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ster Batch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34초

에폭시/몬모릴로나이트 나노복합재료의 유전특성 평가 (Evaluation on Dielectric Properties of Epoxy/Montmorillonite Nanocomposites)

  • 장용균;김우년;김준경;박민;윤호규
    • 폴리머
    • /
    • 제30권6호
    • /
    • pp.492-497
    • /
    • 2006
  • 에폭시/몬모릴로나이트(MMT) master batch의 혼합온도를 달리하여 복합재료를 제조하였으며, MMT의 박리에 의한 복합재료의 유전특성을 비교하였다. MMT 함량이 낮은 복합재료에서 MMT의 박리가 지배적으로 발생하였으며, 고함량의 MMT 복합재료에서는 master batch 제조온도가 증가할수록 MMT의 층간거리가 증가하였다. 박리가 지배적인 저함량의 MMT 복합재료에서는 적절한 후경화 조건에 의해 유리전이온도가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MMT의 박리가 효과적으로 발생한 복합재료에서는 에폭시 분자구조의 배향분극이 억제됨으로써 유전율과 유전손실이 감소하였으며, 에폭시/MMT master batch의 혼합온도 및 시간, 그리고 복합재료의 후경화 조건에 따라서 복합재료의 유전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탄소 마스터배치를 위한 새로운 엔지니어링 기술 (New Engineering Techniques for Carbon Master Batch)

  • 표상길;강창기;김기석;박수진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8권2호
    • /
    • pp.125-132
    • /
    • 2013
  • 본 고에서는 카본블랙 및 다양한 유기화합물의 혼합에 의해 제조되는 카본 마스터배치의 제조를 위한 신규 엔지니어링 시스템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자동차 타이어와 일상 생활용품에서 각종 산업용품의 소재로 사용되는 고분자 수지는 색상 및 물성 조절을 위하여 대부분 충전제를 사용하고 있으며, 충전제로 카본블랙 또는 실리카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국내 부품소재산업은 원재료의 배합 등 재료개발의 측면에서는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어 냈다. 하지만 제품의 대량생산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인 엔지니어링 기술분야는 더딘 기술발전과 높은 해외의존도로 인해 산업적 측면에서 빠르게 성장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카본 마스터배치 생산을 위한 제조 시스템으로 최근 국내 기업에서 개발된 신규 엔지니어링 기술에 대한 소개를 하고자 한다.

개질 Polypropylene의 혼화성과 표백 (Miscibility and Bleaching of Modified Polypropylene)

  • Cho, Kyu-Min;Cho, In-Sul;Chang, Du-Sang;Lee, Eun-Woo;Kim, Oh-Nyen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33-41
    • /
    • 1998
  • 이 연구는 염색성이 열악한 polypropylene(PP) 섬유의 염색성을 개선하기 위해 추진한 것이다. 연구목적에 따라서 PP 섬유를 개질하기 위해 1차 cellulosic유도체를 추출하고 이 유도체와 PP를 9:1의 혼합비율로 섞어 master batch를 만든 다음 master batch 17%와 PP를 blending하여 개질 PP를 만들었다. 이렇게 제조된 개질 PP는 혼합된 변성 cellulosic polymer의 영향으로 착색이 심하게 되어 있으므로 이를 표백하는 것을 이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blend한 개질 PP(Grand P)의 혼화성이 우수하였고, 아염소산나트륨에 표백적성을 가지며, 표백의 최적조건은 표백제의 농도가 0.1% $NaClO_2$, 표백온도 $70^\circ{C}$, 표백시간 30분이었다.

  • PDF

액상환원법과 알코올환원법으로 제조한 은나노입자특성 비교에 관한 연구 (Comparison Study of the Synthesized Silver Nano-particles using Liquid Phase Reduction Method and Alcohol Reduction Process)

  • 손은종;황영구;신유식;정성훈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46-153
    • /
    • 2011
  • Silver nano-particles have been synthesized by liquid phase reduction method and alcohol reduction process. Silver nano-particles of the size 30 ~ 40 nm were formed successfully by alcohol reduction process. The formation, structure, morphology and size of silver nano-particles have been studied using FE-SEM, TEM, XRD, UV-visible spectroscopy. In particular high dispersion stability of the synthesized silver nano-particles could be obtained by PVP binding. Antibacterial activity of Ag/PET master batch sample made from its nano-silver particles showed excellent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 aureus and E. coli.

Characterization and Evaluation of Porous Vermiculite Containing Polyethylene Composites Film

  • Lee, Hye Sun;Chang, Jeong Ho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85-89
    • /
    • 2018
  • This work reported the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a freshness-keeping film prepared by composite of a porous ceramic material such as vermiculite and polyethylene polymer. The ceramic material was pretreated physically and chemically to control the specific surface areas and particle size. A high content master-batch was prepared using the pretreated vermiculite. The master-batch, which contained 30% ceramic material, was mixed with a polymer material to prepare a film containing 3% vermiculite. The oxygen permeability and various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evaluated for the prepared films. Compared to plain polyethylene film, the vermiculite loaded polyethylene film has a freshness maintenance property, indicating the creation of an improved film.

흡음재 폐기물의 재활용 방안 (Recycling of Sound Insulation Headliner Waste Material)

  • 홍영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3089-3095
    • /
    • 2013
  • 흡음재로 널리 사용되는 헤드라이너는 발포성 폴리우레탄(PU foam)과 유리섬유(Glass Fiber,GF) 로 구성된 복합재료로, 제품의 생산 공정을 거치는 동안 부산물 형태의 폐기물이 발생한다. 헤드라이너 폐기물에 대한 효과적인 재활용을 위해 헤드라이너 구성성분에 대한 분리공정이 중요한 문제점이다. 헤드라이너에 대한 열분석결과에 의하면 중량의 감량 비율은 $400^{\circ}C$까지의 온도범위에서는 발포성 폴리우레탄 > 비발포성 폴리우레탄 > 부직포 > 1st layer > 유리섬유의 순으로 감량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HDPE, LLDPE, PP 그리고 Master Batch 에 첨가제 형태로 폐 스크랩 첨가하여 sheet를 제작한 후 DSC 특성을 분석한 결과 PP를 제외한 다른 물질들에서는 결정화에 따른 발열전이가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 하였다.

PP/talc 컴파운드의 talc 분산성 및 유변학적 특성 연구 (Study on the talc dispersion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PP/talc compound)

  • 유영철;김연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4261-4266
    • /
    • 2011
  •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talc 컴파운드를 talc의 조성을 20wt%로 하여 마스터뱃취(master-batch, MB)와 사출기를 이용한 직접 제조법으로 각각 제조하였다. MB는 talc 함량을 50wt%로 하여 소형 혼합기(mini compounder)로 $200^{\circ}C$에서 제조하였다. SEM-EDS를 이용하여 PP/talc 컴파운드의 talc 분산정도를 평가하였다. MB를 이용하여 제조한 컴파운드의 talc 분산성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PP/talc 컴파운드의 유변학적 특성을 동적유변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MB를 이용한 MB-PP 컴파운드가 직접 제조한 컴파운드보다 shear thinning과 탄성특성이 증가하였다. G'-G" plot의 기울기 변화로부터 talc 분산성 정도를 확인하였고, 탄성특성 증가를 확인하기 위해 Van Gurp-Palmen 분석을 이용하였다.

OPR1000 발전소의 핵연료 주기비분석을 통한 최적 배취 크기와 핵연료 농축도 결정 (Determination of Optimum Batch Size and Fuel Enrichment for OPR1000 NPP Based on Nuclear Fuel Cycle Cost Analysis)

  • 조성주;하창주
    • 에너지공학
    • /
    • 제23권4호
    • /
    • pp.256-262
    • /
    • 2014
  • 국내 원자력발전소의 주기길이는 전력회사의 전력수급계획에 따라 결정된다. 주기길이는 노심에 장전할 신연료 다발수와 핵연료 농축도를 조정하여 결정할 수 있다. 전력회사에서는 특정 주기길이를 만족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신연료 다발수를 정한 후 핵연료 농축도를 결정하는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의 경우 같은 주기길이를 갖는 다른 신연료 다발수와 핵연료 농축도의 조합들 보다 핵연료 주기비 측면에서 가장 경제적인지 판단할 수가 없다. 따라서 본 분석에서는 상용 노심설계 코드인 CASMO/MASTER 코드를 사용하여 OPR1000(Optimized Power Reactor 1000) 발전소를 대상으로 신연료 다발수와 핵연료 농축도 조합에 대한 노심 연소계산을 수행하여 동일한 주기길이를 갖는 최적의 신연료 다발수와 핵연료 농축도 조합은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천이노심계산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확실도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심 특성인자들이 변하지 않는 평형노심(equilibrium cycle)까지 계산을 수행하여 이때의 계산결과를 핵연료 주기비 계산에 사용하였다. 또한 평준화 핵연료 주기비(levelized fuel cycle cost) 계산에 있어 중요한 인자인 할인율(discount rate)에 대해서 국내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의 실정에도 적용 가능하도록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평준화 핵연료 주기비(levelized fuel cycle cost) 평가 결과 할인율(discount rate)이 낮은 경우 신연료 다발수는 줄이고 대신 핵연료 농축도를 높이는 조합을 통해 특정 주기길이를 만족시키는 방법이 경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할인율(discount rate)이 높은 경우는 핵연료 농축도는 낮추고 신연료 다발수를 늘리는 조합을 통해 특정 주기길이를 만족시키는 방법이 경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게르마늄 함유 감성의류용 직물의 원적외선 방출 특성 (Far-Infrared Emission Characteristics of Germanium Included Fabrics for Emotional Garment)

  • 김현아;김승진
    • 감성과학
    • /
    • 제13권4호
    • /
    • pp.687-69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원적외선 방출 직불 소재를 개발하기 위해서 나노사이즈 게르마늄 업자와 PET chip을 마스터 배치 칩으로 제조하고 이를 PET와 용융 방사하여 sheath-core conjugate 복합사를 제조하여 이들의 물성과 이들 복합사로 제조한 직물의 원적외선 방출특성을 측정 분석하였다. 또한 게르마늄을 함유한 필라멘트와 직물의 물성을 측정하고 이들 물성이 사가공 공정의 중요공정 인자인 벨트각과 사속비 등의 공정인자와 직물 설계에서의 경사와 위사의 밀도에 관계하는 직물 밀도 계수 등의 설계 조건에 의해 직물 역학 특성과 직물 촉감등의 물성이 어떠한 변화를 가져 오는가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최적 방사조건에 의한 core부에 게르마늄이 함유된 sheath-core형 PET복합사를 제조하였으며 이들의 절단강신도 모두 일반 PET계(系)의 물성치를 보였으며 DTY는 제직성에 문제가 없는 강신도를 보였고 습건열 수축률은 일반 PET사 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게르마늄 함유 직물의 원적외선 방사강도는 $5{\sim}20{\mu}m$ 파장 영역에서 $3.53{\times}10^2W/m^2$을 보였으며 방사율은 0.874를 보였다. 그리고 최적 사가공 공정 조건 설정과 최적 직물밀도 설계로 직물의 역학 특성치와 촉감 특성의 저하를 막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혼류 조립 공장을 위한 계층적 생산 계획 및 통제 시스템 개발 - 냉장고 공장 사례 (Development of Hierarchical Production Planning and Control System for Mixed-Model Assembly Manufacture-an Application in Refrigerator Factory)

  • 신현준
    • 산업공학
    • /
    • 제19권1호
    • /
    • pp.34-42
    • /
    • 2006
  • This paper presents a scheme for a hierarchical production scheduling and control system for a refrigerator factory with mixed model assembly lines. The setting of the factory is as follows. There are three mixed-model assembly lines called main line A, B and C and two batch lines that supply parts to the main lines. For each of the main lines, three work-centers are dedicated to them. The sub-lines and work-centers produce parts in batch type. An incoming production order from the master planner is characterized by its product type, amount, and due date. Under this situation, the proposed scheme has several features to schedule and control the above mentioned factory; 1) select the starting time and the place (assembly line) for an order processing, 2) devise a way to control orders to be processed as scheduled, and 3) reschedule orders when something unexpected happen. Finally, this paper provides a case study where the proposed scheme is applied 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