
    • /
    • 2018
  • Recently, Topological Data Analysis (TDA) has attracted attention among various techniques for analyzing big data. Mapper algorithm, which is one of TDA techniques, is used to visualize the cluster diagram. In this study, students were cluster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degree of mathematics anxiety using a mapper, and students were visualized according to mathematics anxiety. In order to do this, Mathematical Anxiety Scale (Ko & Yi, 2011) in the aspect of mathematical instability in terms of teaching - learning, ie, Nature of Mathematics, Learning Strategy, Test/Performance is used. And the number of questions that measure the anxiety of mathematics can be extracted by extracting the most relevant items among the items that measure the anxiety of mathematics.

고등학생의 수학성취와 수학불안 간의 상관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mathematics anxiety and mathematics achievement in high school students)

  • 유경훈;황선욱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8권3호
    • /
    • pp.337-346
    • /
    • 2019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수학불안과 수학적 성취가 성별과 학년별로 어떻게 다른지 분석하고 수학불안과 수학성취 요인 간의 상관 및 설명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서울지역의 고등학생 459명을 대상으로 수학불안 검사와 수학성적을 조사하고 SPSS 24.0을 활용하여 T-test와 상관관계, 회귀 분석을 실행하였으며 분석결과 성별과 학년에 따라 수학점수 및 수학불안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의 수학 점수는 흥미, 수학성취 요인 및 수학적 자신감 요인에 의해 의미 있게 설명되었으며 여학생의 경우 수학 성취와 흥미요인이 의미 있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수학적 불안과 수학성취는 1학년과 3학년에서 상관이 있었으며, 모든 학년에서 수학 점수를 유의하게 예측할 수 있는 변수는 수학에 대한 흥미요인이었다. 이상의 결과에 이해 교육현장에서의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초등수학 학습부진아의 수학불안요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of Mathematics Anxiety of Mathematical Underachievers in the Elementary School)

  • 정지연;김성준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315-335
    • /
    • 2008
  • 본 연구는 초등수학 학습부진아들의 수학불안요인을 분석해봄으로써 이들의 수학불안요인 처치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가, 나, 다 급지별로 2개 학교씩 6개 초등학교 4, 5, 6학년 수학학습부진아 308명을 대상으로, 이들이 느끼는 수학불안요인과 학년별, 성별 차이에서 비롯되는 불안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수학학습부진아들의 경우 수학불안요인에서 수학교과 요인, 학습자 태도 요인, 환경 요인, 교사 요인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년에 따른 수학불안에서는 4, 5학년에 비해 6학년의 수학불안이 모든 요인에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성별에 따른 수학불안요인에서는 전반적으로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수학불안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수학의 추상성, 수학교육과정, 시간부족 요인은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불안이 높게 나타났으나, 교사 권위 요인은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이처럼 초등수학 학습부진아들의 수학불안은 학년 및 성별에 따라 그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일반초등학생들과 비교했을 때 학습부진아들이 느끼는 수학불안이 높다는 사실로부터 수학불안이 초등수학에서 학습부진의 원인 가운데 하나임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A Psychological Model for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based on Revised Bloom Taxonomy for High School Girl Students

  • Hajibaba, Maryam;Radmehr, Farzad;Alamolhodaei, Hassa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7권3호
    • /
    • pp.199-220
    • /
    • 2013
  •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factors (i.e. math anxiety, attention, attitude, Working Memory Capacity (WMC), and Field dependency) and students' mathematics problem solving based on Revised Bloom Taxonomy. A sample of 169 K11 school girls were tested on (1) The Witkin's cognitive style (Group Embedded Figure Test). (2) Digit Span Backwards Test. (3) Mathematics Anxiety Rating Scale (MARS). (4) Modified Fennema-Sherman Attitude Scales. (5) Mathematics Attention Test (MAT), and (6) Mathematics questions based on Revised Bloom Taxonomy (RBT). Results obtained indicate that the effect of these items on students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is different in each cognitive process and level of knowledge dimen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