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검색결과 16,348건 처리시간 0.047초

황비철광(黃砒鐵鑛)과 방연광(方鉛鑛)의 혼합황화광(混合黃化鑛)의 알카리산화(酸化)에 의한 Pb침출(浸出) (Dissolution of Pb from the Complex Sulphide Concentrates Containing Galena and Arsenopyrite by Alkaline Oxidative Leaching)

  • 윤기병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7권3호
    • /
    • pp.42-47
    • /
    • 2008
  • 침출온도 $100^{\circ}C{\sim}140^{\circ}C$, 산소압력 $40psi{\sim}100psi$, NaOH농도 $0.5M{\sim}2M$ 범위의 침출조건에서 황비철광과 방연광의 혼합황화광의 알카리산화에 의한 Pb 침출실험이 수행되었다. 혼합황화광중의 방연광침출에는 침출용액중의 $OH^-$농도가 큰 영향을 미치며 낮은 $OH^-$농도의 침출용액에서는 침출반응의 진행에 따른 $OH^-$저하에 의하여 침출된 $HPbO_2^-$가 화합물로 다시 석출이 일어나서 침출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침출온도 $120^{\circ}C$, 산소압력 100psi, 침출시간 30분, NaOH 2M의 침출조건에서 처리한 침출잔사 중의 Pb함량이 가장 낮은 결과를 얻었다.

한국사 속의 자기(磁氣) 관련 기록에 대한 조사 연구 (자석의 한방 응용 기록을 중심으로) (Survey on Records about Magnetism in Written Korean History (Records Regarding the Applications of Magnet for Oriental Medicine))

  • 이근우;권해웅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44-148
    • /
    • 2013
  • 만유인력 등이 발견되기 전에, 자석은 서로 떨어진 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유일한(특이한) 힘을 보여주는 마법적인 물질로 생각하였다. 그런 특성 때문인지, 동아시아에서는 자석이 약재로서도 널리 쓰였다. 이 글에서는 한국사 속의 자기에 관련된 기록 중 자석의 한방 응용에 관련된 기록을 정리하였다. 자석이 약재로서 어떤 효능을 가진 것으로 이해하였는지에 대한 기록을 정리하고, 자석을 약재로 하는 처방에 대한 기록, 그리고 실제로 우리 역사 속에서 자석이 들어간 약제를 복용한 사례에 대한 기록을 문헌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Effects of Partial Substitution of CeO2 with M2O3 (M = Yb, Gd, Sm) on Electrical Degradation of Sc2O3 and CeO2 Co-doped ZrO2

  • Shin, Hyeong Cheol;Yu, Ji Haeng;Lim, Kyoung Tae;Lee, Hee Lak;Baik, Kyeong Ho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53권5호
    • /
    • pp.500-505
    • /
    • 2016
  • Scandia-stabilized zirconia co-doped with $CeO_2$ is a promising electrolyte for intermediate temperature SOFC, but still shows rapid degradation during a long-term operation. In this study, $CeO_2$ (1 mol%) as a stabilizer is partially substituted with lanthanum oxides ($M_2O_3$, M=Yb, Gd, Sm) to stabilize a cubic phase and thus durability in reducing atmosphere. 0.5M0.5Ce10ScSZ electrolytes were prepared by solid state reaction and sintered at $1450^{\circ}C$ for 10 h to produce dense ceramic specimens. With addition of the lanthanum oxide, 0.5M0.5Ce10ScSZ showed lower degradation rates than 1Ce10ScSZ. Since $Gd_2O_3$ showed the highest ionic conductivity among the co-dopants, an electrolyte-supported cell with 0.5Gd0.5Ce10ScSZ was prepared to compare its long-term performance with that of 1Ce10ScSZ-based cell. Maximum power density of 0.5Gd0.5Ce10ScSZ-based cell was degraded by about 2.3% after 250 h, which was much lower than 1Ce10ScSZ-based cell (4.2%).

유근피 아세톤 추출물의 항산화 및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 (Anti-oxidative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acetone extract of the cortex of Ulmus pumila L.)

  • 인만진;김동청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9권2호
    • /
    • pp.133-136
    • /
    • 2016
  • 유근피 아세톤 추출물의 항산화 및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을 확인하였다. 유근피 아세톤 추출물의 농도에 비례하여 유리라디칼 소거활성($EC_{50}=36.7{\mu}g/mL$)과 환원력($EC_{50}=53.2{\mu}g/mL$)이 증가하였다. 유근피 아세톤 추출물은 정상 세포인 인체 배아 폐상피세포(L132)에는 독성이 낮으면서 농도에 비례하여 인체 폐암세포(A549, $GI_{50}=74.3{\mu}g/mL$)와 대장암세포(SNU-C4, $GI_{50}=92.8{\mu}g/mL$)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Leuconostoc mesenteroides를 이용한 브로콜리 발효물에 의한 Clostridium difficile의 생육 제어 (Growth Inhibition of Clostridium difficile by Fermented Broccoli with Leuconostoc mesenteroides)

  • 이영덕;문기성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531-53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김치로부터 L. mesenteroides CJNU0041을 분리하여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동정하였으며, ${\beta}$-glucosidase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L. mesenteroides CJNU0041를 이용한 브로콜리 발효 동안 생균수와 pH 및 ${\beta}$-glucosidase 활성에 대해 분석한 결과, 발효 시간은 48 hours이 적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발효 후 생물 전환이 일어남을 HPLC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리고, L. mesenteroides CJNU0041의 브로콜리 발효물에서 C. difficile에 대한 생육 억제 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분리된 신규 L. mesenteroides CJNU0041을 C. difficile의 생육 제어를 위한 유산균 제재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브로콜리 발효물도 다양한 식품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토양 재활용을 위한 통계적 분석의 PAHs 농도 예측 (Prediction of PAHs Concentration using Statistical Analysis for Soil Recycling)

  • 김종오;이만승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6권4호
    • /
    • pp.56-6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토양내 BaA 농도로부터 BaP, DahA와 ${\Sigma}PAH$의 농도 예측식 개발과 토양 재활용을 위하여 통계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높은 상관성($R^2$ > 0.90)과 BaA와 BaP(또는 DahA) 농도 사이에 밀접한 연관성을 보였다. 또한 개발된 회귀식을 다른 검증 연구에 적용한 결과 유사한 예측값을 얻었다. 통계적 분석에서 BaA가 BaP 예측에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PAHs 예측에 중요한 인자로 여겨진다. 이들 예측식을 적용 할 경우 BaA 농도만을 이용하여 평균적인 BaP, DahA나 ${\Sigma}PAH$ 농도를 빨리 계산 할 수 있다.

스퍼터링시 수소첨가가 MIS소자용 AIN절연박막의 전기적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ydrogen addition during sputtering on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AIN insulating films for MIS device application)

  • 권정열;이환철;이헌용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59-69
    • /
    • 1999
  • 반응성 스퍼터링법으로 AIN 박막을 증착하여 Al/AlN/Si구조의 MIS소자용 절연박막으로서의 응용가능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기판온도 $300^{\circ}C$, RF power 150W, 스퍼터링 압력 5mTorr, 아르곤과 질소 가스유량비 1:1 의 조건에서 5%의 수소가스를 부가적으로 첨가해 주는 시기에 따른 AIN박막의 표면형상변화, I-V특성, C-V특성, 조성을 조사하였다. 수소첨가에 따라 증착속도는 상당히 감소하였으나 표면형상 및 거칠기는 크게 변하지 않았다. I-V특성에서는 AIN 박막 증착시 초기 20분간 수소첨가를 시킨 경우가 후기 20분간 수소첨가를 시킨 경우보다 보다 우수한 절연특성을 보였다. 또한 C-V특성에서도 수소가 첨가됨에 따라 플랫밴드전압이 매우 낮아졌으며, 초기 20분간 수소첨가를 시킨 경우는 히스테리시스를 거의 보이지 않았으나, 후기 20분간 수소첨가를 시킨 경우는 상당한 히스테리시스를 보였다. AES를 이용한 조성분석을 통해 수소가스가 첨가됨에 따라 AIN박막내의 산소농도가 낮아진다는 사설을 발견하였고, 이에 따라 박막의 절연특성 및 C-V특성이 향상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 PDF

전기방사법으로 제조된 Ag 나노섬유의 투명전극 특성 (Characteristics of Electrospun Ag Nanofibers for Transparent Electrodes)

  • 현재영;최정미;박윤선;강지훈;석중현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56-161
    • /
    • 2013
  • 연속적인 1차원의 나노섬유를 제작하는데 빠르고 효과적인 방법인 전기방사법을 이용하여 Ag 나노섬유로 이루어진 투명전극을 제작하고 그 특성을 측정하였다. 전기방사를 통해 제조된 Ag 나노섬유는 큰 종횡비를 갖게 되며 열처리를 통해 생성된 섬유사이의 fused junction이 접촉저항을 낮추어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킨다. Ag/고분자 용액을 졸-겔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후 glass 기판위에 방사시켜 Ag/고분자 나노섬유 구조체를 제작하고 $200{\sim}500^{\circ}C$, 2시간 열처리하여 고분자가 일정부분 제거되고 전도성이 향상된 Ag 나노섬유 투명전극을 제조하였다. Ag 나노섬유의 모폴로지를 FE-SEM을 통해 확인하였고 Ag 나노섬유 투명전극의 투과도와 면저항을 UV-vis-NIR spectroscopy와 I-V특성 측정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투과도 83%에서 면저항 $250{\Omega}/sq$의 투명전극을 제작하였으며 전도성필름에 적합한 수준이다. Ag 나노섬유로 이루어진 투명 전극은 전기적, 광학적,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여 차세대 유연 디스플레이에 적용 가능성을 보여준다.

DLC 필름의 마찰마모 특성의 습도 의존성에 대한 연구 (Humidity Dependence of Tribological Behavior of DLC Films)

  • 박세준;이광렬;이승철;고대홍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87-293
    • /
    • 2006
  • R.F. PACVD법을 이용하여, 벤젠을 반응기체로 사용하여 순수한 DLC필름을 증착하였다. DLC필름의 마찰마모특성은 시험 환경을 제어하기 위하여 챔버로 고립된 ball-on-disk형식의 마모시험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대습도에 따른 필름의 마찰특성을 관찰하기 위하여, 상압에서 챔버 내의 습도를 0-90%로 조절하면서 관찰하였다. 그리고 상대면 물질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스틸볼과 함께 DLC필름이 코팅된 스틸볼을 사용하였다. 스틸볼을 사용시 습도가 0%에서 90%로 증가함에 따라 마찰계수가 0.025에서 0.2로 크게 증가하였다. Ferich debris가 생성되지 않는 DLC가 코팅된 볼을 사용하여 실험한 경우에, 마찰계수는 상대 습도가 90%인 경우에도 0.08정도로, 스틸볼을 사용하였을 경우보다 훨씬 더 낮은 습도의존성을 보여주었다. 스틸볼 사용시 나타나는 DLC필름의 마찰계수의 큰 습도의존성은 습도가 증가함에 따라 debris의 크기 증가와 함께 스틸볼의 마모로 인한 Fe-rich debris의 생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스틸볼을 사용하여 90%의 습도에서 마모시험을 하는 중간에 습도를 0%로 변화시키며 관찰한 결과, 마찰계수 값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Fe-rich debris가 마찰계수에 미치는 영향은 debris내의 Fe원소가 습도에 매우 민감한 흑연상의 전이층을 형성시킨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ACQ 방부처리목재로부터 용탈된 구리에 의한 토양오염 평가 (Evaluation of Soil Contamination by Copper Depleted from ACQ-Treated Wood)

  • 나종범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4호
    • /
    • pp.504-510
    • /
    • 2015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사용되는 ACQ 방부처리목재로부터 토양으로 용탈된 구리에 의해 발생되는 토양오염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야외시험장에서 3년 동안 노출된 방부처리목재 주변의 토양을 분석하여 구리의 용탈량 및 용탈된 구리의 이동범위를 산정하였으며, 전남 및 경남에서 ACQ 방부처리목재가 사용된 데크 주변의 토양을 분석하여 구리에 의한 토양오염 정도를 평가하였다. 야외노출시험은 방부처리목재의 횡단면에서 용탈되는 구리의 양이 목재의 측면에서 용탈되는 구리의 양보다 1.5배 이상 높다는 것과 토양 내에서의 구리의 이동이 매우 제한적인 것을 보여주었다. 근린공원에 설치된 데크 기둥 주변의 토양 분석은 방부처리목재로부터 10 cm 이내의 토양 내 구리 함유량이 대부분 2지역 토양오염우려기준인 500 mg/kg을 초과하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야외노출시험의 경우 깊이 10 cm 이내의 토양에서 구리의 분포범위가 사용 중인 데크 기둥 주변의 토양에서보다 훨씬 넓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야외노출시험에 사용된 방부처리목재의 약제보유량이 데크 기둥의 경우보다 두 배 이상 높은 것에서 기인한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