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nufacturing worker

검색결과 293건 처리시간 0.024초

일부 제조업 남성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와 우울과의 관련성 (The Association of Job Stress and Social Support with Depressive Symptoms among Manufacturing Male Workers)

  • 박승경;이후연;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216-224
    • /
    • 2018
  • 본 연구는 제조업 사업장 남성 근로자들의 우울수준을 알아보고 직무스트레스 내용(직무의 요구도, 직무의 자율성) 및 직장의 사회적지지(상사의 지지도, 동료의 지지도)와 우울과의 관련성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사대상은 제조업 사업장 남성 근로자 428명으로 하였으며, 2017년 7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설문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조사대상자 중 우울경향이 있는 자(CES-D 점수 16점 이상)는 21.5% 이었다. 조사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내용별 CES-D 점수는 업무의 요구도가 낮은 군보다 높은 군에서, 업무의 자율성이 높은 군보다 낮은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직장의 사회적지지도별 CES-D 점수는 상사의 지지도가 높은 군보다 낮은 군에서, 동료의 지지도가 높은 군보다 낮은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CES-D 점수는 업무의 요구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업무의 자율성, 상사의 지지도, 동료의 지지도와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업무 요구도가 높을수록, 업무의 자율성이 낮을수록, 상사와 동료의 지지도가 낮을수록 CES-D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CES-D 점수에 대한 설명력은 업무 요구도와 업무의 자율성이 추가됨에 따라 18.4% 유의하게 증가되었고, 상사의 지지도와 동료의 지지도가 추기됨에 따라 14.1%의 설명력이 증가되었다. 위와 같은 결과는 업무의 요구도와 업무의 자율성 및 상사와 동료의 지지도가 우울수준과 높은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모 사업장 포장부서 근로자들에서 발생한 수근터널증후군에 대한 조사연구 (Carpal Tunnel Syndrome among Packing Workers in A Rayon Manufacturing Factory)

  • 이원진;이은일;차철환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5권1호
    • /
    • pp.26-33
    • /
    • 1992
  • 반복작업에 종사하는 모 사업장 포장부서 근로자 42명을 대상으로 수근터널증후군에 대한 중상, 이학적 검사 및 근전도 검사를 1991년 11월부터 1992년 3월까지 실시하였다. 양손 모두에서 근전도상 이상소견을 보인 경우가 4명, 오른쪽 손에만 이상소견을 보인 경우가 4명 그리고 왼손이 1명 등 총 9명으로서 21.4%의 높은 유병률을 나타내었다. 임상중상은 전체 42명중 66.7%에 해당되는 28명에서 나타났다. Tinel과 Phalen sign 등 이학적 검사에서 이상소견을 보인 경우는 14명으로 전체의 33.3%를 차지하였다. 그리고 키와 임신 횟수를 제외한 수근터널증후군에 대한 다른 일반적 위험요인은 환자군과 비환자군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근전도 검사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임상증상에 대한 민감도는 0.89, 특이도는 0.39이었고 Tinel sign에서는 각각 0.33, 0.88 그리고 Phalen sign에서는 0.56, 0.82 등이었다. 임상증상이 있고 Tinel과 Phalen sign에서 어느 하나 양성으로 나타나는 것을 선별기준으로 하였을 경우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0.57, 0.76이었다.

  • PDF

지게차 사용 사업장에서 디젤엔진배출물질 노출지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xposure Indices for Diesel Engine Exhaust in Forklift Operating Areas)

  • 김상일;박지영;이경민;김승원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8-47
    • /
    • 2016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xposure levels of forklift operators to diesel engine exhaust(DEE) using black carbon(BC), elemental carbon(EC), and nitrogen dioxide($NO_2$) as indicators. Methods: A total of eight forklift operators in six collection companies were assessed over a period of two months from July to September 2015. BC was measured using a real-time monitor and respirable EC samples were analyzed using the NIOSH method 5040. $NO_2$ samples were collected using a passive badge-type sampler. Results: The geometric mean of BC, EC and $NO_2$ were $3.1-19.1{\mu}g/m^3$, $2.1-23.8{\mu}g/m^3$, and 12.5-166.6 ppb at all companies. When forklifts were operating both outside and inside, BC concentrations increased 2.0-5.6 times. The highest increase was observed when forklifts were operating indoors. The increase in BC concentrations varied by company(company A: 2.0 times, B: 3.2 times, C: 5.6 times, D: 2.1 times, E: 5.1 times, F: 2.6 times). The geometric mean of BC, EC, and $NO_2$ for the forklift operators was $9.6{\mu}g/m^3$, $7.9{\mu}g/m^3$, and 48.9 ppb, respectively. The geometric mean of BC, EC, and $NO_2$ for manufacturing workers was $9.3{\mu}g/m^3$, $0.9{\mu}g/m^3$, and 85.2 ppb, respectively. The mean BC and EC exposure levels for the forklift operators were slightly higher than those for manufacturing workers, but $NO_2$ levels for manufacturing workers were higher than those for the forklift operators(p>0.05).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diesel exhaust emissions standard, forklift weight and forklift manufacturer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in determining worker exposure. Conclusions: In the DEE work environment, workers who perform tasks within the workplace as well as inside forklifts as operators are likely to be exposed to a lack of ventilation. Further study of forklift operators' exposure to DEE indicators should be conducted to include a wider range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situations, such as collection procedures, seasonal situations, types of fuel used, and number of forklifts.

소규모 제조업 사업장 남성 근로자의 수면의 질 및 관련요인 (Quality of Sleep and its Associated Factors among Male Workers in Small-scale Manufacturing Industries)

  • 박의수;신은숙;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6193-6203
    • /
    • 2014
  • 본 연구는 50인 미만의 제조업 근로자들의 수면의 질을 평가하고, 이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행태 및 직업관련 특성과 수면의 질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대전광역시 D공단에 소재하고 있는 50인 미만의 소규모 제조업 사업장 남성 근로자 856명을 대상으로 2011년 4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내용은 조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행위 특성, 직업관련 특성 및 한국판 PSQI를 사용한 수면의 질 평가 등이었다. 연구 결과, PSQI에 의한 수면의 질 평가에서 전체 조사대상자의 32.0%는 수면의 질이 좋은 것으로, 68.0%는 수면의 질이 좋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모델에 의한 조사대상자의 수면의 질(PSQI) 수준은 기혼군일수록, BMI가 낮을수록,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좋지 않을수록, 비흡연군, 음주군, 규칙적인 운동을 하지 않는 군 및 커피를 음용하는 군, 생산직 근로자, 주당 근무시간이 길수록, 질병으로 인한 결근 경험이 있는 군일수록, 외래진료경험이 있는 군일수록 유의하게 낮았다. 위의 모델에서 보면 직업관련 특성이 추가됨으로 해서 13.1%의 설명력을 증가시켜 PSQI에 의한 수면의 질에 직업관련 특성이 높은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일부 제조업 남성 근로자들의 음주패턴과 수면의 질과의 관련성 (Alcohol Drinking Patterns and Sleep Quality of Male Workers in Manufacturing Industries)

  • 최석경;박승경;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105-115
    • /
    • 2018
  • 본 연구는 일부 제조업 남성 근로자들의 음주패턴과 수면의 질과의 관련성을 평가할 목적으로 시도하였다. 조사는 2017년 5월에 D 광역시의 제조업 사업장에 근무하고 있는 남성 근로자 553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에 의한 단면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독립변수로 음주패턴(음주빈도와 1일 음주량을 합산하여 산정한 알코올 섭취량 및 1주간의 알코올 섭취량)을 사용하고, 종속변수로 한국어판 피츠버그수면조사표(PSQI)에 의한 수면의 질을 사용하여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조사대상자의 56.2%는 수면의 질이 좋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로지스틱회귀분석 결과, 조사대상 남성 근로자들의 수면의 질이 낮을 교차비는 비음주군에 비해 주당 1회 이상 음주군에서 0.44배(95% CI=0.232-0.845)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수면의 질이 낮을 교차비는 비음주군에 비해 매일 19.9g(1잔)이하의 음주군에서 0.31배(95% CI=0.192-0.829), 매일 20.0-60.0g(1-3잔)의 음주군에서 0.28배(95% CI=0.167-0.762)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 같은 결과는 일부 남성 근로자에서의 수면의 질은 개개인의 음주패턴이 관련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제조업 근로자의 스켈링에 대한 행태와 관련요인 (Scaling Behavior of Manufacturing Industry Worker)

  • 정은경;남용옥;진석호;서남득;김정숙;남철현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16
    • /
    • 2005
  • The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scaling behavior about dental health.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00 workers selected in Daegu. This survey was carried out during 2003. 7. 15 - 2003. 7. 31.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Distribution of respondent's class was male of $53.5\%, female of $46.2\%, and 30's age of $36.2\%, 20's age of $28.2\%. Concerning about dental health was appeared that female was higher rate than male. also, difference was related in their age, working department and residence. 2. In case of no experience to scaling for past 3 years was appeared that male of $67.6\% was higher rate than female of $56.8\%. The frequency of treat scaling was appeared that $46.2\% of the subjects was treated scaling per year. 3. The root cause of no treatment by regular was appeared that 'high expensive' was most high with $38.0\% and 2nd, 'didn't felt importance' was $24.2\%, 3rd 'lack of spare time' was $20.7\%, the last ranking 'only be frightened' was $14.3\%. 4. Method of learning knowledge about scaling was appeared that male and female were similar with their method of it. knowledge level of scaling was learned by internet were higher in worker of 20's age than any other age. also, other difference was related in school career and residence. Opinion about necessity of scaling answer which need or surely need were similar to male of $67.1\% and female of $72.6\%. 5. As for knowledge of scaling was appeared that male of $94.3\% and female of $87.1\% had corrective knowledge. The right answer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ages, school career, working department and residence.

벤지딘 염료공장 노동자들의 혈뇨 (Hematuria among Benzidine Dye Industry Workers)

  • 손미아;백도명;최정근;박수경;박정순;오세민;박정선;박동욱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8권1호
    • /
    • pp.225-243
    • /
    • 1995
  • Benzidine Industry in Korea has started after Japan has banned its production in early 1970's, and it has been in operation in Korea for over 20 years. However, it is not known yet whether any bladder cancer has developed from benzidine exposure. This study was done to screen benzidine-exposed workers for bladder cancer, and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employing screening test at the workplace. All the workplaces that manufacture or use benzidine for more than 20 years in Korea have been covered in this study, and they include 2 benzidine manufacturing factories, 5 benzidine using factories, as well as 2 benzidine free factories as an outside control. In total, 516 workers were screened with urine stick test and urine cytology test for the evidence of hematuria and abnormal urothelial cells. Each worker was also asked about risk factors and symptoms of bladder cancer including past medical history, smoking, medication and occupational history Benzidine in the air was measured by personal and area sampling. Out of 516 screened workers, 84(16.3%) workers showed positive hematuria in urine stick test, and 7(1.4%) workers showed degenerative cells in urine cytology tests. Those workers with abnormal urine test results who have been exposed to benzidine fo more than 10 years were further screened, and, in total, 23 workers were examined with intra-venous pyelography and cystoscopy. None of those screened had any evidence of bladder cancer When workers with only past hematuria history were included in the positive hematuria group, 96(18.5%) had positive hematuria. On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positive hematuria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enzidine exposure, history of other occupations with elevated bladder cancer risk, pyuria and glycosuria. The association got stronger as direct benzidine exposure was accounted through individual task analysis, and as exposure duration was accounted with tenure analysis. For those with benzidine exposure with more than 10 years of tenure, the odds of having positive hematuria was elevated 2.14(95%C.I is 1.08 to 4.25) times more than for those without exposure. Even though bladder cancer was not detected for several limitations including short observation period, majority of studied workers with short latency, healthy worker effect, and low sensitivity of single screening test in a cross-sectional study,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hematuria screening is a feasible and very useful test for bladder cancer screening among benzidine exposed workers.

  • PDF

사례분석을 통한 모듈러 건축의 현장 작업자 안전관리 체크리스트의 분류 체계 제안 (Proposal of a Classification System of Checklists for Safety Management of On-Site Workers in Modular Construction)

  • 전영훈;김균태;전은비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2권6호
    • /
    • pp.120-130
    • /
    • 2021
  • 최근 정부는 건설재해 예방을 위하여 건설공사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있으며, 예방적 차원의 작업자 안전관리 방안이 중요한 실정이다. 한편 모듈러 건축은 중고층 건축물 등으로 점차 확대 적용될 예정이나, 작업환경이 열악하고 안전관리가 미흡한 중소규모 건설현장이 많아 재해예방을 위한 안전관리가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국내 모듈러 건축의 안전관리 방안은 작업자의 안전사고에 영향을 미치나 시공오차, 하자 등 구조안전과 관련한 요소를 관리하는 품질관리에 집중되어 있어, 작업자의 안전보건을 관리하여 재해를 예방하는 작업자 안전관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 연구 개발된 사례들을 분석하고 전문가 자문을 통하여 도출된 모듈러 건축의 작업자 안전관리를 위한 체크리스트의 분류체계를 제안하였다. 분류체계는 공장제작, 운송, 현장시공을 대분류로 구성하였으며, 하위체계는 현장시공의 6가지의 중분류 중 모듈러 골조설치 공사의 세부작업인 양중작업과 조립작업을 중심으로, 12가지의 단위작업을 구분하였다. 그리고 안전관리를 위한 관리요소에 따른 단위작업별 작업내용을 정의하고 분류체계에 최종적으로 반영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모듈러 건축의 건설현장에서 효율적인 안전관리를 수행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신발소공인 산업의 실태분석 및 정책지원 방향: 부산진구 범천동을 중심으로 (A Study for the Shoes Micro-sized Manufacturing Industry and the Development of the Government Policy: Surveyed on Beomcheon-Dong in Busan)

  • 김철민;김녹현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47-59
    • /
    • 2017
  • 우리나라는 그간 대기업 중심의 경제개발정책으로 인해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 소공인 산업이란 중소기업보다도 더욱 영세한 규모의 산업형태로써 다양한 업종에 걸쳐 분포되어 있으며 우리나라 경제의 뿌리산업 역할을 하고 있다. 소공인 산업기반이 붕괴하면 뿌리산업의 생산구조 전체가 무너지게 되어 우리나라 산업 전체의 위기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소공인 산업지원 정책은 중요한 정책과제이다. 소공인 산업은 제조업 전반에 걸쳐 다양한 업종에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연구범위를 신발산업으로 한정하고 주된 연구문제를 소공인 산업의 실태분석에 초점을 두고 수행하였다. 효과적 실태분석을 위하여 1차적으로 간접자료인 통계청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신발소공인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이 중 신발소공인이 가장 밀집된 부산지역을 대상으로 설문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직접자료를 수집하고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및 기술적 분석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주요 발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발산업은 중소기업형 산업으로써 신발소공인이 해당산업 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다. 특히 신발업종에서 중소기업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반면 신발소공인의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신발산업의 영세성은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둘째, 신발소공인의 기술숙련도는 높지만 노령화가 진행되고 있어서 기술의 차세대 전수를 위한 정부정책의 수립이 필요하다. 셋째, 대부분의 신발소공인 공장시설이 불안정하고 영세하기 때문에 아파트형 공장의 보급 등을 통해 영세하고 불안정한 생산기반을 안정화하고 현대화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특허 등과 같은 무형기술자산을 보유한 소공인이 매우 적으므로 소공인 특허출원 활성화제도를 구축함으로써 소공인 기술자산이 지속적으로 개발될 수 있는 기술환경 구축이 필요하다. 다섯째, 소공인들의 기업가 정신 및 협업마인드가 낮기 때문에 소공인에 대한 의식개혁과 함께 협동조합의 활성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현행 협업지원제도의 보다 적극적 보완이 필요하다. 즉 협동조합을 통해 원가를 절감하고 공동브랜드 개발 및 공동판매를 통해 브랜드가치를 높이고 판로개척을 지원할 수 있는 정책적 지원노력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소공인은 기술 및 경영관리 역량이 취약하며 특히 국내에 한정된 판매망 및 주문자생산방식의 납품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마케팅 기능이 매우 취약하며 자사제품에 대한 생산 및 판매활동에 대한 계획수립이 거의 이루어지지 못해 적극적인 브랜드개발 및 시장개척 노력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 또한 논의되었다.

인천지역 중소규모 사업장 근로자의 근골격계 증상 유병률과 관련요인 (Symptom Prevalence and Related Factors of Work Related Musculo-Skeletal Diseases at Small & Medium Scale Industries of Incheon)

  • 최미경;김영숙;이연숙;성낙정;한상환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18-128
    • /
    • 2005
  •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revalence and related factors of musuculoskeletal symptoms in automobile manufacturing, steel processing, electric assembly line, and wood processing industries. A study subjects were 3,434 workers from small and medium scale companies of Incheon. Walk-through surveys were performed from Feb. of 2004 to Oct. of 2004 to investigate various physical work factors. Symptom prevalence rate by related factors was that women worker showed higher rate than man, and married person was higher than single person. For the working year, group of person who were working less than 3 year showed the highest rate. However, the group of person who were working more than 10 hour per day showed the highest rate. For the total subjects, prevalence of symptoms by body area was as follows: shoulder symptoms were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symptoms(253 person, 7.0%), followed by back(155 person, 4.5%), hand or fingers (136 person, 4.0%), lower extremities(131 person, 3.9%), neck(108 person, 3.1%), and elbow symptoms(97 person, 2.8%).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