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itime Casualty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1초

설문분석을 통한 어선 비어선간 충돌사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llision between Fishing Vessel and non Fishing Vessel using Questionnaire Analysis)

  • 박문갑;전영우;이유원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3호
    • /
    • pp.716-723
    • /
    • 2013
  • The postal or group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inquire into the cause of collision between fishing vessel and non-fishing vessel targeting fishing vessel personnel(FVP), non-NFVP and a person involved in a marine accident. As a result, we could verify the root cause of collision, a negligence of lookout which noted overwork for FVP and careless for non-FVP. The cause of collision by inappropriate avoid action was poor communications for FVP and non-FVP. To reduce collision, we need to be trained to take a sharp lookout, a radio communication by VHF and the collision avoidance actions by early and substantial action to keep well clear. The resul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for the reduction of collision and victims.

준해양사고제도의 효율적 이행을 위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a Marine Incident System)

  • 채병근;이호;김홍범;강석용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98-407
    • /
    • 2018
  • 2010년 1월 해양사고조사코드의 발효를 통하여 해양사고 조사에 대한 표준화된 지침이 마련되었고, 더불어 국제해사기구는 체약국에게 동 지침의 준해양사고제도의 관리를 권고함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2010년 해양사고의 조사 및 심판에 관한 법률에 준해양사고제도에 관한 조항을 신설하게 된다. 중앙해양안전심판원은 준해양사고제도의 효율적 운영을 통하여 해양사고를 예방하고자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본 제도는 좀처럼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준해양사고제도의 운영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해외의 우수한 준해양사고제도 및 철도, 항공 등의 유사교통기관의 준사고제도를 분석함으로써 준해양사고제도의 효율적 이행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는 특히 준해양사고 자율보고로의 전환, 사법적 기능이 없는 민간단체로의 이관, 준해양사고보고에 대한 인센티브 제도의 확대, 법제도 개선 및 세부 이행 지침의 마련 등이 포함된다.

IMO 해양사고조사코드의 도입과 해양사고조사제도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IMO Casualty Investigation Code and Marine Safety Investigation System in Korea)

  • 임채현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7-63
    • /
    • 2010
  • 해양사고조사는 해양에서 발생한 사고 및 준사고에 대해 조사하여 원인을 규명히고, 이를 통해 미래의 유사사고 재발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국제해사기구(IMO)를 비롯하여 대부분의 국가들은 해양사고의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해사안전관련 협약 및 관련 국내 법규를 채택하고 개정한다. 특히, 최근 국제해사기구는 해양사고의 조사에 있어 각국이 협조하여 정확한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일정한 양식에 따라 보고하며, 동 보고에 근거하여 새로운 국제적 안전기준을 마련하여 사고의 재발방지에 도움이 되도록 규정한 IMO 해양사고조사코드를 채택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해양사고의 조사 및 심판에 관한 법률"에 근거한 해양안전성심판제도를 통해 해양에서의 사고 원인을 규명함으로써 해양안전의 확보에 이바지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IMO 해양사고조사코드를 분석하고 해양안전심판제도와 비교 분석하여 코드 도입에 따라 우리나라 해양사고조사제도인 해양안전심판제도에 있어서 반영되고 개정되어야 할 몇 가지 사항에 대해 논의하며 이를 향후 제도 개선에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제공한다. 이에는 특히, 조사기관의 독립과 조사의 공정성 확보를 위한 국선심판변론제도 몇 선원인권보장 등이 포함된다.

선장의 리더십과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aptain's Leadership and Decision Making)

  • 신호식;윤대근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49-154
    • /
    • 2011
  • 해상에서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해양사고를 예방하고 긴급상황 시에 신속하게 대처하는 능력이 중요시된다. 해양사고의 80%가 선박의 운항과 관리에 관련된 인적요인으로 발생한다. 그것은 대부분의 해양사고가 한 개인의 순간적인 실수에서 유발되는 것이 아니라 그 배경에는 인적과실을 유발하는 잠재적인 요인들이l 복합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박에서 선상의 리더십이 선박에 미치는 영향과 선박의 의사결정 과정을 알아보고 특히, 선박의 긴급상황 시에 발생할 수 있는 행동특성의 이해를 통하여 특정선박에서 인적과실을 줄이기 위한 해결방안 및 대응전략을 제시하였다.

국내 연안해역 안전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sures for Safety Management at the Coastal Sea Area in Korea)

  • 장인식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93-399
    • /
    • 2009
  • 해양사고의 대부분은 해상교통량이 많은 연안해역과 해수욕장, 방파제 등 많은 사람들이 찾는 연안지역에서 발생한다. 최근 해양레포츠의 활성화로 연안에서의 안전사고위험은 더욱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연안의 안전사고에 대한 대책이 안전사고 증가속도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고 육지와 바다를 연계한 안전관리가 체계적이지 못하다. 최근 5년 동안 발생했던 안전사고를 분석하여 사고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안전관리 대책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안의 안전사고는 육지와 바다가 접촉되는 연안지역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종합적인 안전대책이 필요하며, 종합적인 안전망 구축을 위해서 제도상 법률상으로 주무기관이 일원화되어야 한다. 또한 사고발생시 신속하게 인명과 재산을 구조할 수 있는 사고대응 체제가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작동되도록 구축되어야 한다.

  • PDF

우리나라의 해양사고에 대한 고찰 (Study on the marine casualties in Korea)

  • 강일권;김형석;김정창;박병수;함상준;오일환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9권1호
    • /
    • pp.29-39
    • /
    • 2013
  • Fishing vessels have been causing more than 70% of marine casualty in Korea. As a view of the occurring number of marine casualty, it is obvious for fishing vessel to account for the absolute high portion of that in comparison with the non-fishing vessels. That is a natural outcome because fishing vessels have occupied more than 90% of all registered Korean vessels. If we consider it not occurring number, but occurring ratio, we could find out that fishing vessels accounted for 5 times lower than non-fishing vessels in marine casualties. Nevertheless, fishing vessels have not immunity from responsibility for marine casualties at all, because the tendency of it in fishing vessel has been dominating the whole marine casualties in Korea. So for reduction of them, it is indispensable to decrease the casualties of fishing vessel. In this study, the authors tried to carry out many items of them to compare the occurring number with the occurring ratio, and dealt with the casualties of collision and machine damage in detail, because those have not only been occurring most frequently in casualties in Korea, but also led to the death and injury of lives. To reduce the collision and the machine damage, the operator have to keep the watch more strictly and check and keep the machine in good order. And it is necessary for the operator to take more education and training intended to decrease those systematically and continuously, especially for the crews of fishing vessels.

설문에 의한 6급 항해사 면허 면접시험 응시자의 성향 분석 (Propensity Analysis for Oral Exam Candidates of Sixth Class Deck Officer's License using Questionnaire)

  • 김용복;이유원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5호
    • /
    • pp.1158-1164
    • /
    • 2014
  • The propensity analysis for oral exam candidates of sixth class deck officer's license was conducted to serve as a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ability of seamanship and a stable workforce supply using a questionnaire. A general information of them was identified as 64.4% of offshore fishing, 56.8% of over 50, 56.6% of less middle school education, 55.6% of under 100 gross tonnage, 81.2% of over 10 years experience, 85.6% of deck department, which means they are from mainly less than 100 gross tonnage of offshore fishing vessel, less educated, and long term experienced in the deck job. The reason why they took the test was mainly due to their will (71.1%). And 52.7% of them took the test for the first time, 52.7% of answers responded they are lack of knowledge about a written exam and text of KIMFT in preparation data for an oral exam 23.3%. Given the fact that 83.3% of respondents experienced marine accidents on board, the need for marine casualty reduction education was verified. Even after obtaining a license, they showed a higher preference of boarding that they embarked before the examination. Also, 61.7% of them have a plan for long-term boarding at least three years, thus leading to supply of workforce in coastal and offshore areas.

목포연안에서의 연안VTS설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Coastal VTS in Mokpo Coastal Waters)

  • 문범식;정재용;국승기;김세원;박진수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61-268
    • /
    • 2002
  • 최근 국내 ·외에서 발생한 대형 유조선의 기름유출사고는 해양환경에 막대한 피해를 입혀 엄청난 경제적 손실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또한 오염사고의 확산 범위가 항만 및 인접 수역에 이르고 있다. 따라서 선박교통관리제도는 그 관할 구역이 점차 확대되는 개념으로 변해가고 있다. 우리나라는 VTS를 전국 14개 항만에서 운영하고 있으나, 관제범위가 항만중심이다. 하지만 선진 외국에서는 주요 수로 및 연안 해역을 관제범위로 하는 연안VTS를 운영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도 선박의 교통밀도가 높은 연안해역 및 수로의 선박교통을 관리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 연구는 선박의 교통밀도가 높고 해양사고가 빈발하고 있는 목포해역에 대해 해상교통조사를 실시하고, 해양사고를 조사·분석하여 연안VTS 센터 및 레이더사이트의 위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파랑의 조우각과 선속 변화에 따른 어선의 횡동요 특성 (Characteristics on the rolling response of a small fishing boat according to the waves and the ship's speed)

  • 강일권;김형석;김민석;이유원;김정창;조효제;이춘기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3권1호
    • /
    • pp.62-70
    • /
    • 2007
  • Marine casualties of vessel are serious problems on social and national aspects, because it results in sacrifice of lives, a great lose of properties and marine pollution. According to recent statistics of marine casualties of vessel, fishing boats are more likely to be ended in the casualty, and especially, small fishing boats cause much more accidents than any other big vessels. Most of marine casualties were caused by the human factors such as poor watch keeping, inadequate manoeuvering and negligent action for engine, etc.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navigator of small fishing boat with a specific information of necessary to assist both the manoeuvering and the avoidance of capsizing. The manoeuvering characteristics of ship can be adequately judged by the results of typical ship trials manoeuvres. For this purpose, the author measured the roll responses of a small fishing boat in waves using the real sea experimental measuring system, and analyzed the experimental data by the statistical and spectral analyzing methods to ge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ll motion responses of the small boat through the wave directions and the ship's speed.

해양사고 인적요인 조사분석 모델 적용사례 연구

  • 나성;김홍태;염철웅;박재홍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66-468
    • /
    • 2012
  • 선박산업에서의 국내외 해양사고 통계에 의하면, 모든 해양사고의 80% 정도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관련된 인적요인(Human Factors)에 의하여 발생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해양사고의 원인을 규명함으로써 유사 해양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고, 또한, 해양사고 조사에 있어서 공통적인 접근방법의 이용과 국가 간의 협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IMO(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에서는 해양사고 인적요인 조사지침(Guidelines for the Investigation of Human Factors in Marine Casualties and Incidents)을 포함한 해양사고조사코드(Casualty Investigation Code: Code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s and Recommended Practices for a Safety Investigation into a Marine Casualty or Marine Incident)를 채택하였으며, 동 코드는 2010년 1월 1일 발효되었다. 이에 따라, 해양안전심판원에서는, 3단계 절차로 구성된 인적요인 조사 및 분석 방법론을 제안하고, "해양사고 인적요인 분석 매뉴얼"을 마련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해양안전심판원에서 제안한 인적요인 조사 및 분석 방법론을 실제 해양사고에 적용하여 인적요인 조사분석 모델의 적용사례를 마련하고, 분석 모델을 검토 및 보완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