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es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6초

말 인공수정에서 발정동기화와 배란유도 방법이 호르몬 농도와 임신율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Estrus Synchronization and Ovulation Induction Methods on Hormone Concentrations and Pregnancy Rate in Artificial Insemination of Riding Horses)

  • 권수현;박용수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5권4호
    • /
    • pp.111-117
    • /
    • 2024
  • Reproductive research such as artificial insemination and embryo transfer is necessary to produce high-quality riding hors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strus synchronization and ovulation induction methods, which can be considered the basis of artificial insemination in horses, on the hormone concentration and artificial insemination pregnancy rate of mares. For the purpose of synchronization of estrus in horses, Cidr-plus insertion method, Regumate feeding method, and 150mg progesterone + 10mg estradiol mixed administration method were used. In the Cidr-plus insertion method and the Regumate feeding method, the progesterone concentration reached the appropriate level for ovulation induction on the 8th day of administration. The mixed administration method of 150mg progesterone + 10mg estradiol maintained the progesterone concentration at an appropriate level immediately after administration. With the administration of PGF2a and hCG, progesterone concentration decreased rapidly, making ovulation induction possible.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pregnancy rate between natural estrus and estrus synchronization, the pregnancy rate was found to be higher in estrus synchronization and ovulation inductio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insufficient to judge the effect of the pregnancy rate due to the small number of tests, but in terms of usability, estrus synchronization and ovulation induction were useful. Therefore,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efficiency of future roadster production.

성숙배양액에 첨가하는 인간체액 (Human Body Fluids) 및 성선자극호르몬이 생쥐 미성숙난자의 핵성숙과 수정능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Human Body Fluids and Gonadotropins Supplemented in the Maturation Medium on the Nuclear Maturation and Fertilizability of Mouse Immature Oocytes)

  • 박기상;손원영;김진희;이경아;한세열;고정재;차광열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1권2호
    • /
    • pp.183-190
    • /
    • 1994
  •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find the optimal culture conditions for the maturation and fertilization of immature oocytes by the use human body fluids and gonadotropins (Gn) in the mouse model. Cumulus-enclosed mouse immature oocytes were incubated in the medium containing various human body fluids with or without Gn in vitro, and examined to confirm nuclear maturation (NM) and fertilization. Female ICR mice were stimulated with 7.5 IU pregnant mares' serum gonadotropin (PMSG). Cumulus-enclosed immature oocytes were isolated at 48-52 hr post PMSG injection and cultured in TCM 199 supplemen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20, 50, and 70%) of human body fluids such as fetal cord serum (hCS), follicular fluid (hFF), peritoneal fluid (hPF) and amniotic fluid (hAF)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10 IU/ml PMSG and 10 IU/ml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CG) for 18 hr. Fetal calf serum (FCS) was used as a control for the supplements. Matured oocytes were fertilized with sperm collected from the epididymis of male mice. Fertilization was conducted in T6 medium containing 15 mgl ml bovine serum albumin, and confirmed at 6 hr post-insemination. Evaluation of nucler maturation and fertilization was carried out by rapid staining using fuchi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ffects of human body fluids and FCS supplements on nuclear maturation of cumulus enclosed mouse immature oocytes. When maturation medium was supplemented with 20% hPF or 20% hAF, fertilization rates were significantly (P<0.01) lower than that of 20% FCS, hCS and hFF groups. However, higher concentrations of body fluids during IVM were not more beneficial on fertilizability of oocytes. The addition of G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fertilization rates in hPF and hAF groups (hPF without Gn; 51.5%, compared with 85.1% for addition of Gn, and hAF without Gn; 30.1% compared with 85.8% for addition of Gn) at 20% concentr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human body fluids at 20% concentration and gonadotropins can be used as supplements for the maturation of mouse immature oocytes in vitro. When gonadotropins supplemented with the human body fluids in the maturation medium, fertilizability of mouse immature oocytes was increased in hPF and hAF groups. These results can be applied to maturation of human immature oocytes in vitro.

  • PDF

Effect of age on heart rate, blood lactate concentration, packed cell volume and hemoglobin to exercise in Jeju crossbreed horses

  • Kang, Ok-Deuk;Park, Yong-Soo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9권1호
    • /
    • pp.2.1-2.6
    • /
    • 2017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on heart rate, blood lactate concentration, packed cell volume (PCV) and hemoglobin (Hb) response after conducting exercise in endurance horses. Methods: A total of 20 healthy 3-9-years-old Jeju crossbreed mares ($5.95{\pm}2.24$ year) of age and $312.65{\pm}13.59kg$ of weight) currently participating the endurance competition were used. The field tests selected for the experiment was gallop (approximately 8.3 m/s) along the selected 2.5 km course (a natural forest trail, not artificial road; a closed loop course). The horse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age; 3-4 years of age (G1, $3.29{\pm}0.49$ year), 6-7 years of age (G2, $6.42{\pm}0.53$), and 8-9 years of age (G3, $8.50{\pm}0.55$). The measurements times for the heart rate, blood lactate concentration, PCV, and Hb analysis were conducted before exercise (T0), shortly after exercise (T1), 15 min after exercise (T2), and 30 min after exercise (T3), respectively. Data was analyzed using an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for repeated measures with times and groups. Results: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depending on the passage of rest time after exercise suggest that the heart rate and blood lactate concentration of three groups at T2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1 (p < 0.001). PCV of the G2 and G3 group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t T2 compared to T1 (p < 0.01). Hb values at G2 (p < 0.01) and G3 (p < 0.001) group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t T2 as compared to T1. However, heart rate, blood lactate concentration, PCV and Hb level at T1 showed no difference in the comparison of horses from different age groups with the exception of G3 group in terms of heart rate. Conclusion: The physiologic and hematological responses of horses during recovery time after 2,500 m exercise with gallop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oups. These data are useful as a response evaluation method for training of endurance horses.

입자의 조건에 따른 정지토압계수 평가 (Evaluation of at Rest Lateral Stress Coefficient Influenced by Particle Condition)

  • 이정훈;이동열;윤태섭;이준환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8호
    • /
    • pp.21-29
    • /
    • 2012
  • 기초 구조물, 옹벽 등 지반 구조물의 거동 평가에 사용되는 정지토압계수는 현장 응력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변수로 해석과 설계에 매우 중요하다. 정규 압밀된 사질토에서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는 Jaky의 Ko식은 실험에서 획득 가능한 마찰각으로부터 응력상태를 유추하지만, 실무에서 마찰각 적용시 필수적인 입자 조건에 따른 영향과 기준에 대한 평가가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요한 영향 인자로서 상대밀도, 원마도, 표면 거칠기에 따른 Ko값의 변화 양상을 다양한 하중 단계별로 실험에 고려하였다. 변형계를 사용한 Ko측정기를 제작하여 주문진 표준사, 글라스 비드, 에칭 글라스 비드에 대해 재하-제하-재재하의 단계별로 Ko을 측정하였고 영향 요인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원마도와 무관하게 작은 상대밀도의 시편이 높은 Ko을 보였으며 표면 거칠기는 Ko에 큰 영향이 없었다. 또한 동일한 상대밀도에서 입자가 모난 형상에 가까울수록 낮은 Ko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획득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경험식과 문헌에서 보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대밀도에 따른 Ko과 마찰각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더러브렛 말에서 분리한 Streptococcus equi subsp. zooepidemicus의 RAPD 분석 및 약제 감수성 (RAPD Analysis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Streptococcus equi subsp. zooepidemicus Isolated from Thoroughbred Horses)

  • 최성균;박용수;조광현;조길재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49-654
    • /
    • 2010
  • Streptococcus equi subsp. zooepidemicus는 말의 생식기 질환을 유발하는 중요한 병원체 중 하나로서 국내 말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목적으로 제주도에서 사육중인 더러브렛 암말의 유산태아 및 그 말의 자궁내용물과 장수목장에서 암말의 교배전 생식기 질환이 의심되는 말의 질 내용물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Streptococcus equi subsp. zooepidemicus을 분리하여 그 분리균의 특성 및 항균제 감수성 검사를 실시한 결과, RAPD typing에서는 크게 4개의 cluster로 구분되었다. 특히 제주도에서 분리한 균주와 장수목장에서 분리한 하나의 균주가 동일한 pattern을 나타내었다. 항균제 감수성 검사에서는 대부분의 균주가 ampicillin 등의 약제에 감수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에서 사육중인 암말의 생식기 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Jeju crossbred에서 계절에 따른 난소주기 변화 연구 (Effect of Ovarian Changes according to Four Season for Reproduction of Jeju Crossbred Horses)

  • 유영주;박설화;신상민;양병철;성필남;우제훈;김남영;손준규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77-182
    • /
    • 2017
  • 본 연구는 암말의 계절에 따른 난소주기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공시마는 국립축산과학원 난지축산연구소에서 사육 보유하고 있는 Jeju crossbred horses(더러브렛${\times}$제주마) 21두를 공시하였으며, 2016년 5월부터 2017년 6월까지 공시하였으며, 암말의 생식기 및 난소 초음파 검사는 주 1회 초음파 진단기를 이용하여 난소 내 난포 및 황체를 확인하였다. 공시마의 호르몬 분석을 위해 일주일에 2회 채혈하였으며 혈중 P4 농도를 분석하였다. 난소주기가 진행이 되면 배란된 날에 난소주기가 재개된 것으로 간주하였다. 총 21두의 공시마 중 13두(61.9%)만이 정상적인 난소주기를 보였으며, 공시마 8두(38.1%)는 난소주기가 지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월에 3두(16.7%), 11월에 5두(27.8%), 12월에 5두(27.8%)가 발정이 정지 되었으며, 나머지 5두(27.8%)에서는 겨울철에도 발정이 지속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발정이 정지된 개체는 이듬해 3월까지 발정이 정지되어 있었으며, 비번식계절에도 27.8%는 발정이 지속되었다. 18두 중 4월달에 11두(61.1%), 5월달에 2두(11.1%)가 발정이 재귀되었다.

사람 조혈인자 유전자(Human Erythropoietin Gene)를 도입한 형질전환돼지 생산 (Production of Transgenic Porcine haboring the Human Erythropoietin(EPO) Gene)

  • 이연근;박진기;민관식;이창현;성환후;전익수;임석기;양병철;임기순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95-104
    • /
    • 2002
  • 본 연구는 사람의 조혈촉진 유전자(hEPO)가 도입된 형질전환 돼지를 생산하기 위해 사계절동안 수행하였다. 약 8∼15개월령의 순종의 랜드레이스 경산돈 및 미경산돈 42두는 유전자 미세주입을 위한 1세포기 단계의 수정란 채란 및 이식을 위해 사용하였으며, 발정동기화 및 과배란 방법은 PG 600 주입 후 9일간 매일 20mg의 altrenogest를 사료에 첨가하여 급여하였다. Altrenogest를 9일간 급여 후 1,500IU의 PMSG와 500IU의 hCG를 주입하므로서 과배란을 유도하였다. 미세주입을 위한 유전자는 mouse whey acidic protein(mWAP) 프로모터에 hEPO 유전자를 연결하여 준비하였으며, 호르몬 처리후 23두의 공란돈으로 부터 650개의 난자를 회수하였으며, 이 중 83.1%(540/650)는 DNA 미세주입을 위해 전핵을 관찰할 수 있는 1-세포기의 수정란이었다. 이중 유전자가 미세주입 된 543개의 난자를 19두의 수란돈에 이식하였으며 7두의 임신돈으로부터 47두의 자돈을 생산하였다. 생산된 자돈 47두로부터 꼬리조직으로부터 분리된 DNA의 PCR 검정 결과 수컷 1두가 형질전환 양성반응을 나타내어 2.13%의 형질전환율을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생체반응기(bioreactor)연구에 있어서 형질전환 돼지생산의 성공적이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섬유소 분해효소 유전자가 도입된 형질전환 돼지 생산 (Production of Transgenic Pig Harboring the Cellulase Digest Gene(CelD))

  • 박진기;이연근;민관식;이창현;이향흔;김광식;장원경;김진회;이훈택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87-94
    • /
    • 2002
  • 본 연구는 섬유소분해효소 유전자(CelD)가 도입된 형질전환 돼지를 생산하기 위해 사계절동안 수행하였다. 약 8∼15개월령의 순종의 랜드레이스경산돈 및 미경산돈 126두는 유전자 미세주입을 위한 1세포기 단계의 수정란 채란 및 이식을 위해 사용하였으며, 발정동기화 및 과배란 방법은 PG600 주입 후 9일간 매일 20mg의 altrenogest를 사료에 첨가하여 급여하였다. Altrenogest를 9일간 급여 후 1000IU의 PMSG와 750IU의 hCG를 주입하므로서 과배란을 유도하였다. 미세주입을 위한 유전자는 Rat elasterase promoter에 CelD유전자를 연결하여 준비하였으며, 호르몬 처리후 91두의 공란돈으로부터 1,422개의 난자를 회수하였으며 이중 95.6% (1,359/1,422)는 DNA미세주입을 위해 전핵을 관찰 할 수 있는 1세포기의 수정란이었다. 이중 유전자가 미세주입된 725개의 난자를 35두의 수란돈에 이식하였으며 13두의 임신돈으로부터 65두의 자돈을 생산하였다. 한편 수란돈당 수정란 이식수가 임신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약 21∼24개의 수정란을 이식한 구에서 임신율이 50%로 타구의 20.0%(20개 이하)와 33.3%(25개 이상)보다 높았으며, 꼬리조직으로부터 분리된 DNA의 PCR검정결과 65두중 5두가 형질전환 양성 반응을 나타내어 7.69%의 형질전환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체반응기를 통한 형질전환 돼지생산을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GAPDH, β-actin and β2-microglobulin, as three common reference genes, are not reliable for gene expression studies in equine adipose- and marrow-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 Nazari, Fatemeh;Parham, Abbas;Maleki, Adham Fani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7권5호
    • /
    • pp.18.1-18.8
    • /
    • 2015
  • Background: Quantitative real time reverse transcription PCR (qRT-PC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echniques for gene-expression analysis in molecular based studies. Selecting a proper internal control gene for normalizing data is a crucial step in gene expression analysis via this method. The expression levels of reference genes should be remained constant among cells in different tissues. However, it seems that the location of cells in different tissues might influence their expre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source of mesenchymal stem cells (MSCs) has any effect on expression level of three common reference genes (GAPDH, ${\beta}$-actin and ${\beta}2$-microglobulin) in equine marrow- and adipose-derived undifferentiated MSCs and consequently their reliability for comparative qRT-PCR. Materials and methods: Adipose tissue (AT) and bone marrow (BM) samples were harvested from 3 mares. MSCs were isolated and cultured until passage 3 (P3). Total RNA of P3 cells was extracted for cDNA synthesis. The generated cDNAs were analyzed by quantitative real-time PCR. The PCR reactions were ended with a melting curve analysis to verify the specificity of amplicon. Results: The expression levels of GAPDH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AT- and BM-derived MSCs (p < 0.05). Differences in expression level of ${\beta}$-actin (P < 0.001) and B2M (P < 0.006.) between MSCs derived from AT and BM were substantially higher than GAPDH. In addition, the fold change in expression levels of GAPDH, ${\beta}$-actin and B2M in AT-derived MSCs compared to BM-derived MSCs were 2.38, 6.76 and 7.76, respectively.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GAPDH and especially ${\beta}$-actin and B2M express in different levels in equine AT- and BM-derived MSCs. Thus they cannot be considered as reliable reference genes for comparative quantitative gene expression analysis in MSCs derived from equine bone marrow and adipose tissue.

경주마의 마사내에서의 악벽에 관한 조사연구 (A Survey on the Stable Vice of Race Horse in Stable)

  • 윤세영;김명화;이상락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6호
    • /
    • pp.857-864
    • /
    • 2008
  • 본 조사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관리되고 있는 경주마에서 나타나는 악벽의 종류와 그 출현빈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현재 서울경마공원에서 관리되고 있는 경주마 총 1,386두를 대상으로 마사내에서의 주요 악벽의 출현율을 성별, 나이별, 마사입사년차별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경주마의 악벽은 총 조사두수 1,386두 중 37.8%인 524두가 가지고 있었다. 성별에서는 숫말에서 가장 높은 40.7%의 출현율을 보였고, 나이별에서는 2세, 6세 및 4세마에서 각각 50.0%, 44.2% 및 43%로 높은 출현율을 보였고, 마방입사년차별에서는 2년차, 4년차 및 3년차에서 41%, 40.6% 및 39.1%로 높게 나타났다. 악벽별로는 성별에서 암말은 축벽에서 7.0%로 가장 높았고, 숫말에서는 무는 버릇이 12.9 %, 거세마에서는 웅벽이 5.7%로 가장 높은 출현율을 보였다. 나이별로는 2세마에서 축벽이 8.3%, 석벽이 8.3%, 앞발로 바닥을 긁는 버릇이 6.1%, 3세마에서는 앞발로 바닥을 긁는 버릇이 4.9%, 4세마는 축벽이 6.4%, 5세마는 축벽과 무는 버릇이 6.8%, 6세마에서는 웅벽과 무는 버릇이 8.7 %로 높게 나타났다. 마방입사년차별에서는 1년차에서는 앞발로 바닥을 긁는 버릇이 6.0%, 2년차에서는 축벽이 7.0%, 3년차에서는 무는 버릇이 7.4%, 4년차와 5년차 이상의 말에서는 웅벽이 각각 6.9% 및 9.2%로 높게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