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9.19.07.082

Domestic Research Trends on MOOCs: From 2010 to 2018  

Lee, Jeongmin (이화여자대학교)
Oh, Bora (이화여자대학교)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rends of domestic research on MOOCs(Massive Open Online Courses) for the last 10 years and provides implications for research on education and learning using MOOC. A total of 70 research papers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As a result, the research papers on MOOC in Korea have been increasing from 2012 to 2018. Of the 70 research papers, 31 were clearly indicated research subjects, and most of the research was conducted for university students. Regarding the research type, survey research(27.1%) were the most common. The predictors used in the study of MOOCs ar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for independent variables, satisfaction,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for the mediators, usage intention and persistence for dependent variables were frequently used. Further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or the study.
Keywords
Massive Online Open Courses; Research Trends; Domestic Research; K-MOOC; Online Learni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선영, "대학 교육의 ICT 활용 동향: 온라인 대중 공개 강좌 (MOOCs),"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812-813, 2013.
2 최근호, "MOOCs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한국디자인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812-813, 2013.
3 이정민, 박현경, "국내 로봇활용 SW 교육에 대한 연구 동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0호, pp.190-205, 2017.   DOI
4 김건희, 허명진, 박병도, "자기조절력 관련 연구 동향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제54권, 제2호, pp.425-447, 2015.
5 민혜리, 금선영, "묵 (MOOCs) 에 대한 한국 대학교육 전문가의 인식 조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7호, pp.222-235, 2017.   DOI
6 박태정, 나일주, "한국 대학생의 K-MOOC 학습 경험에 대한 내용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2호, pp.446-457, 2016.   DOI
7 T. Atapattu and K. Falkner, "Impact of Lecturer's Discourse for Students' Video Engagement: Video Learning Analytics Case Study of MOOCs," Journal of Learning Analytics, Vol.5, No.3, pp.182-197, 2018.   DOI
8 J. C. De Gagne, K. Manturuk, H. K. Park, J. L. Conklin, N. W. Roth, B. E. Hook, J. M. Kulka, "Cyberincivility in the Massive Open Online Course Learning Environment: Data-Mining Study," JMIR medical education, Vol.4, No.2, 2018.
9 O. Poquet, V. Kovanovic, P. de Vries, T. Hennis, S. Joksimovic, D. Gasevic, and S. Dawson, "Social presence in massive open online courses," International Review of Research in Open and Distributed Learning, Vol.19, No.3, 2018.   DOI
10 강영민, 박주호, 이효진, "성인학습자의 K-MOOC 참여 및 성공적 이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교육학연구, 제56권, 제1호, pp.85-105, 2019.
11 강승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서 대중 공개 온라인 강좌(MOOCs) 개발과 운영 실제-"First Step Korean" 사례를 중심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제44권, pp.1-22, 2016.
12 한상미, 이복자, 최유경, 조하민, "한국어 교육을 위한 대중 공개 온라인 강좌 (MOOC) 개발의 원리와 실제-Learn to Speak Korean 1사례를 중심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제45권, pp.357-390, 2016.
13 한상미, "대중 공개 온라인 강좌 (MOOCs) 를 위한 한국어 교재 개작 원리 연구-'Learn to Speak Korean 1'사례를 중심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제48권, pp.107-136, 2018.
14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보고서, 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17.
15 이병현, "미국 MOOC 최근 운영동향을 통해 본 MOOC 역할과 K-MOOC 운영에 대한 시사점,"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23권, 제2호, pp.227-251, 2017.
16 Z. Namestovski, L. Major, G. Molnar, Z. Szuts, P. Esztelecki, and G. Korosi, "External Motivation, the Key to Success in the MOOCs Framework," Acta Polytechnica Hungarica, Vol.15, No.6, pp.125-142, 2018.
17 박혜진, 차승봉, "대학생의 MOOC 사용의도에 대한 개인 혁신성, 학업적 자기효능감, MOOC 학업관련성, 지각된 유용성 간의 구조적 관계 탐색," 교육연구논총, 제39권, 제3호, pp.55-81, 2018.
18 T. Hulin, "Diffusion of digital culture," 에피스테메, 제17호, pp.135-150, 2017.
19 주영주, 김동심, "K-MOOC의 만족도와 사용의도 영향변인 규명 연구," 평생학습사회, 제13권, 제1호, pp.185-207, 2017.
20 기영화, "글로벌 MOOC의 학습형태와 한국형온라인 공개강좌 (K-MOOC)의 학습경험분석," 교육문화연구, 제24권, 제3호, pp.65-85, 2018.
21 주영주, 김동심, "K-MOOC 학점인정 운영의 성과 영향변인 연구," 교육과학연구, 제48권, 제2호, pp.95-113, 2017.
22 배예선, 전우천, "온라인 공개 강좌 MOOC 의 현황 분석 및 개선안 연구,"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제18권, 제12호, pp.3005-3012, 2014.   DOI
23 정한호, "MOOC 수강에 대한 대학생의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기술수용모형, 기대일치모형, 과제기술적합모형을 기반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23권, 제2호, pp.315-343, 2017.
24 서수웅, "온라인 교육서비스 경험 데이터의 시각화 방안,"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제14권, 제4호, pp.167-178, 2015.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