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ssive Open Online Courses(MOOCs)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3초

문헌정보학 교육의 MOOCs 활용 방안 연구 (A Study of Ways to Utilize MOOCs in LIS Education)

  • 장윤금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63-282
    • /
    • 2015
  • 문헌정보학 분야에서의 온라인교육은 그동안 대학 교육과정 혹은 대학간 컨소시엄을 통한 협력형 온라인 프로그램을 통해 지속적으로 확산되어 왔다. 하지만 최근 몇 년간 진행된 MOOCs의 출현과 발전은 전통적인 온라인교육과는 달리 수강 인원에 제한이 없이(Massive), 모든 사람이(Open), 무료로 온라인(Online) 환경에서 학습할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강좌(Courses)란 점에서 미래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부각되고 있다. 문헌정보학 분야도 예외는 아니며 해외에서는 iSchool 대학을 중심으로 주요 문헌정보학 전공교과목을 MOOCs로 개설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문헌정보학 교육에서의 MOOCs 활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국내 A 대학 문헌정보학과 전공 기초 교과목에 해외의 문헌정보학 MOOCs 강좌의 일부를 활용함으로써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수강생을 대상으로 진행된 설문조사 및 포커스그룹 인터뷰 결과, 참가자들은 언어적 장벽은 있으나 MOOCs 수업 콘텐츠에 대한 흥미, 유용성 및 향후 다른 MOOCS 수강 의지에 모두 대체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에 MOOCs 활용방안에 대한 제언으로 교육적 가치 및 운영방식 확립, 학생들의 동기부여 및 문헌정보학 분야의 특성을 고려한 MOOCs 설계방안 마련 등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Exploring the Determinants of MOOCs continuance intention

  • Jo, Donghyuk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2권8호
    • /
    • pp.3992-4005
    • /
    • 2018
  • In our current information-based society in which knowledge is a fundamental asset to production, the capability to utilize information and produce knowledge with the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IT) has become essential to learning. Massive Open Online Courses (MOOCs) have recently been introduced in light of such changes and are recognized as an alternative to open education. MOOCs' capabilities are being acknowledged in lifelong education in terms of reeducation and knowledge sharing, and also in terms of improving teaching quality, and improving university students' levels of creativity and integrated thinking by supporting high-level content and teaching.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an extended research model that combines information system (IS) continuance and task-technology fit models. Our study researches previous literature, revealing factors of continuous use after accepting MOOCs from the learner's perspective, and analyzes the model empirically. The ideal environment for MOOCs learners is evaluated, and a strategic approach to the successful settlement and diffusion of MOOCs is presented based on this study's findings.

Towards a UTAUT Model for Acceptance of MOOCs

  • Sara Jeza Alotaibi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3권11호
    • /
    • pp.117-127
    • /
    • 2023
  • In many training institutions, the major advance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is having a profound impact on the way in which instructors teach and students learn, as well as how the two interact. The training process is continuing with the goal of enhancing the calibre of instruction and engagement. Top colleges and institutions have more recently developed a variety of Massive Open Online Courses (MOOC) systems centred on the development of new educational offering ways. These have not only captured the interest of students and scholars in the field of higher education, but also that of staff members in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s. This study uses a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UTAUT) model to assess the top MOOC providers and pinpoint the key elements influencing learner acceptance of MOOCs in Saudi Arabian training. A total of 382 government trainees in Saudi Arabia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the results of which underwent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This study identifies the key elements influencing Saudi government employee trainees' intentions to use MOOCs, with the findings indicating that the suggested model can account for 86.2% of user behaviour and 88.5% of user intentions.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Flipped Learning 기회인가 위협인가? (A New Paradigm for Education: Is Flipped Learning a Threat or an Opportunity?)

  • 임진혁
    • 의학교육논단
    • /
    • 제16권3호
    • /
    • pp.132-140
    • /
    • 2014
  • Higher education is under unprecedented pressure for quality improvement and cost containment/reduction due to global competition and ever-increasing tuition costs. These twin challenges require an unconventional approach, and massive open online courses (MOOCs) and flipped learning have recently emerged as two promising educational alternatives not only to address the current problems but also to direct the future of education. This paper discusses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for education, MOOCs, and flipped learning as learning alternatives, the relationship between MOOCs and flipped learning, and course redesign for the implementation of flipped learning. The case of Ulsan National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UNIST) is also discussed for benchmarking purposes since it has been pioneering an innovative educational methodology for teaching and learning IT-enabled active learning methods from its inception in 2009. It has redesigned almost 70 courses (20% of all the courses to offer) for flipped learning. The objectives of UNIST's educational experiment are three-fold: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for students, improving teaching productivity for the faculty, and containing/reducing education costs for the university.

iSchool 대학의 발전, 교육 및 연구 동향 분석 (An Analysis of the Growth, Education and Academic Research Trends of iSchools)

  • 장윤금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369-38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2005년 iSchool Caucus(iCaucus) 결성 이후 현재 전 세계 16개국 52개 대학으로 확산된 iSchool 운동의 발전과 이로 인한 문헌정보학 분야의 교육 및 연구 변화를 조사하고 미래의 문헌정보학 교육 및 연구 동향을 전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iSchool 대학 중 ALA 인증을 받은 21개 대학을 King(2006)이 제시한 iSchool 대학의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각 그룹의 시대별 발전형태 및 교과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아울러 2012년부터 북미를 중심으로 급속히 전파되고 있는 오픈공개강좌교육(Massive Open Online Courses: MOOCs)의 iSchool 교육과정에의 적용사례를 통해 향후 문헌정보학 교육에 MOOCs의 파급 가능성에 대해 진단해보고자 하였다.

SWOT 분석에 기반한 한국형 MOOCs 설계요소 연구 (A SWOT Analysis of Design Elements of Korean MOOCs)

  • 임걸;김미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6호
    • /
    • pp.615-624
    • /
    • 2014
  • 최근 MOOCs(Massive Open Online Courses)는 강의공개운동의 양적, 질적 팽창을 주도하며 고등교육 혁신의 새로운 대안으로 자리잡고 있다. KOCW를 통하여 강의공개의 이상을 실천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도 MOOCs 발전에 따른 KOCW의 진화가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미국을 기반으로 성장하고 있는 MOOCs가 국내 여건이 고려되지 않은 상태로 이식되거나 국내 대학강의 공개가 OCW 환경에서 더 이상 진화하지 못할 경우, 그 과정에서 갈등과 저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교육의 대중화 및 개별화 등의 이상 구현의 기회를 제공하는 MOOC의 장점을 수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최신의 MOOCs 경향을 수용하는 과정에 있어 국내 환경이 고려된 분야별 대응 및 발전전략을 수립하는 것은 고등교육 발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SWOT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의 배경을 살펴보고, 이 결과에 근거하여 한국형 MOOCs 개발시 요구되는 설계요소들을 연구하였다.

Toward Serving MOOC Learners Globally: Focusing on Intent to Continue Using K-MOOCs

  • Kim, Hannah;Lee, Jeongmi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6권1호
    • /
    • pp.65-74
    • /
    • 2020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intent to continue using Massive Open Online Courses (MOOCs) and its determinants based on the information systems continuance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 A total of 156 students from five different universities in Korea completed an online survey. An analysis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vealed that college students' intent to continue using K-MOOC is partially supported by the model. Although perceived usefulness and confirmation are strong determinants of satisfaction and intent to continue using information systems in general, confirmation was the only significant predictor of satisfaction, the only significant predictor of intent to continue to use K-MOOC. Written responses on the survey were used to interpret the results. Findings indicate significant effects of confirmation on perceived usefulness, of confirmation on satisfaction, and of satisfaction on intent and insignificant effects of perceived usefulness on satisfaction and perceived usefulness on intent to continue. Substantial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s are discussed.

MOOC 국내연구 동향분석: 2010년~2018년을 중심으로 (Domestic Research Trends on MOOCs: From 2010 to 2018)

  • 이정민;오보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82-90
    • /
    • 2019
  •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MOOC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MOOC를 활용한 교육 및 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대상으로 선정된 연구논문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70편으로 분석결과, 국내에서 MOOC에 관련된 주제로 진행된 연구논문은 2012년부터 시작되어 2018년까지 매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70편의 연구논문 중 연구대상을 명확히 밝힌 연구는 31편이었으며 그 중 대부분의 연구가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방법의 경우 조사연구(27.1%)가 가장 많았으며 주요변인은 독립변인의 경우 학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지각된 유용성 및 용이성, 매개변인의 경우 만족도, 지각된 용이성 및 유용성, 종속변인의 경우 사용의도와 지속사용의향이 가장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MOOC와 관련된 주제로 진행된 연구들의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MOOC의 교육적 활용 및 연구에 대한 방향성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직업준비를 위한 전략적 학습지원 교육플랫폼의 설계 (Design of educational platform for strategic job plannning)

  • 정명희;정명선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72-275
    • /
    • 2022
  • 현재 다양한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는 MOOCs-Massive Open Online Courses와 같은 대규모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접속해 학습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이 갖추어졌다. 이를 기반으로 온라인 강의, 재택 학습의 비중이 더욱 커지고 있으며 교육적 성과를 위해 포트폴리오나 경험·체험 기반의 학습, 현장 활동, 팀 프로젝트 기반의 집단학습도 활발히 이루어지는 중이다. 현재 이수시간 혹은 학점 단위로 핵심기술에 집중된 나노(Nano) 혹은 마이크로디그리(microdegree)에 대한 관심도가 많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전략적 집중교육은 교육의 지속성과 효율성 측면에서 효과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신기술에 의한 산업구조의 재편에 따른 직업·직무의 변화가 큰 시대에 스마트 모빌리티, 빅데이터, 인공지능과 같은 전문적인 신기술 분야의 집중교육은 취업에 훨씬 도움이 되고 있어 평생학습 방식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본 논문은 온라인 학습시대에 개인 맞춤형 마이크로디그리 방식의 목적 학습을 효율적,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교육플랫폼 설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

Validation of a tool evaluating MOOCs for higher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service

  • Sung-Wan, Ki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3호
    • /
    • pp.177-187
    • /
    • 2023
  • 이 연구는 교육서비스 관점에서 MOOC의 질 평가를 위한 잠재모형을 도출하고 신뢰롭고 타당한 MOOC 질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 연구결과에 기초해서, MOOC 평가 잠재모형(4개 요인과 8개 하위요인)을 도출하였다. 이 잠재모형을 토대로 18개 예비 평가문항을 개발한 후, 대학 원격수업 경험이 있는 학습자 138명을 대상으로 문항중요도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136개의 자료를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수집된 데이터에서 4개의 요인(체제적 학습 경험, 가치 경험, 가치 경험의 공동 창조, 고차원 학습경험)과 7개의 하위요인(실제성, 신뢰성, 확신성, 반응성, 조직환경 체계성, 프로그램 체계성, 학습자 지지의 체계성, 공동주도성)으로 추출되었다. 신뢰도 분석결과, 선정된 문항들은 각 척도를 구성하는 문항으로서 높은 내적합치도를 보였다. MOOC에 대한 평가도구는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