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patients by region in Chungcheong buk-do

충청북도 내 지역별 병원 전 심장정지 환자의 특성에 대한 분석

  • 임성빈 (충북 괴산소방서) ;
  • 양현모 (국립한국교통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 김영재 (국립한국교통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Received : 2024.04.12
  • Accepted : 2024.05.07
  • Published : 2024.05.31

Abstract

Chungbuk has various regional characteristics in terms of population composition by region, industrial facilities, and distribution of emergency medical institutions. However, there are no studies yet that have analyzed regional characteristic factors related to the occurrence characteristics of cardiac arrest patients. Therefore, this study provided basic data to establish a response system for OHCA patient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ungcheongbuk-do region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OHCA patients and the transfer status of 119 paramedics in Chungcheongbuk-do. This study is a retrospective study that analyzed 1,188 cardiac arrest patients transferred by ambulance based on raw data from the survey on acute cardiac arrest in Chungbuk (2020). There are a total of 11 emergency medical institutions in Chungbuk-do, which are concentrated in city-level areas, so the transfer time of patients to hospitals in county-level areas was delayed. In the county-level area, the frequency of dispatch of special paramedics was relatively small, and the frequency of administration of cardiac arrest drugs to help resuscitate cardiac arrest patients was also low. In conclusion,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accessibility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deployment of emergency vehicles in marginal areas, proper placement of emergency medical institutions, etc.), to promote prevention of traumatic cardiac arrest patients, and to expand the scope of work to strengthen the first aid expertise of paramedics.

충북은 지역별 인구구성과 산업시설, 응급의료기관의 분포 등에 있어 다양한 지역적 특색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심장정지 환자의 발생 특성과 관련한 지역별 특성 요인을 분석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충북지역의 병원 전 발생하는 심장정지 환자의 특성과 119구급대 이송 현황을 분석하여 충청북도 지역 특성에 적합한 병원 전 심장정지 환자 대응체계를 구축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수행하였다. 본 논문은 충북지역 급성 심장정지 조사 원시자료(2020년)를 기초로 구급차로 이송된 심장정지 환자 1,188명을 분석한 후향적 연구이다. 충북 도내 응급의료기관은 총 11개소로 시 단위 지역에 편중되어 있어 군 단위 지역에서의 병원까지 환자 이송 시간이 지연되고 있었다. 군 단위 지역은 특별구급대의 출동 빈도가 상대적으로 적었으며, 심장정지 환자 소생에 도움이 되는 심장정지 약물 투여 빈도도 낮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응급의료서비스의 접근성 향상(소외지역의 구급차랑 배치, 응급의료기관 적정 배치 등), 외상성 심장정지 환자에 대한 예방 홍보 및 구급대원의 응급처치 전문성 강화를 위한 업무 범위 확대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1년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o. 2000-0000000).

References

  1. 급성심장정지 조사, (2020), https://www.kdca.go.kr/ (accessed 03. 27. 2024). 
  2. 신원미, 김지만, 박종연, 신의철 and 최병호. "병원 밖 심장정지 환자의 생존 요인 분석." 대한보건연구(구 대한보건협회학술지), 제46권, 제46호, 93-105쪽, 2020년 
  3. 제조업 현황 (2022), https://www.chungbuk.go.kr/stat/contents.do?key=1361, (accessed 03. 25. 2024). 
  4. Cho BH. Distribution of unbalanced health carepersonnel and facilities by region. Statistics Korea, 100-10, 2018. 
  5. 고은정 and 조근자, "지역별 응급의료접근성이 노인의 허혈성 심장질환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제25권, 제2호, 19-38쪽, 2021년  https://doi.org/10.14408/KJEMS.2021.25.2.019
  6. Choi MJ. The effect of regional characteristics on pre-hospital delay in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 multilevel analysi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2019. 
  7. 오재호, 이용환, 이현우, and 천영석, "도민 안전망 확보를 위한 119구급차의 효율적 운영 방안, " 경기연구원, 2016년 
  8. 박상규, 김보균, and 임준환, "급성 심정지 환자의 자발순환회복 영향요인: 서울시 11 9 특별 구급대 데이터, " 한국웰니스학회지, 제17권, 제4호, 325-333쪽, 2022년 
  9. 문형준. 병원 도착 전 전문심장소생술을 받은 심정지 환자에게 구급대원이 시행한 정맥로 확보 및 약물 투여가 환자 예후에 미치는 효과 : smart advanced life support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순천향대학교 보건대학원, 2015년 
  10. COVID-19 확진자 발생 통계현황 (2023), https://www.kdca.go.kr/ (accessed 03. 25. 2024). 
  11. 배민기 and 김가영, "중대재해처벌법의 의미와 대응전략, " 충북 FOCUS, 1-25쪽, 2022년 
  12. 교통사고 통계자료(2022) https://www.chungbuk.go.kr/stat/index.do (accessed 03. 29. 2024). 
  13. 통계청(2021)- 2020년 자살발생현황 통계자료 
  14. 보건복지부(2022) - 2022 자살예방백서 
  15. Holmen J, Herlitz J, Ricksten SE, et al. Shortening ambulance response time increases survival in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J Am Heart Assoc Vol 9, no. 21. 2020. 
  16. Blanchard IE, Doig CJ, Hagel BE, et al. Emergency medical services response time and mortality in an urban setting. Prehosp Emerg Care. pp. 142-151. 2012. 
  17. 전자정부누리집 - 지역별 인구 및 인구밀도 통계 
  18. 소방청(2023) - 119구급서비스 통계연보 
  19. 공공데이터포털 누리집 - 충청북도 응급의료기관
  20. 유두선, 박정순, and 김태영, "도로환경요인과 교통사고의 상관분석 및 사고추정모형 개발," 대한교통학회지, 제25권, 제2호, 63-72쪽, 2007년 
  21. 경찰청, 2020 교통사고 통계 
  22. 소방청 (2019). 특별구급대 표준지침 
  23. 정범준, 최성수 and 윤성우. "119구급대 1급 응급구조사의 전문기도유지술과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4권, 제4호, 1709-1717쪽, 2013년  https://doi.org/10.5762/KAIS.2013.14.4.1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