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nufacturing Employment

검색결과 253건 처리시간 0.029초

산업장 안전보건교육 관리요인 (Management Factors Associated with Health and Safety Education in Korean Manufacturing Companies)

  • 이명선;이관형;박경옥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21-140
    • /
    • 2006
  • Objectives: Safety is a primary health promotion issue in worksite because injury induces multi-fold loss of the human and economic resources to profit organization.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scribe worksite health and safety education and management status in Korean manufacturing companies. Methods: The original population size of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in 2004 was 74,398 and 2,960 factories were selected by the multiple stratified sampling method for this study. The health and safety manager or representatives of the selected 2,960 companies successfully finished in the face-to-face interview survey about company's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style, health and safety education hours conducted by the Korea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Results: The manufacturing companies in Seoul and Kyunggi areas, small size, and clothes and press industries were related to low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and education status. The companies which assigned at least one safety manager were 70.5% and which had a health and safety room within the company were only 9.3%. The companies which took the health and safety education for their regular blue-collar employees more than the legal education hours were under 56.1% and the percentage of the companies which took their health and safety education for newcomers less than the legal limits was lower than any other types of health and safety education in workplace. The significant strong workplace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variables in predicting employee health and safety education were psycho-social variables such as the company own health and safety regulation and the workplace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committee organization. rather than physical variables such as health manager employment, safety manager employment. Conclusions: Systematic and legal approaches are effective to encourage workplace health and safety education, specifically, through sustaining health and safety managers and building the company-wide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Furthermore, theses approaches should primarily focus on the small companies of which sizes were under 50.

제조업 일자리의 과업 특성에 따른 로봇의 차별적인 고용 영향에 관한 연구 (Task-Specific Influences of Robotics on Manufacturing Jobs)

  • 이헌영
    • 지역연구
    • /
    • 제39권4호
    • /
    • pp.73-90
    • /
    • 2023
  • 기술 진보는 미래의 일자리 구조를 어떻게 변화시키는가? 이 거대한 질문에 답하기 위한 노력의 하나로 이 연구는 로봇의 도입이 미국의 제조업 일자리의 동태에 미친 영향을 탐구한다. 연구는 과업 모형에 기초해 로봇 도입의 효과가 서로 다른 과업 특성을 가진 직종 사이에 차별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재했다. 이에 기초하여 지역의 로봇 노출도가 과업 특성별로 구분된 직종 군집의 고용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는 2012~2022년 사이 52개 미국 지역 제조업 부문의 관련 직종 307개의 고용 변화 추이를 성장곡선으로 모형화하고, 이를 직종별 고용 통계자료를 활용해 실증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분석 결과 손재주 역량을 요구하는 직종 군집에서 일자리 수가 빠르게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지역의 로봇 사용 정도가 이러한 경향을 강화한다는 증거는 확인할 수 없었다. 이는 미국 제조업 부문의 일자리 변화가, 최근 대두된 로봇 기술에 영향을 받는다기보다, 과거부터 이어져 온 탈산업화와 기능적 특화의 경향에 의해 주도되고 있음을 함의한다.

지식서비스산업의 구조변화 분석 (An Analysis on The Structural Change of The Knowledge Service Industry)

  • 김방룡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B권10호
    • /
    • pp.808-816
    • /
    • 2013
  • 최근 들어 우리나라는 제조업 부문의 투자와 고용이 부진하여 잠재성장률이 둔화되는 가운데 신성장동력 및 일자리 창출부문으로서 지식서비스의 역할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출 및 고용측면에서 1995년에서 2010년까지의 기간 동안 우리나라의 지식서비스산업의 구조변화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지식서비스산업이 경제성장 및 고용창출에 어느 정도의 기여를 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지식서비스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 지식서비스산업은 여타 산업에 비하여 총산출과 고용의 규모면에 있어서 국가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그다지 크지 않지만, 타 산업에 비하여 가장 빠른 성장 속도를 보이고 있어서 우리나라의 총산출 증가와 고용 창출에 큰 기여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산출증가율과 성장기여도는 점차 하락하고 있어서 지식서비스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성장동력 및 고용창출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생산성 증대를 위한 특별 대책이 요구된다.

고령자 고용 안정화를 위한 기업과 기관 운영자의 정년연장 인식에 관한 탐색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erception of Retirement Extension of Companies and Institutional Top Leaders for Stabilizing the Employment of the Elderly)

  • 김은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460-474
    • /
    • 2022
  • 본 연구는 고용의 주체인 기업과 기관의 운영자가 인식하는 정년연장에 관한 인식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면접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질적 내용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제조업과 건설 현장 중심의 기업은 외국인 근로자보다 고령자를 선호하였고 사회서비스 기관의 운영자들은 건강하고 능력이 있는 고령자들은 계속 일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기업의 사정을 고려하지 않은 채 일률적으로 정년을 연장하는 것에 반대하는 의견도 다수 제시되었다. 높아진 호봉 대비 일에 대한 열정이 감소하여 정년제도가 없으면 조직의 활력을 저하하고 인건비 부담을 가중할 것에 대한 우려를 드러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회사와의 합의에 따른 계약 연장 및 촉탁직의 형태를 취한다면 정년 이후에도 고용이 연장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고령자의 연봉을 조정하여 기업의 부담을 줄이고 좀 더 고용의 탄력성이 보장되면 기업에서 고용유지뿐만 아니라 고령자 고용 창출도 좀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것이라는 의견도 제시되었다.

고용허가제 도입이 건설현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ect Analysis for Foreign Worker that Employment Permit System gets in Construction Site)

  • 김영준;김재준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4년도 제5회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592-595
    • /
    • 2004
  • 외국인 노동자들은 90년대 들어 그 수가 급격히 증가하였고, 각종 제조업이나 3D업종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이번에 새로 도입된 `고용허가제`는 그 동안의 국내 외국인력 정책을 그 근본에서부터 바꾼 것이라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외국인 근로자와 고용허가제의 정보를 바탕으로 공용허가제가 건설현장에 미칠 영향요소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도출된 현장관리자들의 인식을 통해 향후 건설업체에서의 부작용을 제거하여 외국인 근로자 활용에 필요한 연구 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 PDF

Predicting Employment Status of Injured Workers Following a Case Management Intervention

  • Awang, Halimah;Mansor, Norma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9권3호
    • /
    • pp.347-351
    • /
    • 2018
  • Background: The success of an injury intervention program can be measured by the proportion of successful return to work (RTW). This study examined factors of successful return to employment among workers suffering from work-related injuries. Methods: Data were obtained from the Social Security Organization, Malaysia database consisting of 10,049 RTW program participants in 2010-2014.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RTW outcome which consisted of RTW with same employer, RTW with new employer or unsuccessful return.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as performed to test the likelihood of successful return with same employer and new employer against unsuccessful return. Results: Overall, 65.3% of injured workers were successfully returned to employment, 52.8% to the same employer and 12.5% to new employer. Employer interest; motivation; age 30-49 years; intervention less than 9 months; occupational disease; injuries in the lower limbs, upper limbs, and general injuries; and working in the manufacturing, services, and electrical/electronics were associated with returning to work with the same employer against unsuccessful return. Male, employer interest, motivation, age 49 years or younger, intervention less than 6 months, occupational disease, injuries in the upper limbs and services sector of employment were associated with returning to new employer against unsuccessful return. Conclusion: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employer commitment for early and intensified intervention that will lead to improvement in the RTW outcome.

제조시스템공학 40년-정리와 전망 (Review and Perspectives on the Research and Industrial Applications of Manufacturing Systems Engineering in Korea for 40 Years)

  • 최병규;한관희;전차수;이철수;박상철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555-567
    • /
    • 2014
  • Over 40 years, the domestic manufacturing industry of Korea played the vital role in creating national wealth, employment and innovation in its economy. In 2011, industrial products made up 99.7 percent of exports, and formed 31.2 percent of GDP. Given those facts, the research of manufacturing systems engineering for higher manufacturing efficiency and its industrial applications have been essential for Korea's economic growth. In this paper, for celebrating the 40th anniversary of the foundation of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KIIE), the research results and its industrial applications of KIIE are reviewed and summarized in the area of manufacturing systems engineering over past 40 years. Directions of future manufacturing system and the role of industrial engineers for our continuous economic growth are also mentioned.

외국인근로자 고용만료에 따른 귀국지원사업 분석 (An analysis on homecoming support project by employment expiration of foreign workers)

  • 유재섭;이승은;강경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51-459
    • /
    • 2014
  • To solve the serious problem of insufficient manpower in medium and small scaled companies, our country allows introduction of foreign manpower for 5 business types such as manufacture industry, service industry, etc. and there are 226,825 people who entered by employment license system(E-9) in Sep. 2013. Howeve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actual status and difficulties of foreign manpower's employment of medium and small scaled manufacturing companies" of KFTA in 2013, 36.4% of respondents responded that current scale of introducing foreign manpower is insufficient to solve difficulties of insufficient manpower in industrial world and 37.7% of them responded that the quarter of new employment is insufficient. So, they hope that current quarter system of foreign manpower can be abolished. Meanwhile, introduction scale of foreign manpower was decided by 53,000 people so as to solve enterprise difficulties in manpower and vitalize economics this year, but illegal aliens are 39,623, more than 17.5%, in Sep. 2013 after employment expiration. Therefore, it becomes serious social problem. Government displays various support businesses so that foreign workers after employment expiration can return to their homeland legally. This thesis intends to find measures to maintain royalty for our country and support their smooth resettlement through the analysis on homecoming support business of foreign workers.

동태패널모형을 활용한 수출의 고용효과 분석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Employment Effect of Korean Exporting using the DPD model)

  • 신범철
    • 국제지역연구
    • /
    • 제13권3호
    • /
    • pp.213-238
    • /
    • 2009
  • 이 논문은 외한위기 이후 2000년-2007년 기간 동안 한국의 기업단위 제조업체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수출이 고용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수출의 잠재적인 내생성 문제와 분포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2단계 Tobit-DPD (Dynamic Panel Data) 모형을 기반으로 기업규모에 따라 표본기업을 대기업과 중소기업으로 나누어 동태 노동수요 모형을 추정하였다. 추정 결과 동태패널 노동수요 모형에서, 예상과 달리, 대부분 수출의 추정계수가 음의 부호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으며 노동수요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또한 수출을 주도하는 대기업의 경우 역시 수출 확대가 고용을 촉진한다는 확실한 증거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이는 수출 증가가 국내 고용시장을 개선한다는 통상적인 믿음에 반(反)하는 결과이다. 또한 수출의 고용유발 계수가 낮아지는 경향과 일맥상통하며, 대기업이 부품의 해외 외주 생산을 확대하거나 현지 공장 생산의 의존도가 높아짐에 따라 국내 수출 확대가 고용창출에 기여하지 못하는, 이른바 '고용 없는 수출' 현상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실질환율 충격이 대구·경북지역 제조업체 생산성 및 고용에 미치는 파급효과 분석 (The Effect of Real Exchange Rate Depreciation Shock on Productivity and Employment for Manufacturing Firms in Daegu-Gyeongbuk Region)

  • 편주현;원지환
    • 지역연구
    • /
    • 제32권1호
    • /
    • pp.27-4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2006~2012년 동안 대구경북지역 926개의 제조업체 패널자료를 사용하여 실질환율절하 충격이 기업의 총요소생산성, 고용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간 실질실효환율 하락(원화가치 하락)은 대구경북지역 수출 기업들의 부가가치 및 노동생산성, 총요소생산성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왔고, 특히 기업의 수출의존도가 높을수록 이런 긍정적인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실질실효 환율 하락이 지속될수록 생산성 증가 효과가 사라졌다. 이는 실질실효환율 하락이 지역내 수출기업들의 시장에서 가격경쟁력 확보를 담보하여 단기적으로는 생산성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실질실효 환율 하락이 지속될 경우 오히려 기업의 효율적인 자원배분 및 핵심역량 개발 노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생산성 증가가 지속되지 않았음을 내포하고 있다. 대구경북지역 기업들은 가격 경쟁력 확보에만 초점하여 해외시장에 진출, 조업하기보다 국내 및 국외시장에서 실질적인 경쟁력을 키우는 전략을 수립하고 핵심기술을 배양해야 한다. 또한 지방자치단체 및 정책 당국은 환율 변화와 같은 명목 정책변수에만 주목하기 보다는 지역기업들의 실질적인 경쟁력 제고를 위한 기술 혁신 및 R&D 투자 촉진 등 구체적인 투자 및 금융 지원방안을 마련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