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ine red algae

검색결과 244건 처리시간 0.031초

한국 남서해안 흑산도와 홍도의 조간대 해조류 생물량과 군집구조의 계절적 변동 (Seasonal Variation in Biomass and Community Structure of Intertidal Seaweeds at Heuksando and Hongdo, Southwestern Coast of Korea)

  • 오지철;박서경;최한길;남기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878-885
    • /
    • 2013
  • Seasonal variation in marine macroalgal community structure was examined at the intertidal zones of Heuksando and Hongdo, Shinan, Korea, from July 2008 to May 2009. In total, 86 macroalgal species were identified, including 12 green, 19 brown, and 55 red algae; 67 species at Heuksando and 70 species at Hongdo, were observed. Annual seaweed biomass was 252.44 g dry $wt/m^2$ at Heuksando and 217.67 g dry $wt/m^2$ at Hongdo. The dominant seaweed in importance value (IV > 15) differed between the sites: Sargassum thunbergii at Heuksando and Corallina pilulifera at Hongdo. The vertical distribution pattern of seaweeds from the upper to lower intertidal zones at Heuksando was Gloiopeltis spp., Ulva spp. - S. thunbergii, S. fusiforme, Hildenbrandia rubra - S. thunbergii, C. pilulifera. On the rocky shore of Hongdo, seaweed zonation was distinct: Porphyra yezoensis, Gloiopeltis spp., Ulva spp. - C. pilulifera, S. fusiforme, Myelophycus simplex - Chondrus ocellatus, C. pilulifera, and Carpopeltis affinis. Annual seaweed coverage, richness index (R), evenness index (J'), and diversity index (H') values were greater at Hongdo (41.35%, 12.82, 0.59, and 2.50 respectively) than at Heuksando (31.54%, 11.93, 0.44, and 1.87 respectively), which may indicate that the seaweed community at Hongdo is more stable relative to the one at Heuksando.

한국 남해안 정자도의 해조상 및 군집구조 변화 (Seasonal Variability of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at Jungjado, on the South Coast of Korea)

  • 유현일;정보경;박정광;허진석;박미선;최한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927-934
    • /
    • 2014
  •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were seasonally examined at Jungjado,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from July 2007 to May 2008. A total of 112 seaweeds, including 15 green, 24 brown, and 73 red algae, were identified and 33 species were found throughout the year. The average seaweed biomass was 145.78 g dry weight $m^{-2}$, and the biomass was maximal in winter (184.74 g) and minimal in autumn (106.17 g). The dominant and subdominant species in terms of biomass were Sargassum thunbergii and Grateloupia elliptica in summer, S. thunbergii and Corallina pilulifera in autumn, S. thunbergii and Chondracanthus intermedius in winter, and Sargassum fusiforme and G. elliptica in spring. The vertical distribution patterns of seaweeds from the upper to lower intertidal zones at Jungjado were S. thunbergii - Ulva conglobata - Gelidium elegans in summer; Caulacantus ustulatus - Chondria crassicaulis - C. pilulifera in autumn; Ulva australis - S. thunbergii - G. elliptica in winter; and Gloiopeltis tenax - S. fusiforme - G. elliptica in spring. Seasonally the evenness, richness, and diversity indices tended to have their highest values during the winter and their lowest values in the summer. However, the dominant index was recorded as lowest in winter and highest in the summer. The C/P, R/P, and (R+C)/P values reflecting the flora characteristics were 0.58, 3.04, and 3.62, respectively.

갈조류의 영양적 특성과 가금에서 기능성 물질로서의 갈조류 추출물의 이용

  • 심재민;안병기;강창원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3년도 제20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38-52
    • /
    • 2003
  • Seaweeds are large algae that grow in a saltwater or marine environment. There are over 400 species of seaweeds in the bay of Korea. Most seaweeds a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color : the green seaweeds(division Chlorophyta), the brown(Phanphyta) and the red(Rhodophyta), Seaweeds have been harvested for use as food, fertilizer, animal feed and medicines for thousands years. In the past decade,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 in using seaweeds for animal feedstuffs and feed supplements as their health qualities are becoming better known. In this review some perspectives on nutritional values and the role of functionality ingredients of various seaweeds will be also discussed. Ecklonia cava kjellman(EC), a perennial seaweed, is one of the main components of the marine forests along the East and South coasts of Korea. We conducted three experiments to evaluate the nutritional values of EC and the crude lectin extracted residues from EC(LEEC) and to investigate their dietary effects on productivity and immunocompetence in poultry. The crude protein content of EC was relatively low(about 10 %) and its amino acids were poorly available. But, the results of our study suggested that EC can be used into broiler feed up to 3 % without any adverse effect, if its nutritional values are well evaluated prior to use. Similar results of dietary LECC up to 1.0 % level on egg production and egg quality have been obtained in layers. The concentrations of serum TNF-${\alpha}$ after Salmonella challenge were rapidly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LEEC.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LEEC can be used as a feed additives for enhancing of immunocompetence in poultry.

  • PDF

The effects of temperature on the growth rate and nitrogen content of invasive Gracilaria vermiculophylla and native Gracilaria tikvahiae from Long Island Sound, USA

  • Gorman, Leah;Kraemer, George P.;Yarish, Charles;Boo, Sung Min;Kim, Jang K.
    • ALGAE
    • /
    • 제32권1호
    • /
    • pp.57-66
    • /
    • 2017
  • The red alga Gracilaria vermiculophylla, a species native to the waters of Korea and Japan, has invaded marine coastal areas of Europe and the Americas, thriving in conditions that differ from those of its native habitat. In recent years, G. vermiculophylla has been discovered in the Long Island Sound (LIS) estuary growing alongside the native congener Gracilaria tikvahiae.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two strains of G. vermiculophylla from different regions of the world have evolved genetic differences (i.e., ecotypic differentiation) or if the physiological performance of the strains simply reflects phenotypic plasticity. Two strains of G. vermiculophylla (isolated in Korea and LIS) and a strain of the LIS native G. tikvahiae were grown for four weeks under temperatures ranging from 20 to $34^{\circ}C$ using a temperature gradient table (all other environmental conditions were kept constant). At the end of each week, wet weight of each sample was recorded, and thalli were reduced to the original stocking density of $1gL^{-1}$ (excess biomass was preserved for tissue carbon and nitrogen analysis). Generally, the growth rates of Korean G. vermiculophylla > LIS G. vermiculophylla > G. tikvahiae. After one week of growth G. tikvahiae grew 9.1, 12.0, 9.4, and 0.2% $d^{-1}$, at temperatures of 20, 24, 29, and $34^{\circ}C$, respectively, while G. vermiculophylla (LIS) grew 6.6, 6.2, 5.7, and 3.6% $d^{-1}$. G. vermiculophylla (Korea) grew 15.4, 22.9, 23.2, and 10.1% $d^{-1}$, much higher than the two strains currently inhabiting the LIS. On average, the LIS G. vermiculophylla strain contained 4-5% DW N, while the Korean strain and G. tikvahiae had more modest levels of 2-3% N DW. However, tissue N content declined as temperature increased in LIS and Korean G. vermiculophylla. The non-native haplotype may have evolved genetic differences resulting in lower growth capacity while concentrating significantly more nitrogen, giving the non-native a competitive advantage.

냉배수 방류에 따른 진해만의 해조류 성장 속도 변화 예측 (Prediction of Change in Growth Rate of Algae in Jinhae Bay due to Cooling Water Discharge)

  • 박성식;윤석진;이인철;김병국;김경회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308-323
    • /
    • 2021
  • 통영 LNG 기지에서 방류되는 냉배수가 진해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냉배수의 활용 방안 모색을 위해 총 4개의 냉배수 방류량에 대한 진해만의 환경변화를 1년간(2018년) 모의하였다. 실제 냉배수 방류량인 Case1(10 m3 sec-1)의 모의 결과, 모든 분기에서 냉배수에 의한 진해만의 환경변화는 매우 미미하게 나타났다. 모의 방류량인 Case2(100 m3 sec-1)의 경우 방류구 반경 5 km 범위에서 1 ~ 3℃의 수온 감소를 보였으며, Case3(1000 m3 sec-1)에서는 방류구 반경 8 km 범위에서 최대 4 ~ 5℃의 수온이 감소하였고 진해만 전 해역에 걸쳐 냉배수가 확산하는 결과를 보였다. 플랑크톤의 성장 속도는 최대 15% 감소하였으며(11월), 대형조류의 성장 속도는 행암만 부근에서 최대 6 %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통영 LNG 기지에서 방류되는 냉배수에 의한 진해만의 환경변화는 미미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Case3 결과로부터 국소지역의 '적조 방재', '해조류 성장'을 목적으로 냉배수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광 인근 해역 해조군집의 기능형군별 분석 (Analysis of Functional Form Groups in Macroalgal Community of Yonggwang Vicinity, Western Coast of Korea)

  • 황은경;박찬선;손철현;고남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97-106
    • /
    • 1996
  • 서해안의 영광 원자력 발전소 주변에 분포하는 해조 군집의 기능형군별 분석을 통하여 이 지역 해조군집의 특성을 환경적 요소와 연관시켜 해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출현한 종은 총 51종으로 녹조류 12종, 갈조류 11종, 홍조류 28종이었다. 계절별로는 겨울철에 42종으로 가장 많은 종이 출현하였고, 여름철에 18종으로 가장 적은 수의 종이 출현하였다. 중요도 값이 높게 나타난 종은 Enteromorpha compressa, Sargassum thunbergii, Corallina pilulifera와 Carpopeltis affinis로 조사된 4개 지점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기능형군별 분석에서 나타난 비율은 직립분기형 $(41.2\%)$, 엽상형 $(25.5\%)$, 사상형 $(19.6\%)$, 다육질형 $(7.8\%)$, 각상형 $(3.9\%)$, 유절산호말형 $(2.0\%)$로 나타났다. 이들 6개 기능형군의 조성 비율은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이를 통하여 온배수 배출 지역에서는 해조류의 종조성 뿐 아니라 종간의 경쟁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슴을 나타낸다.

  • PDF

참가사리 분획물의 항산화.항균효과 (Th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Gloiopeltis Tenax)

  • 정영화;정복미;강대연;구미정;신미옥;배송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9권4호
    • /
    • pp.366-371
    • /
    • 2006
  • 참가사리의 항산화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ROS와 RNS 제거활성을 측정하였다. ROS 제거활성 측정결과 GTMM층과 GTMB층이 positive control로 사용한 trolox와 유사한 높은 제거능을 보였고, $ONOO^-$ 제거능은 그 효과가 미약하였으나 GTMM 층에서 나타났으며 NO 제거활성 역서 GTMM층과 GTMB층에서 약한 효과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본 실험의 결과 GTMM 층에서 ROS 제거 활성의 효과가 높았으며 다음으로 GTMB층에서 효과를 보여 GTMM층과 GTMB층에 활성산소 제거효과를 가지는 물질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Paper disc method를 이용한 항균활성 효과 실험결과, Serratia marcescens가 모든 층에서 높은 항균력을 보였으며 Proteus mirabilis에서도 GTMA층을 제외한 모든 층에서 항균효과를 보였다. 사용한 모든 균주에서 각각 항균력의 차이는 있으나 전체적으로 GTMB 층과 GTMM 층에서 높은 항균활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참가사리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물질에 대한 단계적인 분리 동정이 이루어져 GTMM 층과 GTMB 층의 생리활성물질 개발이 기대되는 바이다.

발광다이오드(LED)를 이용한 저서미세조류의 성장촉진에 의한 오염해역 저질환경개선 1. 저서규조류 Nitzschia sp.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광량과 파장 (Bioremediation on the Benthic Layer in Polluted Inner Bay by Promotion of Microphytobenthos Growth Using Light Emitting Diode (LED) 1. Effects of irradiance and wavelength on the growth of benthic diatom, Nitzschia sp.)

  • 오석진;박달수;양한섭;윤양호;본성범부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93-101
    • /
    • 2007
  • 오염된 연안 저서환경의 생물학적 정화를 목적으로 발광 다이오드(LED)를 이용하여 저서미세조류 Nitzschia sp.(일본 Hakozaki만에서 분리)의 성장에 미치는 광량과 파장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Nitzschia sp.는 청색 LED(450 nm), 황색 LED(590 nm), 적색 LED(650 nm) 및 형광램프(복수파장)에서 배양하였다. 온도 $25^{\circ}C$ 그리고 염분 30 psu에서 배양한 Nitzschia sp.는 청색파장에서 $20\;{\mu}mol\;m^{-2}\;s^{-1}$ 그리고 형광램프는 $40\;{\mu}mol\;m^{-2}\;s^{-1}$에서 최대 상대성장속도를 보였으나, 이보다 높은 광량에서는 광 저해현상이 나타났다. 하지만, 황색 파장과 적색 파장의 최대광량에서 ($350\;{\mu}mol\;m^{-2}\;s^{-1}$) 광 저해현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광량-성장곡선에서 청색 LED는 ${\mu}=-0.46{\exp}(1-I/6.32)+0.46-0.00043I,\;(r^2=0.98)$, 황색 LED는 ${\mu}=0.42(I+7.87)/(I+58.9),\;(r^2=0.99)$, 적색 LED는 ${\mu}=0.39(I+3.39)/(I+21.6),\;(r^2=0.94)$ 그리고 형광램프는 ${\mu}=-0.38{\exp}(1-I/7.23)+0.38-0.00016I,\;(r^2=0.96)$로 나타났다. 청색 LED, 황색 LED, 적색 LED와 형광램프의 최대성장률은 각각 $0.44\;day^{-1},\;0.42\;day^{-1},\;0.39\;day^{-1}$ 그리고 $0.37\;day^{-1}$이었다. Nitzschia sp.의 최대흡수계수는 472 nm($0.0224\;m^2\;mg\;chi.\;{\alpha}^{-1}$)와 663 nm($0.0179\;m^2\;mg\;chi.\;{\alpha}^{-1}$)에서 보였지만, 모든 파장에서(400 nm-700 nm) 거의 유사한 흡수계수를 보였다. 따라서 가을과 겨울동안에는 청색파장을 조사하여 미세조류 성장을 촉진시키고, 봄과 여름동안에는 황색파장을 조사하여 유해조류의 성장억제와 함께 저서미세조류의 성장시켜 오염된 연안 저서환경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적조 원격탐사 기술 개발을 위한 적조생물의 광특성 연구 (A Study on Optical Properties of Red Tide Algal Species)

  • 이누리;문정언;안유환;양찬수;윤홍주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187-191
    • /
    • 2006
  • 적조 종에 따라 해색이 다르다는 점에 착안해 해색 모델로부터 적조 종을 역 추정하는 기술을 개발하는데 있어 기본 입력 변수가 되는 적조 생물에 관한 광학적 특성(흡수, 역산란 특성)을 연구하였다. 실험실 수준에서의 적조 생물의 광특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남해에서 채취 된 21종의 적조 생물을 배양하고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해 광합성 색소에 의한 흡수계수(absorption coefficient, a)와 역산란 계수 (backscattering coefficient, $b_b$)를 측정하였다. 또한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해 측정된 흡수 및 역산란 계수와 클로로필 농도를 이용하여 비 흡광계수 $(a^*)$와 비역산란계수$(b_b^*)$를 계산하였으며 이들 스펙트럼의 모양과 값을 비교하였다. 적조 생물 종에 따른 $a^*$은 파장대 440nm 에서 $0.005-0.06m^2/mg$의 값을 가지며, $b_b^*$의 범위는 $10^{-2}\sim10^{-4}m^2/mg$로 종간 약 100배의 차이가 있었다. 이와 같이 적조생물 종에 따라 스펙트럼의 모양과 값에서 차이를 나타냈으며 21종의 적조 생물 중에서 해색 스펙트럼으로 종간 구분이 가능한 종은 7-8 종이었다. 이 결과는 해색모델 개발에 있어 입력변수로 활용될 것이다.

  • PDF

자외선이 해조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고찰 (Overview of UV-B Effects on Marine Algae)

  • 한태준
    • 환경생물
    • /
    • 제17권1호
    • /
    • pp.1-9
    • /
    • 1999
  • 산업활동의 부산물인 chlorofluorocarbons(CFCs)와 같은 물질들의 대기권 유입으로 오존층의 파괴가 극심해짐에 따라 자외선의 지표유입량이 증가되는 추세를 보이는데, 특히 중파자외선의 증가는 DNA, 단백질, 지질 등에 의한 흡수를 통하여 생물학적 폐해를 야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최근 측정 결과 우리나라 동해안에서 해수표면에 도달되는 중파자외선 광량의 1%가 수심 l0 m까지 침투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해양생태계 생산성의 대부분이 해양 수심의 상위 2.5%에 해당되는 투광대에 의존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자외선에 의한 막대한 생태학적 폐해를 예견하게 해준다. 실내배양실험 연구에서 중파자외선은 대형해조류의 생장 및 광합성을 억제하고 광합성 색소를 파괴하는 등의 생물독성학적 효과를 보였다. 반면, 자외선의 피해로부터 해조류를 보호해 주는 몇 가지 기작이 밝혀진 바 있는데, 어린시기의 갈조류 다시마는 청색광에 의한 광재활성화 능력을 함유한 것으로 보이고, 한국산 녹조 구멍갈파래와 홍조 도박류에서는 자외선을 강하게 차단하는 흡수물질이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적응기능들이 해조류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것인지에 대해서는 좀 더 연구가 필요하다. 해양생태계는 대기 중 CO$x_2$를 이용하여 1년에 약 100 Gt의 유기물질을 생산해내고, 인류가 소비하는 식품의 30%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자외선에 의한 생물량의 감소는 해조류 뿐만 아니라 먹이망에 의해서 복잡한 연결구조를 지닌 생태계 전체의 붕괴를 야기할 수 있는 심각한 사안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자외선에 대한 피해를 연구 평가하여 전략을 세우고 이를 예측하는 예보시스템을 개발할 필요성이 절실히 부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