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san city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7초

경상남도 남해안 연안습지의 생태적 가치평가 (Evaluation of Ecological Values of the Southern Coastal Wetlands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Korea)

  • 박경훈;유주한;송봉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95-405
    • /
    • 2010
  • 본 연구는 경상남도의 중요한 연안습지를 대상으로 생태적 측면에서의 가치평가를 실시하여 연안습지의 무분별한 개발과 훼손을 최소화 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연안습지 평가를 위한 현지조사 결과, 저서생물은 통영시 용남면 동달리, 화삼리의 종수가 가장 많았고 거제시 거제면 외간리, 내간리 일대는 개체수와 생체량이 가장 많았다. 종다양성지수는 고성군 삼산면 미룡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염생식물의 표징종과 수반종이 가장 많이 출현한 지역은 마산시 진전면 이명리와 거제시 거제면 외간리, 내간리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현지조사 결과를 토대로 연안습지의 생태적 가치를 5개 등급으로 평가한 결과, 퇴적환경은 고성군 회화면 당항리, 고성군 삼산면 미룡리, 사천시 곤양면 구호리, 하동군 진교면 술상리, 남해군 이동면 석평리가 II등급으로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저서생물은 마산시 진전면 이명리, 통영시 용남면 동달리, 거제시 거제면 외간리, 내간리가 II등급, 염생식물은 마산시 진전면 이명리와 거제시 거제면 외간리, 내간리가 II등급으로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평가요인별 평균값을 기준으로 한 최종적인 평가등급은 마산시 진전면 이명리, 거제시 거제면 외간리, 내간리가 가장 높은 II등급으로 나타났고 남해군 이동면 석평리가 IV등급으로 가장 낮았다. 향후 연안습지 생태계의 지속적인 조사와 장기적인 모니터링, 그리 연안습지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GIS기반 연안습지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마산만에서의 담수 유입시 오염물의 이송 및 확산 (Advection and Diffusion of Pollutant Inflow of Freshwater in Masan Bay)

  • 유민욱;김영도;류시완;서일원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795-798
    • /
    • 2008
  • 하구는 담수와 해수가 만나 넓은 갯벌과 기수역을 형성하여 각종 생물의 서식지이자 어류의 산란지로 이용되는 생태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마산만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폐쇄성 수역으로 진해만의 가장 안쪽에 위치하며 외해로부터 9km 들어와 있으며, 만 입구의 폭이 1 km 미만으로 해류의 이동의 거의 없는 정체성 수역이다. 마산만산은 인근 마산, 창원 지역에 대규모 공단이 위치하며 100만에 이르는 인구로 인해 많은 오염물질이 유입되어 만의 오염을 가중 시키고 있다. 정체성 수역인 마산만의 특성상 유입되는 오염물은 외해로 배출되지 못하고 만 내부에 축적되어 오염을 가중 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마산만 최내측에 위치한 창원천과 남천의 유입시 발생되는 수리적 거동을 2차원 유한요소 모형인 RMA-2모형 이용 모의하고 오염물질의 이송 및 확산을 RMA-4 모형을 이용하여 모의하였다. 또한 마산만 조위관측소의 조위자료를 활용하여 조위의 영향을 반영하였다.

  • PDF

馬山灣의 海洋汚染이 底棲動物群集에 미치는 影響 (EFFECTS OF THE POLLUTION ON THE BENTHIC MACROFAUNA IN MASAN BAY, KOREA)

  • 홍재상;이재학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69-179
    • /
    • 1983
  • 1980년 8월부터 1981년 5월까지 경남 마산만그 인접해역의 저서동물의 군집 생태학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모두 5개 조사 정점에서 improved van Veen grab 으로 계절별로 채집한 저서동물은 총 65종이었으며, 그 중 다모환충류가 34종으로 가장 많았고, 개체수 분석에서도 전체 개체수 608개체의 72%에 달하여 種數나 個體數에 있어서 우점 동물 분류므로 나타났다. 출현종의 수 및 개체수는 마산만 외해에서부터 내만으로 들어갈수록 감소하고 있었으며, 특히 마산만의 안쪽에 위치 하고 있는 정점인 경우 비교적많은 산소량을 요구하는 잡각류 및 극피동물과 같은 일부 동물 group들이 전혀 출현하고 있지 않았다. 출현된 저서동물군들에 대한 종다양도 지수, 우점도 지수, 기타 생태학적 제 지수의 분석으로 미룰어볼 때 마산만 내만의 경우는 인근 육지로부터 흘러들어 오는 담수의 유입, 도시하수 및 산업폐수 등에 기인하는 유기물 오염이 이 해역 저서 생물상의 분포 및 특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마산만의 泥底 底棲生物 生態界를 파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마산시 중학교 학부모의 친환경 농산물 학교급식에 대한 인식 조사 (Parents' perception on middle school foodservice using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EFAP) in Masan area)

  • 남윤순;김현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5권2호
    • /
    • pp.181-191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arent's perception of a middle school foodservice in Masan city, Korea that uses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EFAP). From May 29, 2009 to July 11, 2009,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350 parents of middle schools located in Masan city. A total of 295 responded and 276 (response rate, 78.9%)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fter excluding improperly completed questionnaires. First, 47.8% of the parents responded that they had participated in the school foodservice operation (receiving food, attending foodservice-related events, working as a meal service aid, evaluating suppliers). Receiving food (53.7%) accounted for the greatest proportion in the participating area. Second, most subjects (83.0%) responded that they were aware of the use of EFAP. Additionally, 96.4% of the subject approved expanding the use of EFAP for all items. Third, their degree of interest in the school foodservice was 3.86, and satisfaction with the school foodservice was 3.94 based on a 5-point Likert scale. The overall satisfaction on the quality of EFAP used in the school foodservice was 3.68 based on a 5-point Likert scale. Fourth, awareness that the school used EFAP in the foodservice by the parents who participated in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was higher than that of parents who did not participate. Satisfaction (4.10) with the school foodservice by parents who participated in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3.79) of parents who did not participate (p < 0.001). In conclusion, parent's participation in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should increase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school foodservice and improve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the school.

마산지역 일부 중학생의 김치 섭취실태 및 선호도 (Intake Patterns and Preference for Kimchi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Masan)

  • 강민애;김정진;강옥주;정효숙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4권3호
    • /
    • pp.291-301
    • /
    • 2008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ntake patterns and preferences for Kimchi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included 361 male and 325 female students in Masan City. For the frequency of Kimchi intake, the largest group consisted of students who ate Kimchi at every meal, with 51.6%, and the majority of them had seven or more pieces of Kimchi per meal. In addition, 50.4% viewed Kimchi as an indispensable dish; and of those who consumed Kimchi at every meal, two kinds of Kimchi would be served. Ggodeulppaegi-Kimchi and Yangbachu-Kimchi were the least preferred types, while Baechu-Kimchi was most preferred, followed by Kakduki and Dongchimi. Furthermore, ripe Kimchi was considered more preferred by 44.9% of the students, and the males had greater preferences for fresh Kimchi (36.0%) as compared to the females (26.8%). Regarding their favorite portion of the Kimchi, students who ate Kimchi at every meal were fond of every part; while 36.6% of the males preferred the top portion and 42.5% of the females preferred the whole portion of Kimchi. The degree of ripeness (39.9%) was selected as the most crucial factor in determining taste, and 49.1% of the subjects preferred a spicy taste. The students who ate Kimchi at every meal liked properly seasoned Kimchi (56.6%), of which 79.4% preferred spicy Kimchi; although they did not like excessively hot Kimchi products. Finally, 37.5% of the subjects identified salted shrimp as their favorite fish sauce.

  • PDF

재래시장 종사자의 소방안전의식에 관한 연구 - 마산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Fire Safety of Traditional Market Employee: Focusing on Masan City)

  • 방창훈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49-54
    • /
    • 2009
  • 본 연구는 마산지역 재래시장 종사자를 대상으로 소방안전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여 소방안전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연구결과 재래시장 종사자는 소방안전에 대해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재래시장에서 화재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재래시장 종사자의 46.0%가 소방안전교육을 받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교육장소로는 시장내 자치상인회를 선호하였다. 화재발생시 피난로는 재래시장 종사자의 41.5%가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래시장의 화재예방을 위하여 방화관리자의 적극적인 활동과 소방서의 지속적인 화재점검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마산 , 창원지역 중학생의 김치에 대한 기호도 및 섭취실태 (A Survey on Middle School Students' Preferences for Kimchi in Masan and Changwon City)

  • 김정아;윤현숙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8권3호
    • /
    • pp.289-300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take and preference of Kimchi in middle school students. A questionnaire was used as the instrument of investigation. The subjects were 375 male and 278 female students in Masan and Changwon City.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fty-nine point seven percent of the subjects liked Kimchi, whereas 3.7% of them disliked it, and the main reason liking Kimchi was 'hot taste' of Kimchi. Korean cabbage Kimchi and cubed radish Kimchi were highly preferred. And the preferred dishes made with Kimchi were stir-fried rice with Kimchi, Kimchi stew, pan-fried Kimch, seaweed rice with Kimch, Kimch pancake, Mandu with Kimchi, pork stew with Kimch. More than 90% of the subjects had eaten 6 kinds of Kimchi : Korean cabbage Kimchi, cubed radish Kimchi, radish leaves Kimchi, radish root & leaves Kimchi, watery radish Kimchi, white Kimchi. The frequency of Kimchi intake was 55.1% of the subjects ate Kimchi in every meal time, and 21.9% ate 2 times in a day. They preferred 'well fermented' and 'freshly prepared' Kimchi, and it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gender, male students more liked 'freshly prepared', whereas female students more liked 'well fermented' Kimchi(p<0.01).

  • PDF

마산만 퇴적환경 오염에 따른 저서성 유공충 분포 변화 (Response of Benthic Foraminifera to Sedimentary Pollution in Masan Bay, Korea)

  • 우한준;김효영;정갑식;천종화;김성은;추용식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4권2호
    • /
    • pp.144-154
    • /
    • 1999
  • 마산만은 인근도시로부터 산업폐수와 생활오수가 유입되어 매우 오염된 지역이다. 오염된 퇴적환경에 대한 저서성 유공충의 반응을 파악하기 위하여 9정점의 표층퇴적물에서 지화학 및 유공충 분석을 하였다. 마산만은 경기만과 대산해역에 비하여 높은 중금속 함량을 나타내며 세계 평균세일의 중금속 함량과 비교하여도 Zn, Cd, Pb, As의 함량이 높아 이 지역의 퇴적물이 산업폐수에 의하여 오염된 것을 지시한다. 마산만의 퇴적물에 분포하는 저서성 유공충의 반응은 마산만이 오염된 것을 나타낸다. 마산만에 분포하는 저서성 유공충의 종의 수와 다양성은 가덕수로에 비해 크게 감소한다. 마산만에서는 사질 유공충이 우세하며 유공충 외각에서는 황철반점이 발견된다. 오염된 마산만에서 우세하게 나타나는 Eggerella advena와 Trochammina pacifica는 이 지역에 높은 적응력을 가진 기회종이다. 이러한 자료들은 이 지역의 미래 환경변화를 평가할 수 있는 기준선이 될 것이다.

  • PDF

마산, 창원지역 중학생의 김치에 대한 지식 및 인식조사 (A study on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and Knowledge for Kimchi in Masan and Changwon City)

  • 윤현숙;김정아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9권1호
    • /
    • pp.1-12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and perception for Kimchi in middle school students. A questionnaire was used as the instrument of investigation. The subjects were 375 male students and 278 female students in Masan and Changwon City.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Ninety-three point three percent of the subjects were nuclear family type and 61.7% of respondent's mother had job. The average knowledge score for Kimchi of the subjects was 5.27 out of possible 10 points and the average value score on Kimchi was 41.25 out of 50 points. Eighty-six point one percent of students think they should eat Kimchi because Kimchi is good for the health(38.6%) and Kimchi is our traditional food(31.4%), and it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gender(p<0.01), male students more realized 'Kimchi is good for the health(41.6%)', whereas female students more realized 'Kimchi is our traditional food(38.9%)'. The subjects perceived that the additive material making for Kimchi were powdered red pepper(80.2%), garlic(62.5%), salt(62.0%), salted, fermented shrimp(50.2%). ginger(49.5%), green onion(39.8%), salted, fermented anchovy(34.9%), sesame(25.0%), carrot(22.4%). More than 70% of the subjects estimated for Kimchi 'Kimchi is our traditional food(84.1%)', 'Kimchi must be developed the international food'(73.7%), 'Kimchi must be in succession(75.8%)', 'Kimchi is very nutritious food(70.3%)'. However, they thought Kimchi have to be improved more hygienically(38.8%) and less stimulative taste(25.7%). The knowledge for Kimchi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value on Kimchi and the preferences for Kimchi, and the value on Kimchi was a positively related to the preferences for Kimchi(p<0.01). Therefore it is need to the development of program for the knowledge for Kimchi and the value on Kimchi in order to improvement the preferences for Kimchi.

  • PDF

통합창원시 3개 지역 주민들의 사회자본이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2013년 지역사회건강조사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in Integrated Changwon City: Using the Data of the 2013 Community Health Survey)

  • 박보현;오연재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42-354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ocial capital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of residents who were living in the three regions(Masan, Jinhae, and Changwon) of integrated Changwon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HRQoL. Methods: This study used the Masan, Jinhae and Changwon data of the 2013 Community Health Survey. The social capital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ree subdomains (trust, participation, and network). HRQoL was measured with the Korean-version EQ-5D.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HRQoL was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with controlling fo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health behavior. Results: The trust level of Masan citizen was highest among the three regions. Jinhae citizen showed the highest level of participation and network out of the three regions. Trust was not a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 in any of the three models. Participation was a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 in all of the three models. Network was a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 only in the Masan model. Conclusion: Participation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health among the three social capital subdomains. Strategies for encouraging social participation are needed for health promotion for the residents of integrated Changw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