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ginal microleakage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34초

다이아몬드 기구로 삭제한 와동에서 2단계 접착제의 미세누출 비교 (MICROLEAKAGE OF 2-STEP ADHESIVE SYSTEMS IN DIAMOND-PREPARED CAVITY)

  • 이명구;조권환;조영곤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5호
    • /
    • pp.437-444
    • /
    • 2007
  • 이 연구는 거친 입자와 미세한 입자의 다이아몬드 포인트로 형성한 5급 와동에서 서로 다른 2단계 접착시스템 사용시 법랑질과 상아질 변연에서의 미세누출 차이를 상호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40개의 발거한 대구치의 협면 치경부에 각각 $106-205\;{\mu}m$의 거친 다이아몬드 포인트 (EX-41)와 $53-63\;{\mu}m$의 미세한 다이아몬드 포인트 (TF-21F)를 이용하여 20개씩 5급 와동을 형성한 후 사용된 접착시스템과 복합레진에 따라 다음과 같이 4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1군은 EX-41 포인트로 형성한 와동에 Single Bond와 Z 250을 사용한 군, 2군은 TF-21F 포인트로 형성한 와동에 Single Bond와 Z 250을 사용한 군, 3군은 EX-41 포인트로 형성한 와동에 Clearfil SE Bond와 Clearfil AP-X를 사용한 군, 4군은 TF-21F 포인트로 형성한 와동에 Clearfil SE Bond와 Clearfil AP-X를 사용한 군으로 분류하였다. 각 군은 $5^{\circ}C$$55^{\circ}C$의 증류수에서 500회 열 순환한 후 2% methylene blue용액에 1일 동안 침적하였다. 각 군의 치아를 협설로 절단하여 광학 입체현미경 하에서 법랑질과 상아질 변연에서의 색소침투 정도를 관찰하여 미세누출 점수를 평가하고, 각 군 간의 유의성을 검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이 연구를 종합하면, 5급 와동에서 Single Bond는 이 연구에 사용한 다이아몬드 포인트의 종류에 따른 변연 미세누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Clearfil SE Bond는 거친 다이아몬드 포인트 보다는 미세한 다이아몬드 포인트를 사용하는 것이 법랑질과 상아질 변연 모두에서 낮은 미세누출을 보였다.

복합레진 수복물의 변연 미세누출에 관한 BiscoverTM 전색제의 효과 (EFFECT OF BISCOVER ON THE MARGINAL MICROLEAKAGE OF COMPOSITE RESIN RESTORATION)

  • 조영곤;최희영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0권5호
    • /
    • pp.355-362
    • /
    • 2005
  • 본 연구는 복합레진을 광조사하기 전과 광조사한 후에 표면 전색제인 Biscover를 적용하여 이들에 대한 변연 미세누출을 평가하고, 또한 표면 전색제를 적용하지 않는 복합레진 수복물과의 미세누출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30개의 발거된 대구치의 협면 치경부에 5급 와동을 형성하여 다음과 같이 3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대조군은 복합레진 표면에 Biscover를 적용하지 않은 군, 1군은 복합레진을 광조사하고 마무리한 후 Biscover를 적용한 군, 2군은 복합레진을 광조사하지 않고 Biscover를 적용한 군. 각 군의 시편은 실온의 증류수에 48시간 동안 보관한 후 $5^{\circ}C$$55^{\circ}C$에서 1,000회의 열 순환을 시행하고 2% methylene blue용액에 4시간 동안 침적시켰다. 20배율의 광학 입체현미경 하에서 각 군의 교합면측과 치은측 변연의 색소침투 정도를 관찰하여 미세누출 점수를 얻은후, 각군 간의 유의성을 검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2군은 1군보다 교합면측과 치은측 변연 모두에서 높은 미세누출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 > 0.05). 2. 대조군은 교합면측 변연에서 1군과 2군보다 약간 높은 미세누출을 보였으며 , 치은측 변연에서 1군보다 약간 높게 그리고 2군과 비슷한 미세누출을 보였다 (p > 0.05). 3. 대조군과 2군은 교합면측 보다 치은측 변연에서 통계학적으로 높은 미세누출을 보였으며 (p < 0.05), 1군은 교합면측과 치은측의 변연 미세누출 간에 통계학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p > 0.05). 본 연구를 종합하면, Biscover는 중합된 복합레진 표면에 적용할 경우 치은측 변연의 미세누출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Self-etching priming/bonding agent를 이용한 수복에서 microleakage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MICROLEAKAGE OF THE RESTORATION WITH SELF-ETCHING PRIMING/BONDING AGENT)

  • 유승훈;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6-33
    • /
    • 2004
  • Bonding Agent는 1세대에서 5세대에 거치기까지 많은 발전을 하였고, 최근에는 임상술식과정의 단축에 있어 비약적인 발전을 보였다. 최근에 개발되어 소개된 self-etching priming/bonding agent는 6세대 bonding agent로 분류되며, 이를 이용하여 법랑질 및 상아질에 대한복합 레진의 충전시 발생하는 미세누출을 methylene blue를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상아질에서는 기존의 4세대 5세대 접착제와 유의 한 차이가 없었으나, 법랑질에서는 6세대 bonding agent가 통계학적으로 높은 미세누출 양상을 보였다.

  • PDF

섬유강화형 복합레진전장관의 변연적합도 및 변연누출에 관한 연구 (MARGINAL FITNESS AND MARGINAL LEAKAGE OF FIBER-REINFORCED COMPOSITE CROWNS DEFENDING UPON LUTING CEMENTS)

  • 김선종;신상완;한중석;서규원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18-630
    • /
    • 2000
  • As Fiber-reinforced composite restorations cannot be made without leaving a marginal gap, luting cements play a pivotal role in sealing the margins as a prevention against margnal leakage. A recently introduced adhesive resin cement system is claimed to adhere chemically, as well as mechanically, to tooth substances, dental alloys and porcelain. But when considering the clinical variation conventional cementation using Zinc Phosphate and Glass-Ionomer can be requested. A vitro study was undertaken to compare microleakage and marginal fitness of Fiber-reinforced composite crowns(Targis/Vectris) depending upon luting cements. Fifty non-carious human premolar teeth were randomly divided into five experimental groups of 10 teeth each and luted with five luting cements. ($Bistite\;II^(R),\;Super-bond^(R),\;Variolink\;II^(R)$), Zinc phosphate and Glass-Ionomer cement) After 24 hours of being luted, all specimens were thermocycled 300 times through water bath of $5^{\circ}C\;and\;55^{\circ}C$ in each bath, then the quality of the marginal fitness was measured by the Digital Microscope and marginal leakage was characterized using Dye Penetration technique and the Digital Micro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mean values of marginal fit were Bistite II($46.78{\mu}m$), Variolink II($56.25{\mu}m$), Super-Bond($56.78{\mu}m$), Glass-Ionomer($99.21{\mu}m$), Zinc Phosphate($109.49{\mu}m$) indica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01. 2. The mean microleakage values of tooth-cement interface, restoration-cement interface were increased in the order of Variolink II, Bistite II, Super-Bond, Glass-Ionomer, Zinc Phosphate 3. Crowns luted with resin cement (Bistite II, Super-Bond, Variolink II, etc) exhibited less marginal gap and marginal leakage than those luted with conventional Glass-Ionomer and Zinc Phosphate cement. 4. The results indicated that all five luting systems yielded comparable and acceptable marginal fit.

  • PDF

표면 처리방법에 따른 복합레진의 미세누출에 관한 실험적 연구 (A STUDY ON MICROLEAKAGE OF COMPOSITE RESIN AFTER SURFACE TREATMENT)

  • 이창우;김정욱;이상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03-115
    • /
    • 1998
  • Adhesion of composite resin to tooth structure has been of tremendous signgicance in clinical dentistry. Due to the lack of adhesion between composite restorative resins and enamel and dentin, microleakage occurs at the tooth/restoration interface. This may lead to discoloration, secondary caries, marginal breakdown, postoperative sensitivity, and even pulpal pathology. According to extensive use of composite resin, every effort on improving bonding strength and reducing microleakage between a tooth and composite resin has been continu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microleakage in enamel and dentin treated with air-abrasion, acid etching and combination when restored with composite resin. Class V cavities were prepared on 30 premolars. The specimens were divided into following groups. group 1:air-abrasion+Scotchbond Multi-purpose group 4 :air-abrasion+All-Bond 2 group 2:acid etching+Scotchbond Multi-purpose group 5 :acid etching+All-Bond 2 group 3:combination+Scotchbond Multi-purpose group 6 :combination+All-Bond 2 #combination:air-abrasion + acid etching The specimens were filled with Z-100 after application of Scotchbond Multi-purpose and All-Bond 2. Thermocycling was conducted by alternately dipping the specimens in $5^{\circ}C$ and $55^{\circ}C$ water for 30 seconds 500 times. 1% methylene blue was applied and the specimens were left for 24 hours at $37^{\circ}C$. After washing out the dye, the tooth was sectioned buccolingually along the axis. The sectioned surface was observed with stereoscope for dye penetration. The author has measured the microleakage in teeth prepared with air-abrasion, acid ethching and combination to study the difference in microleakage following different methods of tooth surface treatment and has come to following results. 1. In comparing microleakage between groups, group 1 and 4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rom group 2, 3, 5 and 6(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 2, 3, 5, 6(p>0.05) nor between group 1 and 4(p>0.05). 2. In comparing microleakage among tooth surface treatment methods, Air-abrasion group showed significantly more microleakage than acid etching group and combination(airabrasion + acid etching) group(p<0.05). Combination(acid etching+air-abrasion)group tended to show lesser microleakage than acid etching group, but thi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3. In comparing microleakage between bonding agen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cotch bond Multi-purpose and All-Bond 2(p>0.05).

  • PDF

유동성 레진의 두께가 미세누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ARGINAL MICROLEAKGE ACCORDING TO THICKNESS OF FLOWBLE RESIN)

  • 송기강;조영곤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0권5호
    • /
    • pp.363-371
    • /
    • 2005
  • 본 연구는 2급 복합레진 수복 시 다양한 두께의 유동성 레진 이장이 법랑질 또는 상아질 치은측 변연부의 미세누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발거된 상, 하악 대구치의 근심 또는 원심면에 2급 와동을 형성하고 혼성복합레진만으로 충전한 군 (대조군)과 유동성 레진을 치은측에 0.5 mm (실험 1군), 1 mm (실험 2군), 2 mm (실험 3군) 두께로 이장한 후 복합레진을 충전한 군으로 분류하였다. 각 군은 $5^{\circ}$$55^{\circ}C$에서 500회 열순환을 시행한 후 $2\%$ methylene blue에 24시간 동안 침적시켜 광학 입체현미경하에서 변연부의 색소 침투를 관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유동성 레진의 다양한 두께는 복합레진 수복물의 변연부 미세누출에 영향을 미쳤다. 복합레진을 이용한 구치부 2급 와동 수복 시 법랑질 또는 상아질 변연에서 0.5 mm두께로 유동성 레진을 적용하는 것이 미세누출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Amalgambond Liner의 도포가 amalgam 수복재의 변연누출과 유지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AMALGAM CAVITY LINER APPLICATION ON THE MARGINAL LEAKAGE AND RETENTION OF AMALGAM RESTORATIONS)

  • 김태성;김종수;김용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800-817
    • /
    • 1996
  • In this study, we tried to evaluate the effect of Amalgambond liner application on the degree of marginal leakage and retention of amalgam restoration by comparing with that of the Copalite and All-bond 2.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experiment were as follows; 1. Tensile strength representing the bond between amalgam and tooth structure was the highest in Amalgambond, and All-Bond 2, Copalite in descending order.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ach group(P<0.05). 2. The degree of microleakage in Amalgambond was lower than that of All-Bond 2, and Copalite, but no sta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uld be found (P>0.05). 3. The liner such as Amalgambond or All-Bond 2 were evaluated to be superior to the conventional Copalite in bond strength as well as in microleakage. But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not show the superiority of one material over the others; Amalgambond and All-bond 2. Besides the results of the study, other factors, such as practical convenience, should be considered in determining the selection of material. The support of welldesigned clinical studies on this subject are in demand.

  • PDF

복합레진 충전시 Glass Inserts의 적용이 변연누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GLASS INSERTS ON MARGINAL LEAKAGE OF COMPOSITE RESIN RESTORATION)

  • 김용철;김용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383-404
    • /
    • 1997
  • In this study, we tried to compare the effect of glass inserts on marginal leakage of composite resin restoration by comparing with that of several filling method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experiment were as follows ; 1. The degree of microleakage measured in glass inserts group was generally lower than that of the other groups. Statistical analysis showed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 between glass inserts and one complete unit, pre-polymerized composite resin ball(P<.05),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of glass inserts and increments(P>.05). 2.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showed relatively large gap around resin-tooth interface in specimens restored the method of using the one complete unit and pre-polymerized composite resin ball whereas a denser and tighter was observed in increments and glass inserts group. Generally the gingival margin was shown to have better bonds than the occlusal margin in specimen of all groups. 3. In the present experiment, methods using the techniques of glass inserts and increments were evaluated to be superior to those of one complete unit, pre-polymerized composite resin ball in the aspect of microleakage. However,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not determine the superiority of the use of glass inserts over incremental method. Besides the physical properties observed in this study, the practical aspect of clinical convenience should be considered in determining the selection of material.

  • PDF

Bulk fill 유동성 복합레진의 변연 누출에서 다른 중합시간의 영향에 대해 마이크로시티를 이용한 평가 (Evaluation of marginal leakage of bulk fill flowable composite resin filling with different curing time using micro-computed tomography technology)

  • 김은지;이규복;진명욱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2권3호
    • /
    • pp.184-193
    • /
    • 2016
  • 목적: 중합 시간이 bulk fill 유동성 복합레진의 미세누출에 미치는 영향을 마이크로시티를 이용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30개의 발거된 인간 대구치에 변형된 2급 와동인 vertical slot cavity를 형성하였다. SonicFill과 SureFil SDR flow을 단일 충전하였으며, 다른 중합시간(20, 40, 60초)으로 광중합 하였다. 모든 표본은 5000번의 thermal cycle을 시행하였다. 치아는 silver nitrate 용액에 24시간 동안 침전 후 8시간 동안 현상액에 침전하였다. 마이크로시티를 사용하여 시편을 촬영 후 침투된 silver nitrate solution을 3차원적으로 재건하여 그 부피를 측정하였다. 변연 누출 결과값의 통계 처리는 Mann-Whitney test를 사용하였다. 결과: 광중합 시간의 증가는 두 bulk fill 유동성 복합레진에서 변연 누출을 증가시켰다. 두 복합레진 사이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중합 시간은 bulk fill 유동성 복합레진의 변연 누출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이었다. 또한 마이크로시티를 통해 레진-치아 계면에서 변연 누출의 양을 비파괴적 방법으로 3차원적으로 재건하여 측정할 수 있었다.

구치부 인접면 와동에서 유동성 복합레진 이장재의 두께가 치은 변연부 미세누출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FLOWABLE COMPOSITE LINING THICKNESS ON CERVICAL MICROLEAKAGE OF PROXIMAL BOX)

  • 조윤정;김태완;김현정;김영진;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59-267
    • /
    • 2008
  • 구치부 인접면 와동에서 유동성 복합레진 이장재의 두께가 치은측 변연의 미세누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발거된 소구치 및 대구치의 근, 원심면에 box 형태의 와동(협설폭경 3mm, 근원심폭경 2mm, 상아법랑경계 상방 1mm에 치은 변연) 120개를 형성한 뒤, 무작위로 30개씩 선정하여 다음과 같은 4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group I- Tetric ceram 충전군(대조군) group II- 0.5mm 두께의 Tetric flow + Tetric ceram group III- 1.5mm 두께의 Tetric flow + Tetric ceram group IV- 2.5mm 두께의 Tetric flow + Tetric ceram 색소침투법으로 치은측 변연부 미세누출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group II는 group I에 비해 낮은 미세누출을 보였다(p<0.05). 2. group III, IV과 group I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미세누출의 차이가 없었다(p>0.05). 3. group II는 group III, IV에 비해 낮은 미세누출을 보였다(p<0.05). 4. 모든 group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치경부에서 미세누출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혼합형 복합레진으로의 구치부 인접면 와동 수복시 0.5mm 두께의 유동성 레진으로의 와동저 이장은 치은측 변연의 봉쇄능을 향상시켜 변연부 미세누출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