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ginal Transfer Time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6초

대중교통 이용자 속성을 고려한 환승시간별 환승률 결정모형의 개발 (Determination of Transfer Ratio According to Transfer Time Reflecting Passenger Attributes)

  • 송기태;박준식;고승영;김점산;이성모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17-227
    • /
    • 2008
  • 이용자가 수용 가능한 환승시간 및 환승거리의 결정은 환승시스템을 계획하는 단계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환승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 환승시스템 구성요소의 개선은 환승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전혀 영향을 주지 못한다. 한계환승도보거리는 이용자의 처음교통수단에서 다음 교통수단까지의 합리적인 도보거리와 대기시간으로 결정되어져야한다. 대중교통 네트워크나 환승시스템 계획단계에서 환승서비스 권역을 좀 더 현실적으로 결정하기 위해서는 이용자 속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환승에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 졌으며, 대중교통 이용자 인적속성에 따라 수용하는 환승거리와 시간이 다를 것이라는 가정을 한 후 대중교통 이용자 인적속성에 따라 환승시간별 환승률 산정 모형을 개발을 하는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중 한계환승시간과 상관관계가 높고, 환승시간에 따른 명확한 차이가 있는 성별, 월평균 수입별, 대중교통 환승횟수로 한정하여 환승시간별 환승률, 환승거리별 환승률의 결정모형을 개발하였다.

제한된 크기의 버퍼를 가진 생산 시스템의 분석 (Analysis of Transfer Lines with Finite Storage Buffers)

  • 허성관;하정진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15권26호
    • /
    • pp.151-157
    • /
    • 1992
  •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for analyzing the transfer lines with finite storage buffers. Each machine spends a random amount of time processing each material. This transfer line can be modeled by the tandem queueing system with finite buffers. The great dimensionality of the state space renders the analysis of such system a formidable task. We propose an efficient algorithm to obtain the marginal state probabilities based on the exact algorithm for the two-machine system. Other performance measures, such as the utilization, the blocking probability, the average sojourn time, and the average queue length, can be easily calculated.

  • PDF

대중교통 이용자의 환승교통수단선택 행태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sers' Travel Behavior Analysis of Transit Transfer)

  • 이상혁;김재석;김민석;우용한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47-157
    • /
    • 2013
  • 본 연구는 개별형태모형 중에서 다항로짓모형을 이용하여 대구시의 대중교통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환승교통수단선택모형을 구축한 것이다. 다항로짓모형 추정을 위해 사용된 종속변수는 버스${\leftrightarrow}$버스, 버스${\leftrightarrow}$지하철, 지하철${\leftrightarrow}$지하철, 버스${\leftrightarrow}$기타교통수단, 지하철${\leftrightarrow}$기타교통수단의 5가지 유형을 사용하였고, 환승교통 수단선택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설명변수로는 성별, 나이, 교통주체, 통행목적, 환승지역, 통행비용, 통행시간의 7가지를 사용하였다. 구축한 다항로짓모형을 이용하여 주어진 설명변수의 값에 대한 환승확률을 산정하였고, 모형의 적합도를 나타내는 ${\rho}^2$는 0.354로서 적합하게 나타났다. 설명변수(통행시간, 통행비용)값의 변화에 따른 확률변화를 가지고 한계효과를 분석하였다. 통행시간에 따른 환승의 한계효과는 통행시간이 증가하면 할수록 버스${\leftrightarrow}$버스, 버스${\leftrightarrow}$지하철의 이용객들이 지하철${\leftrightarrow}$지하철로 전환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통행요금에 따른 환승의 한계효과 분석에서는 버스${\leftrightarrow}$버스, 버스${\leftrightarrow}$지하철의 이용요금이 증가함에 따라 버스 및 지하철${\leftrightarrow}$기타교통수단으로의 전환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MTF 측정에 의한 카메라 렌즈 해상력 검사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Measuring System for Camera Lens Resolution Based on the MTF Performance)

  • 박희재;신호승;노영훈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29-634
    • /
    • 2000
  • This System is developed for the estimation of the Camera Lens Resolution. Signal data proportional to light intensity is obtained and sampled from the 2D CCD. Based on the measured signal. the MTF charateristcs of a camera lens are measured. We could measure the sagittal and tangential MTF in the on and off-axis at the same time. The automatic measurig methods for optimal image plane, magnification, and best marginal direction of test lens are presented.

  • PDF

A New Approach to Short-term Price Forecast Strategy with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pproach: Application to the Nord Pool

  • Kim, Mun-Kyeom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0권4호
    • /
    • pp.1480-1491
    • /
    • 2015
  • In new deregulated electricity market, short-term price forecasting is key information for all market players. A better forecast of market-clearing price (MCP) helps market participants to strategically set up their bidding strategies for energy markets in the short-term. This paper presents a new prediction strategy to improve the need for more accurate short-term price forecasting tool at spot market us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s (ANNs). To build the forecasting ANN model, a three-layered feedforward neural network trained by the improved Levenberg-marquardt (LM) algorithm is used to forecast the locational marginal prices (LMPs). To accurately predict LMPs, actual power generation and load are considered as the input sets, and then the difference is used to predict price differences in the spot market. The proposed ANN model generali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MP in each area and the unconstrained MCP during the same period of time. The LMP calculation is iterated so that the capacity between the areas is maximized and the mechanism itself helps to relieve grid congestion. The addition of flow between the areas gives the LMPs a new equilibrium point, which is balanced when taking the transfer capacity into account, LMP forecasting is then possible. The proposed forecasting strategy is tested on the spot market of the Nord Pool. The validity,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approach are shown by comparing with time-series models

긴급재난지원금 현금수급가구의 소비 효과 (Cash-Receiving Households' Responses to Covid-19 Transfers)

  • 이영욱
    • 노동경제논집
    • /
    • 제44권1호
    • /
    • pp.135-167
    • /
    • 2021
  • 본 연구는 긴급재난지원금을 현금으로 수급한 취약계층의 긴급재난지원금 사용행태를 분석하였다. 코로나 위기에 대응하여 전체 가구에 지급된 긴급재난지원금은 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 기초연금, 장애인연금 수급가구에게는 현금으로 지급되었으며, 현금수급가구는 전체 수급가구의 12.9%로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한다. 현금수급가구 대상 설문조사 결과, 긴급재난지원금을 대부분 소비지출로 사용하였고, 평균 한계소비성향은 0.217로 코로나 위기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을수록 높게 추정되었다.

  • PDF

대중교통 통행배정을 위한 일반화비용 추정 (An Estimation of Generalized Cost for Transit Assignment)

  • 손상훈;최기주;유정훈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21-132
    • /
    • 2007
  • 본 연구는 대중교통 통행배정을 위한 수단 및 경로선택의 기준으로서 도보시간, 대기시간(환승대기시간 포함), 차내시간, 환승시간(환승도보시간), 요금 및 각 요소별 가중치로 구성된 일반화비용 모형을 제시하였다. 모형의 정산을 위해 현실상황에 직면하도록 설계된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분석 하였으며, 한계대체율 및 임금율법을 적용하여 일반화비용 모형의 각 변수별 가중치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서울시내간 통행의 경우 차내시간 대비 도보시간의 가중치는 1.507, 대기시간은 1.749, 환승시간은 1.474, 요금은 1.476이며, 서울경기간의 경우, 각각 1.827, 1.967, 1.015, 0.857로 도출되었다. 통계검정 결과 두 모형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변수는 유의미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활용, 서울시 대중교통체계 개편 이후의 통행지표를 거시적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 서울시내간, 서울경기간 평균총통행시간은 30.23분, 63.29분으로 나타났으며, 일반화비용은 각각 2,510원, 3,880원으로 추정되었다.

Study on performance test of orchard tractor power transmission systems

  • Sung, Nam-Seok;Chang, Dong-Il;Huh, Yun-Kun;Chung, Sun-Ok;Cho, Jong-Seung;Ha, Jong-Kyou
    • 농업과학연구
    • /
    • 제40권3호
    • /
    • pp.237-241
    • /
    • 2013
  • This study started to export an orchard tractor to Europe under the situations that R&D activities for orchard tractor were marginal and even it was not produced. The R&D for orchard tractor has been progressed and the most of it is accomplishing the goal. In this study, the durability of clutch friction part was tested for F/R clutch and moment of inertia of PTO clutch, and it was compared with the design criteria of transmission of tracto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inertia test of F/R clutch, hydraulic pressures of clutch satisfied $1,961.33{\pm}196.13kPa$ of design criteria, and the variations of torque for forward and reverse operation were relatively constant.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durability of clutch friction part was stable and reliabl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main hydraulic pressures were maintained $1,961.33{\pm}196.13kPa$ during the tests of moment of inertia of PTO clutch, and when it was operated, the hydraulic pressures were reached $1,961.33{\pm}196.13kPa$.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hydraulic pressures of PTO satisfied the design criteria. By the results that the time of the hydraulic pressures of PTO reaching main hydraulic pressure, and that of torque values restoring to the original was same as the time of the first gear of PTO reaching the maximum rotational speed, it was found that PTO could transfer power to attachments as it was designed.

화해를 입은 철근콘크리트 내부기둥의 잔존거동 수치해석 모델 (Numerical Modeling of Residual Behavior of Fire-Damaged Reinforced Concrete Interior Columns)

  • 이차돈;신영수;이승환;이창은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893-902
    • /
    • 2005
  • 화재에 노출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정성 판단 및 보강정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화해손상을 입은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잔존거동을 예측하기 위한 합리적 모델이 필요하다 . 화해 손상을 입은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잔존거동을 예측하기 위한 이론모델 은 기둥 내부에 전달되는 열, 구성 재료의 열화 정도, 그리고 여러 형태의 기둥단면 형상을 고려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 서 제안한 수치해석 모텔은 이러한 영향인자들을 고려한다. 개발된 모델은 화해를 입은 기둥의 잔존거동을 적절하게 예측하였다. 개발된 모델을 이용하여 피복두께, 화해노출시간, 기둥의 기하학적 형상 등이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잔존거동에 미치는 영향 에 대하여 변수 고찰하였다. 변수고찰 결과 장기간 화해에 따른 기둥의 잔존내력 감소가 심각하게 나타났으나 기타 변수들의 차이에 따른 잔존거동의 차이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충청북도 내 지역별 병원 전 심장정지 환자의 특성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patients by region in Chungcheong buk-do)

  • 임성빈;양현모;김영재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3권5호
    • /
    • pp.33-44
    • /
    • 2024
  • 충북은 지역별 인구구성과 산업시설, 응급의료기관의 분포 등에 있어 다양한 지역적 특색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심장정지 환자의 발생 특성과 관련한 지역별 특성 요인을 분석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충북지역의 병원 전 발생하는 심장정지 환자의 특성과 119구급대 이송 현황을 분석하여 충청북도 지역 특성에 적합한 병원 전 심장정지 환자 대응체계를 구축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수행하였다. 본 논문은 충북지역 급성 심장정지 조사 원시자료(2020년)를 기초로 구급차로 이송된 심장정지 환자 1,188명을 분석한 후향적 연구이다. 충북 도내 응급의료기관은 총 11개소로 시 단위 지역에 편중되어 있어 군 단위 지역에서의 병원까지 환자 이송 시간이 지연되고 있었다. 군 단위 지역은 특별구급대의 출동 빈도가 상대적으로 적었으며, 심장정지 환자 소생에 도움이 되는 심장정지 약물 투여 빈도도 낮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응급의료서비스의 접근성 향상(소외지역의 구급차랑 배치, 응급의료기관 적정 배치 등), 외상성 심장정지 환자에 대한 예방 홍보 및 구급대원의 응급처치 전문성 강화를 위한 업무 범위 확대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