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itime access

검색결과 185건 처리시간 0.032초

중견국 한국의 해양전략 디자인 : 해양접근전략(Maritime Access Strategy) (Designing the Maritime Strategy of the Middle-Power Korea: The Maritime Access Strategy)

  • 반길주
    • Strategy21
    • /
    • 통권45호
    • /
    • pp.116-147
    • /
    • 2019
  • 한국은 지형적으로 반도국가이며 국제정치적으로는 중견국의 위상을 갖고 있다. 이런 유리한 조건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대륙지향적 사고에 갇혀 있으며 이는 정교한 해양전략의 탄생을 지체시키는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바다의 유형'과 '위상'이라는 두 가지 변수를 이용하여 '해양접근전략(the Maritime Access Strategy)'을 제시한다. 나아가 전략을 구성하는 3대 요소-목표, 방법, 수단-을 이용하여 해양접근전략의 정교화를 시도한다. 목표 차원에서는 국가적 차원의 목표를 지원하도록 동기화가 필요하다는 전제에 주목한다. 더불어 다양한 행위자와 상대해야 함을 고려하여 억지(Deterrence), 관여(Engagement), 견제(Check)라는 소목표를 제시한다. 방법 차원에서는 기능적 균형화 작전방안을, 수단 차원에서는 기능적 균형전력을 제시한다. 해양접근전략은 다양한 바다에서 접근강도의 유연성을 갖고 맞춤형으로 다가가는 역동적 메커니즘을 품고 있다.

HF대 해상 데이터통신을 위한 무선프로토콜 연구 (A Study on the radio protocol for the Maritime Data Communications in HF band)

  • 진형두;임무혁;최조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A
    • /
    • pp.1003-1007
    • /
    • 2008
  • HF대 SSB 해상 데이터통신 서비스를 운용하는 회사는 가입 선박을 대상으로 하지만, 무선프로토콜의 미비로 접속을 요구하는 선박이 많아지면 calling redundancy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선박국과 링크접속을 위하여 자유신호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지만 선박국들의 호출에 의한 서로간의 충돌을 회피하기가 어렵다. HF대 SSB 통신은 특성상 채널의 트래픽을 고려하여 자동적으로 무선링크가 설정되어야 하며, 트래픽의 과부하시에는 적응적으로 채널의 안정성을 확보하며 운용되어야 한다. 이에 대하여 자유접속, 그룹자유접속, 폴링(polling)의 3가지 접속링크 방식을 순차적으로 구동하는 새로운 무선프로토콜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PDF

부산-거제간 연결도로 침매터널공사의 준설작업에 따른 안전통항방안 (Safe Navigation Plan for Dredging Operations to build Sunken Tunnel for Access Road between Busan-Geoje)

  • 김정훈;국승기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제1권)
    • /
    • pp.509-514
    • /
    • 2006
  • 본 연구는 준설선을 이용하여 가덕수도를 횡단하며 준설공사를 하는 동안의 선박들의 안전한 통항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부산${\sim}$거제간 연결도로 건설공사 중 가덕수도의 해저로 횡단하는 침매터널을 건설하기 위해서는 준설작업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불가피하게 준설선이 가덕수도 항로를 횡단하며 준설을 해야 한다. 이는 상대적으로 가덕수도를 통항하는 선박들의 잠재적인 위험상황으로 충돌 등의 해난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선박의 안전통항방안을 모색하고 대책을 제시하였다.

  • PDF

선박자동식별장치를 이용한 ADS-B 개념 기반의 항공감시용 송수신기의 구현 (Implementation of Aeronautical Surveillance Transceiver using AIS based on ADS-B Concepts)

  • 송재훈;오경륜;김종철;이장연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3권10호
    • /
    • pp.685-690
    • /
    • 2009
  • 국제해사기구(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에서는 선박의 해상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SOLAS의 요구조건에 따라 모든 선박에 대하여 선박자동식별장치(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AIS)를 의무적으로 장착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AIS를 사용하면 타선에 대한 제원 및 항행정보의 획득이 가능하여 충돌방지뿐만 아니라 광역관제, 조난 선박의 탐색구조 등 안전관리에도 활용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AIS 장비를 사용하여 ADS-B (Automatic Dependent Surveillance - Broadcast) 개념 기반의 항공감시용 송수신기를 구현한 결과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기본적으로 AIS는 해상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고도 정보를 사용하지 않지만, AIS 장비 내부에 사용하는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칩셋에서 제공하는 고도 정보의 추출이 가능하다. 고도 정보를 포함한 감시 메시지 형식을 정의하고, SOTDMA (Self-Organizing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개선하여 ADS-B 송수신기를 구현하였다. 적용 결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지상시험 및 비행시험을 수행하였다.

HF대 디지털통신의 ALE를 위한 무선프로토콜 연구 (A study on the radio protocol for ALE of digital communications in HF band)

  • 고윤규;최조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811-814
    • /
    • 2009
  • HF대 해상통신이 디지털방식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먼저 해안국과 다수의 선박국간에서 1:N 으로 자동링크설정을 수행할 수 있는 기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단순히 polling에 의한 방식을 사용할 수는 있으나 통신환경이 열악한 HF대 통신상태에서 특정국만을 호출하여 링크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많은 redundancy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 아마추어 무선에서는 특정국을 선택호출하는 1:1 자동 링크설정 방식으로 ALE(Automatic Link Establishment) controller를 이용하고 있으나, 해상통신에서 이러한 방식으로 1:N의 링크설정을 기대하기는 매우 어렵다. 즉, 선박국들의 동시호출을 유도하면 다수의 호출신호에 의한 트래픽 과부하로 충돌을 회피하기는 어렵다. 때문에 HF대 통신은 채널 특성상 트래픽 상태를 고려하여 자동적으로 무선링크가 설정되어야 하며, 트래픽 과부하시에는 적응적으로 채널의 안정성을 확보하며 운용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다수의 선박국이 HF대의 단일채널에서 멀티톤 주파수에 의하여 자유접속을 시도할 수 있는 방식을 연구하여 자유접속, 그룹접속, polling의 3가지 자동링크설정 방식을 순차적으로 구동하는 새로운 무선프로토콜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PDF

중국의 해양강국 추구와 새로운 미중관계 (China's Pursuit for Seapower and New U.S.-China Relationship)

  • 김흥규
    • Strategy21
    • /
    • 통권36호
    • /
    • pp.59-93
    • /
    • 2015
  • A Paradigm shift is in process in China's foreign policies during Xi Jinping's era. Such changes occur with changing national identities from developing country to great power, and from continental power to continental-maritime power. China's pursuit for sea power embraces its global strategy. Accommodating the new identity of maritime power, China is developing its maritime strategy. New silk-road strategy actively utilizes China's advantage in economy, while avoiding direct military challenges against the U.S. China seeks an associated balance of power with the U.S. On the other hand, China make its determination clear to protect its core national interests, particularly Taiwan straits issue, deploying Anti-Access and Area-Denial strategy. 'Pax-Americana 3.0' and 'China's rise 2.0' have convoluted and evolved in complexity. South Korea faces much tougher challenges ahead in its foreign and security environments.

다중 홉 해양통신망에서 실시간 통합 서비스를 위한 MAC 프로토콜 (A MAC Protocol for Integrated Service in the Multi-Hop Ad-Hoc Maritime Communication Network)

  • 조구민;윤창호;임용곤;강충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A권7호
    • /
    • pp.603-611
    • /
    • 2013
  • 본 논문은 Self-Organizing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SO-TDMA) 기반의 MAC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다중-홉 해양통신망에서 비실시간 서비스뿐만 아니라 종단간 지연시간 품질을 보장해야 하는 실시간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프레임 구조를 제안하고, 실시간 트래픽의 부하에 따라 적응적으로 자원을 분배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실시간 사용자의 평균 불능 성능을 보장하기 위한 자원 할당을 통해 동적으로 프레임 구조를 제어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한편, 이를 위한 평균 불능 확률을 수학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따라 결정된 프레임 구조에 대해서 실시간 서비스의 품질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한다.

해상 환경에서의 무선 이동 통신을 위한 선박용 Ad-hoc 네트워크 운용 시나리오 (Application Scenarios of Nautical Ad-hoc Network in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under Maritime Environment)

  • 김영범;장경희;윤창호;박종원;임용곤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2097-2104
    • /
    • 2009
  • 육상에서는 기지국을 통해 고속의 무선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고 없는 반면, 해상의 경우 기지국을 설치하는데 제약이 따르고, 이로 인해 긴 전송거리를 갖는 저속의 MF/HF 대역 모뎀을 주로 사용 하고 있다. 고속 전송을 위해 해상위성통신이 사용되기도 하지만, 비용이 비싸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낮은 비용으로 전송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Vehicular Ad-hoc Network (VANET)과 같은 기지국이 없는 상황에서 단말간의 통신이 가능한 네트워크의 구성이 필요한데, 해상의 경우 육상과는 다른 환경적인 특징들을 갖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해상에서의 Ad-hoc 네트워크를 Nautical Ad-hoc Network (NANET) 이라 칭하며 NANET을 위한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시나리오 별 Multiple Access 및 Duplex 방식을 분석한 후, NANET을 구축하기 위한 주요 후속 연구 주제들을 정리하여 해상 무선 통신 연구를 위한 기본적인 Guide Line을 제시한다.

Determinants for the Development of a Logistics Hub

  • Julian A Barona;Nam Ki Chan;Shin Chang Hoon;Song Jae Young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27-134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cept of a logistics hub, identify key factors and milestones for its development, and give some recommendations and implications to developing countries. For this the countries competing to be Logistics hub in Northeast Asia (NEA), such as South Korea, japan and China,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These countries have under its priority policies the development of a logistics hub vision to become the central area of the region achieving microeconomic and macroeconomic prosperity. Based on the re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 five factors came up as key determinants for the development of a hub project: 1. Logistics services support and infrastructure. 2. Business environment. 3. Economic determinants. 4. Political support and 5. Access to international markets. These are going to be analyzed together with its different variables, using statistical methods.

딥러닝을 이용한 5G NR 의 Cell ID 검출 기법 (Deep Learning-Based Detection of Cell ID of 5G NR)

  • 차은영;안해성;김형석;김정창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634-636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 (deep learning) 방식을 이용한 5G NR (fifth-generation new radio)의 cell ID (cell identity) 검출 기법을 구현하였다. 5G NR 시스템의 단말 (user equipment)은 초기 접속 (initial access)과정에서 PSS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와 SSS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을 이용한 동기 획득 및 cell ID 검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분류 기법 기반의 딥러닝 기술을 이용하여 인공 신경망 모델에 PSS 및 SSS 와 cell ID 의 상관 관계를 학습시키고, 학습된 모델의 성능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