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ine bivalvia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5초

환경보전해역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춘계와 하계의 군집구조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during Spring and Summer Season in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Area, Korea)

  • 최병미;윤재성;김성길;김성수;최옥인;손민호;서인수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95-108
    • /
    • 2016
  • 본 연구는 환경보전해역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출현 종수, 개체수 및 군집구조를 파악하는 목적으로, 2009년 춘계(5월)와 하계(8월)에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은 총 195종과 18,685개체(667개체 m-2)로 나타났으며, 그 중 환형동물의 다모류가 각각 96종과 12,075개체(431개체 m-2)가 출현하여 전체의 49.2%와 64.6%를 차지하였다. 환경보전해역의 주요 우점종은 다모류의 긴자락송곳갯지렁이(Lumbrineris longifolia, 76±224개체 m-2), Mediomastus californiensis(42±117개체 m-2), Tharyx sp.3(26±110개체 m-2), 연체동물 이매패류의 아기반투명조개(Theora fragilis, 54±78개체 m-2) 및 절지동물 갑각류의 단각류인 Eriopisella sechellensis(70±146개체 m-2) 등이었다. 출현 종과 개체수의 자료를 근거로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를 분석한 결과, 크게 3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그룹 1은 모든 조사 시기의 함평만 정점과 8월의 득량만 정점 4, 그룹 2는 모든 조사 시기의 가막만 정점 4와 5로 구성되었다. 마지막으로 그룹 3은 그룹 1과 2를 제외한 모든 정점들이 포함되었다. 연구해역에서는 공통적으로 긴자락송곳갯지렁이와 아기반투명조개가 우점한 가운데, 그룹 1에서는 오뚜기갯지렁이(Sternaspis scutata)와 짧은다리안경옆새우(Ampelisca cyclops iyoensis) 등이, 그룹 2에서는 등가시버들갯지렁이(Capitella capitata)가 전반적으로 높은 밀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그룹 3에서는 Heteromastus filiformis, Tharyx sp.3 및 Sinocorophium sinensis가 우점하였다. 본 연구해역에서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는 공간적으로 폐쇄된 형태의 내만과 열린 형태의 만입구의 정점군으로, 세부 정점별로는 함평만의 정상해역 정점군, 득량만의 일부 오염심화 정점군 및 가막만의 오염심화 정점군으로 구분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환경보전해역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군집은 만의 형태와 오염심화의 정도에 따라 구조를 달리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낙동강 하구에서 새우조망으로 채집된 생물의 계절별 종 조성 (Seasonal Species Composition of Marine Organism Collected by a Shrimp Beam Trawl in Nakdong River Estuary, Korea)

  • 이종희;이재봉;김정년;이동우;신영재;장대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77-190
    • /
    • 2009
  • 2007년 가을부터 2008년 가을까지 낙동강 하구 연안에서 출현한 생물은 93과 169종이었으며, 그 중 갑각류가 43종 그리고 어류가 99종으로 나타났다. 봄에 가장 다양한 종들이 나타났으며, 가을과 겨울은 출현하는 종수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단위면적당 개체수는 2008년 겨울이 가장 낮았으며, 2008년 여름에 가장 높았다. 분류군별 단위면적당 개체수의 어획비율은 갑각류가 3.8~64.5%, 극피동물류가 0.7~2.6%, 두족류가 1.8~10.1%, 복족류가 6.7~28.9%, 어류가 19.4~71.9% 그리고 이매패류가 1.7~8.0%를 차지하였다. 단위면적당 어획중량은 2008년 봄이 가장 낮았으며, 2008년 가을에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단위면적당 어획중량의 비율을 보면 어류가 70.6~92.1%를 차지하였으며, 나머지 분류군이 약 30~8%를 차지하였다. 단위면적당 출현 개체수가 많은 종은 반딧불게르치, 열동가리돔, 갈색고리돼지고둥, 마루자주새우 등이었으며, 단위 면적당 높은 어획량을 나타내는 종들은 성대, 황아귀, 홍어, 반딧불게르치 등이었다. 낙동강 하구 연안해역에서 조사된 어종들의 계절별 출현 특성에 따라 18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으며, 각 계절의 출현 종에 따른 유사도는 2007년 가을과 2008년 가을이 가장 유사하였으며, 다음으로 2008년 봄과 여름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어획된 어종들은 총 29종으로 갑각류 9종, 두족류 2종, 그리고 어류 18종이었다. 마루자주새우, 반딧불게르치, 성대, 열동가리돔, 홍어, 황아귀 등 연구해역에서의 주서식종들이 단위면적당 개체수와 어획량 면에서 계절에 따라 이동하는 종들에 비하여 월등히 높았다.

곰소만에 서식하는 암컷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의 난형성과정 및 난모세포 퇴화의 미세구조적 연구 (Ultrastructural Studies of Oogenesis and Oocyte Degeneration in Female Ruditapes philippinarum (Bivalvia: Veneridae) from Gomso Bay, Korea)

  • 이기영;정의영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2권1호
    • /
    • pp.41-49
    • /
    • 2008
  • 한국 곰소만산 암컷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의 난모세포의 발달 및 퇴화과정 중 일어나는 미세구조적 변화에 관해 기술하였다. 난소소낭은 영양성분을 저장하는 포상결체조직세포(VCT cell)들의 기질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난 형성과정 초기에 초기난황형성난모세포와 보조세포(follicle cell)들 사이에 desmosome-like gap junction들이 나타났다. 난황형성과정은 골지체, 미토톤드리아, 조면소포체가 결합되어 작용하는 자율합성과정을 통하여 일어나며, 난황막 형성에 앞서 난황형성과정의 초기와 난모세포 퇴화에 없어서는 안될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조세포들은 식세포작용 및 난모세포 퇴화로부터 유래되는 산물들의 세포내소화에 관여한다. 이들의 기능은 난황형성에 필요한 난황전구체들로 전환이 일어나게 한다. 또한, 보조세포들은 난황형성난모세포들이 이용하는 글리코겐과 지방적들을 세포질 내에 영양물질로 축적, 저장할 수 있다. 보조세포들은 난모세포가 퇴화되는 기간 중에는 난모세포의 붕괴를 위해 리소조옴 체제를 가지며, 영양물질 저장을 위해 세포질 내에 존재하는 여러 종류의 파고소옴(phagosome)들을 흡수하였다. 그러나 보조세포들은 난황형성과정에서 난황형성을 위한 난황전구체의 주된 공급원이 아니라고 추정된다.

  • PDF

살조개, Protothaca jedoensis의 성성숙과 성비 (Sexual Maturation and the Sex Ratio of the Jedo Venus, Protothaca jedoensis (Bivalvia: Veneridae))

  • 김지현;정의영;김용호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9-17
    • /
    • 2003
  • 1999년 1월부터 12월까지 한국 보령 연안에 서식하는 살조개 ( Protothaca jedoensis) 를 대상으로 생식소지수, 생식소 성숙 및 산란에 따른 생식주기, 산란기, 군성숙도, 그리고 성비 등 생식생태를 조사하였다. 생식소는 내장낭의 간중장선 외측을 둘러싸고 있는 외벽 근섬유막으로부터 족부의 외벽근 섬유막 사이에 있는 망상결체 조직층 사이에 다수의 소낭 또는 세관으로 분포하였다 . 난소는 수많은 난소소낭으로, 정소는 다수의 정소세관들로 구성되어 있다. 암수의 생식소지수 (GI)의 월별 변화는 2월부터 점진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하여, 5월에 최대에 이른 후 6월부터 급격히 감소하여 11월에 최소에 이르고 있어 생식주기의 변화와 유사하였다. 본 종의 산란기는 1년에 1회로 5-7월사이에 일어나며, 산란성기는 해수 수온이 20$^{\circ}C$이상인 6월과 7월사이 이었다. 살조개 암수의 생식주기는 초기활성기 (12-3월), 후기활성기 (2-5월), 완숙기 (4-7월), 부분산란기 (5-8월), 퇴화 및 비활성기 (7-1월) 의 연속적인 5단계로 구분할 수 있었다. 암수 개체의 군성숙도(%) 는 각장 30.1-35.0 mm 인 경우 군성숙도 (%) 는 각각 52.6%와 60.0%이었고, 각장 45.1 mm 이상인 암 ,수 개체들의 성비는 1:1로 유의한 차를 보이지 않았다(X$^2$ = 0.40, p > 0.05).

  • PDF

Gametogenic Cycle by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Biological Minimum Size in Protothaca (Notochione) jedoensis (Bivalvia: Veneridae) in Western Korea

  • Park, Kwan-Ha;Chung, Ee-Yung;Lee, Chang-Hoon;Kim, Sung-Han;Kim, Sung-Yeon;Seo, Won-Jae;Ryu, Dong-Ki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61-271
    • /
    • 2011
  • The gametogenic cycle, the spawning season and the biological minimum sizes in female and male Protothaca (Notochione) jedoensis were investigated by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In females, monthly changes in the percents of the follicle areas to the ovarian tissue areas and the percents of the oocyte areas to the ovarian tissue areas increased in February and reached the maximum in April, and then gradually decreased from May to July, with the spawning peak between June and July. In males, monthly changes in the percents of the testicular tissue areas to total tissue areas and the percents of the spermatogenic stage areas to the testicular tissue areas increased in February and reached the maximum in April, and then showed a rapid decrease from May to July. From these data, it is apparent that the number of spawning seasons in female and male P. (N.) jedoensis occurred once a year, from May to July. Therefore, P. (N.) jedoensis in both sexes showed a unimodal gametogenic cycle during the year. Compared the gametogenic cycle by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in 2007 with the previous qualitative results of this species, the results of the gametogenic cycle calculated by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showed some differentiations in the spawning seasons evaluated by the gonad index by qualitative histological analysis. The intervals of the beginning of two spawning seasons showed one month between the results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The biological minimum sizes (considering to 50% of group sexual maturity) in female and male clams by quantitative analysis of this species are 32.01 mm in shell length in females and 30.58 mm in males,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mean shell length fitted to von Bertalanffy's equation, 30.58 and 32.01 mm in shell length were considered to be two years old. Therefore, we assume that both sexes of this population begin reproduction from two years of age.

한국 서해산 백합, Meretrix lusoria의 연령과 성장 (Age and Growth of the Hard Clam, Meretrix lusoria (Bivalvia: Veneridae) on the West Coast of Korea)

  • 류동기;정의영;김용민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1권4호
    • /
    • pp.152-157
    • /
    • 2006
  • 2004년 4월부터 2005년 3월까지 전라북도 김제시 심포면 갯벌에 서식하는 백합의 연령과 성장을 조사하였다. 백합의 패각에 나타나는 윤문은 년 1회 형성되며, 주된 윤문 형성시기는 2월$\sim$4월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초륜의 형성기간은 약 6개월(0.5년)로 나타났으며, 각장(SL)과 각고(SH)간의 관계는 SH=0.8103 SL + 0.5145$(R^2=0.991)$이고, 각장과 각폭(SW)간의 관계는 SW=0.4897 SL + 0.0315 $(R^2=0.976)$이며, 각장과 전중량(TW)간의 관계는 $TW=2.9195\times10^{-4}\;SL^{2.9547}\;(R^2=0.991)$로 나타났다. 연령 (t)에 대한 각장(SL)의 Bertalanffy 성장식은 $SL_t=104.9(l-e^{-0.2235(t+0.7677)})$였으며, 전중량(TW)의 Bertalanffy 성장식은 $TW_t=280.8(l-e^{-0.2235(t+0.7677)})^{2.9547}$로 추정되었다.

참굴, Crassostrea gigas의 패각운동을 이용한 유독와편모조 Alexandrium 속의 모니터링 연구 (A Studies on the Bio-monitoring using Shell Valve Movements (SVMs) of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for Toxic Dinoflagellates, Genus Alexandrium)

  • 김윤정;윤양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778-784
    • /
    • 2017
  • 참굴(Crassostrea gigas)의 패각운동을 이용하여 Alexandrium 속의 조기 출현모니터링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지구규모에서 패류독화를 발생시키는 A. fundyense와 잠재적 유독종으로 알려진 A. affine를 이용하여 홀 소자센서(Hall element sensor)를 사용하여 참굴의 패각운동(SVMs)을 측정하였다. 참굴은 Isocrysis galbana를 먹이생물로 하여 안정화 시킨 다음 3일간 절식 시킨 후 실험에 제공하였다. 결과 참굴은 A. fundyense에 대해 세포밀도 20 cells/mL에서 SVMs 횟수가 $10.5{\pm}1.2times/hr$로 증가하여 민감하게 반응하였고, 세포밀도 500 cells/mL에서 재차 $14.1{\pm}5.7times/h$, 5,000 cells/mL에서 $27.9{\pm}11.1times/hr$로 SVMs가 급격한 증가를 보였다. 그러나 A. affine에 대해서는 세포밀도가 300 cells/mL까지 $6.7{\pm}3.9times/hr$로 기준 SVMs와 유사하였고, 세포밀도 1,000 cells/mL 이상에서 $15.3{\pm}10.8times/hr$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즉 A. fundyense는 20 cells/mL에서부터 참굴의 SVMs가 민감하게 반응하였지만, A. affine는 높은 1,000 cells/mL의 세포밀도에서 SVMs가 반응하였다. 이러한 결과에서 유독와편모조에 대한 참굴의 SVMs는 종에 따른 차이가 있어, A. fundyense의 초기발생 예보에는 유용하게 활용 가능하지만, A. affine에 응용하는 것은 어렵다는 결론을 얻었다.

Ultrastructures of Germ Cells and the Accessory Cells During Spermatogenesis in Male Gomphina veneriformis (Bivalvia: Veneridae) on the East Sea of Korea

  • Chung, Ee-Yung;Chung, Chang-Ho;Kim, Jin-Hee;Park, Sung-Woo;Park, Kwan-Ha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51-62
    • /
    • 2010
  • The ultrastructures of germ cells and the accessory cells during spermatogenesis and mature sperm ultrastructure in male Gomphina veneriformis, which was collected on the coastal waters of Yangyang, East Sea of Korea, were investigat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observations. The morphology of the spermatozoon has a primitive type and is similar to those of other bivalves in that it contains a short midpiece with four mitochondria surrounding the centrioles. Accessory cells are observed to be connected to adjacent germ cells, they contain a large quantity of glycogen particles and lipid droplets in the cytoplasm.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they are involved in the supplying of the nutrients for germ cell development, while any phenomena associated with phagocytosis of undischarged, residual sperms by lysosomes in the cytoplasm of the accessory cells after spawning was not observed in this study. The morphologies of the sperm nucleus type and the acrosome shape of this species have a cylindrical and modified long cone shape, respectively. In particular, the axial filaments in the lumen of the acrosome, and subacrosomal granular materials are observed in the subacrosomal space between the anterior nuclear fossa and the beginning part of axial filaments in the acrosome. The spermatozoon is approximately $50-55{\mu}m$ in length including a long sperm nucleus (about $7.80{\mu}m$ in length), an acrosome (about $1.13{\mu}m$ in length) and tail flagellum ($40-45{\mu}m$). The axoneme of the sperm tail flagellum consists of nine pairs of microtubules at the periphery and a pair at the center. The axoneme of the sperm tail shows a 9+2 structure. Some charateristics of sperm morphology of this species in the family Veneridae are (1) acrosomal morphology, (2) the number of mitochondria in the midpiece of the sperm,. The axial filament appears in the acrosome as one of characteristics seen in several species of the family Veneridae in the subclass heterodonta, unlikely the subclass pteriomorphia containing axial rod instead of the axial filament. As some characteristics of the acrosome structures, the peripheral parts of two basal rings show electron opaque part (region), while the apex part of the acrosome shows electron lucent part (region). These charateristics belong to the family Veneridae in the subclass heterodonta, unlikely a characteristic of the subclass pteriomorphia showing all part of the acrosome being composed of electron opaque part (region). Therefore, it is easy to distinguish the families or the subclasses by the acrosome structures. The number of mitochondria in the midpiece of the sperm of this species are four, as one of common characteristics appeared in most species in the family Veneridae.

동죽, Mactra veneriformis의 생존, 호흡 및 기관계 구조에 미치는 구리 (Cu)의 독성 (Copper Toxicity on Survival, Respiration and Organ Structure of Mactra veneriformis (Bivalvia: Mactridae))

  • 신윤경;박정준;임현식;이정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29-137
    • /
    • 2013
  • 본 연구는 구리에 노출된 동죽, Mactra veneriformis의 생존율, 호흡율 및 기관계의 반응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기간은 4주였으며, 실험구는 대조구와 구리 노출구 3개 (0.025, 0.050 and 0.100 mg/L)였다. 실험 결과 구리는 동죽의 생존율과 호흡률의 저하 및 기관계의 조직학적 변성을 유도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구리 0.100 mg/L 노출구에서 3주후 사망률은 100%였으며, 호흡률은 대조구에 비해 75% 감소하였다. 기관계의 조직학적 분석 결과, 외투막 상피층과 결합조직층의 변성, 아가미 점액세포의 증가와 상피세포의 괴사, 발에서는 상피층의 붕괴, 점액세포의 감소 및 혈림프동의 확장과 결합조직층의 변성을 나타냈다. 소화맹낭의 소화선세관에서는 호염기성 세포와 상피세포의 위축 및 농도의존적으로 lipofuscin의 축적이 확인되어 저농도의 구리에 노출된다 할지라도 노출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동죽의 재생산 및 생산량 변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남해안 여자만의 저서 다모류 군집 분포 (Distribution of Benthic Polychaeta Community in Yoja Bay, Korea)

  • 김용현;신현출;임경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399-412
    • /
    • 200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mposition and the distribution of the benthic polychaeta community in the semi-enclosed Yoja Bay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and was designed to deduce temporal changes in the community with the comparison of the previous studies. In YoJa Bay, benthic polychaetous community structure was investigated on the base of the samples from 87 stations. The surface sediment was mainly composed of fine-grained sediment, mixed clayey silt and silty clay. The total benthic macrofaunal density was $387 indiv./m^2$, and the density was higher in the middle bay, and in the mouth of bay than in the inner bay. scapharca subcrenata (Bivalvia) and amphipods (Crustacea) were important species in the inner and the middle of the bar, respectively. Benthic polychaetes were comprised of 72 species with a mean density of $149 indiv./m^2$. Their distributions showed higher densities in the mouth of bay than in the rest of bay. The dominant species over 1.0 percentages were composed of the 20 species, and they occupied $84.5\%$ of the total density. The most dominant species was Sternaspis scutata ($13.6\%$), fallowed fly Heteromastus filiformis ($9.8\%$), Polynoidae indet. ($8.3\%$), Sigambra tentacuzata ($7.1\%$) and others. The cluster analysis revealed that the study area was divided into three station groups. At the station group YI located in the inner bay, the most dominant species was Heteromastus filiformis . At the station group YII in the middle bay, the dominant species was Sternaspis scutata. And at the station group YIII in the mouth of bay, the dominant species was Paraiacydonia paradoxa. Whereas Sternaspis scutata and Mediomastus sp. were the dominant species in the past study, Heteromastus filiformis and Tharyx sp. appeared newly to be the dominant species, even if their low densities that in the past. These facts mean that Yoja Bay be maintained yet as little polluted area compared to other bays on the coast of Korea, but needed some caution of marine environmental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