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lware

검색결과 531건 처리시간 0.026초

하이브리드 특징 및 기계학습을 활용한 효율적인 악성코드 분류 시스템 개발 연구 (Development Research of An Efficient Malware Classification System Using Hybrid Features And Machine Learning)

  • 유정빈;오상진;박래현;권태경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8권5호
    • /
    • pp.1161-1167
    • /
    • 2018
  •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변종 악성코드에 대응하기 위해 악성코드 분류 연구가 다양화되고 있다. 최근 연구에서는 기존 악성코드 분석 기술 (정적/동적)의 개별 사용 한계를 파악하고, 각 방식을 혼합한 하이브리드 분석으로 전환하는 추세이다. 나아가, 분류가 어려운 변종 악성코드를 더욱 정확하게 식별하기 위해 기계학습을 적용하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각 방식을 모두 활용했을 때 발생하는 정확성, 확장성 트레이드오프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못했으며, 학계에서 중요한 연구 주제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존 악성코드 분류 연구들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새로운 악성코드 분류 시스템을 연구 및 개발한다.

악성코드 유포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멀티레벨 에뮬레이션 (Multi-Level Emulation for Malware Distribution Networks Analysis)

  • 최상용;강익선;김대혁;노봉남;김용민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1121-1129
    • /
    • 2013
  • 최근 악성코드 유포는 단순한 개인적 피해를 넘어 3 20 사이버테러와 같은 사회적인 심각한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특히 취약한 웹을 통한 유포방법인 드라이브 바이 다운로드(Drive-by download) 공격은 가장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 따라서 드라이브 바이 다운로드 공격에 사용되는 악성코드 유포 네트워크(Malware Distribution Network, MDN)를 효과적으로 분석하는 것은 악성코드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악성코드 유포 네트워크를 효과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웹페이지 내에 포함된 난독화하고 은닉화한 스크립트를 식별해야 하며, 본 논문에서는 이를 식별하기 위해 멀티레벨 에뮬레이션 기법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다양한 형태로 숨겨져 있는 유포지로 연결하는 링크를 분석하여 악성코드 유포 네트워크 분석의 기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모바일 환경에 적합한 DNN 기반의 악성 앱 탐지 방법에 관한 연구 (Study on DNN Based Android Malware Detection Method for Mobile Environmentt)

  • 유진현;서인혁;김승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6권3호
    • /
    • pp.159-168
    • /
    • 2017
  • 스마트폰 사용자가 증가하고 스마트폰이 다양한 서비스와 함께 일상생활에서 널리 사용됨에 따라 스마트폰 사용자를 노리는 악성코드 또한 증가하고 있다. 안드로이드는 2012년 이후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폰 운영체제이지만, 안드로이드 마켓의 개방성으로 인해 수많은 악성 앱이 마켓에 존재하며 사용자에게 위협이 되고 있다. 현재 대부분의 안드로이드 악성 앱 탐지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규칙 기반의 탐지 방법은 쉽게 우회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악성 앱에 대해서는 대응이 어렵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앱의 정적 분석과 딥러닝을 결합하여 스마트폰에서 직접 악성 앱을 탐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수집한 6,120개의 악성 앱과 7,000개의 정상 앱 데이터 셋을 가지고 제안하는 방법을 평가한 결과 98.05%의 정확도로 악성 앱과 정상 앱을 분류하였고, 학습하지 않은 악성 앱 패밀리의 탐지에서도 좋은 성능을 보였으며, 스마트폰 환경에서 평균 10초 내외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회피 기능을 갖는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동적 분석 기능 향상 기법 (An Enhancement Scheme of Dynamic Analysis for Evasive Android Malware)

  • 안진웅;윤홍선;정수환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9권3호
    • /
    • pp.519-529
    • /
    • 2019
  • 지능화된 안드로이드 악성코드는 안티바이러스가 탐지하기 어렵도록 악성행위를 숨기기 위하여 다양한 분석 회피 기법을 적용하고 있다. 악성코드는 악성행위를 숨기기 위하여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하는 컴포넌트를 주로 활용하고, 자동화된 스크립트로 악성 앱을 실행할 수 없도록 activity-alias 기능으로 실행을 방해하고, 악성행위가 발견되는 것을 막기 위해 logcat의 로그를 삭제하는 등 지능화되어간다. 악성코드의 숨겨진 컴포넌트는 기존 정적 분석 도구로 추출하기 어려우며, 기존 동적 분석을 통한 연구는 컴포넌트를 일부만 실행하기 때문에 분석 결과를 충분히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지닌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지능화된 악성코드의 동적 분석 성공률을 증가시키기 위한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제안하는 분석 시스템은 악성코드에서 숨겨진 컴포넌트를 추출하고, 서비스와 같은 백그라운드 컴포넌트인 실행시키며, 앱의 모든 인텐트 이벤트를 브로드캐스트한다. 또한, 분석 시스템의 로그를 앱이 삭제할 수 없도록 logcat을 수정하고 이를 이용한 로깅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실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템을 기존의 컨테이너 기반 동적 분석 플랫폼과 비교하였을 때, 악성코드 구동률이 70.9%에서 89.6%로 향상된 기능을 보였다.

엔트로피 시계열 데이터 추출과 순환 신경망을 이용한 IoT 악성코드 탐지와 패밀리 분류 (IoT Malware Detection and Family Classification Using Entropy Time Series Data Extraction and Recurrent Neural Networks)

  • 김영호;이현종;황두성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1권5호
    • /
    • pp.197-202
    • /
    • 2022
  • IoT (Internet of Things) 장치는 취약한 아이디/비밀번호 사용, 인증되지 않은 펌웨어 업데이트 등 많은 보안 취약점을 보여 악성코드의 공격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CPU 구조의 다양성으로 인해 악성코드 분석 환경 설정과 특징 설계에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CPU 구조와 독립된 악성코드의 특징 표현을 위해 실행 파일의 바이트 순서를 이용한 시계열 특징을 설계하고 순환 신경망을 통해 분석한다. 제안하는 특징은 바이트 순서의 부분 엔트로피 계산과 선형 보간을 통한 고정 길이의 시계열 패턴이다. 추출된 특징의 시계열 변화는 RNN과 LSTM으로 학습시켜 분석한다. 실험에서 IoT 악성코드 탐지는 높은 성능을 보였지만, 패밀리 분류는 비교적 성능이 낮았다. 악성코드 패밀리별 엔트로피 패턴을 시각화하여 비교했을 때 Tsunami와 Gafgyt 패밀리가 유사한 패턴을 나타내 분류 성능이 낮아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제안된 악성코드 특징의 데이터 간 시계열 변화 학습에 RNN보다 LSTM이 더 적합하다.

Automatic Generation of MAEC and STIX Standards for Android Malware Threat Intelligence

  • Park, Jungsoo;Nguyen Vu, Long;Bencivengo, George;Jung, Souhwa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4권8호
    • /
    • pp.3420-3436
    • /
    • 2020
  • Due to the increasing number of malicious software (also known as malware), methods for sharing threat information are being studied by various organizations. The Malware Attribute Enumeration and Characterization (MAEC) format of malware is created by analysts, converted to Structured Threat Information Expression (STIX), and distributed by using Trusted Automated eXchange of Indicator Information (TAXII) protocol. Currently, when sharing malware analysis results, analysts have to manually input them into MAEC. Not many analysis results are shared publicly.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utomated MAEC conversion technique for sharing analysis results of malicious Android applications. Upon continuous research and study of various static and dynamic analysis techniques of Android Applications, we developed a conversion tool by classifying parts that can be converted automatically through MAEC standard analysis, and parts that can be entered manually by analysts. Also using MAEC-to-STIX conversion, we have discovered that the MAEC file can be converted into STIX. Although other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on automatic conversion techniques of MAEC, they were limited to Windows and Linux only. In further verification of the conversion rate, we confirmed that analysts could improve the efficiency of analysis and establish a faster sharing system to cope with various Android malware using our proposed technique.

서열 정렬 기법을 이용한 악성코드 유사도 분석의 성능 개선 (Improvement of Performance of Malware Similarity Analysis by the Sequence Alignment Technique)

  • 조인겸;임을규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263-268
    • /
    • 2015
  • 변종 악성코드는 그 기능에 있어 차이가 없으나 구조적인 차이가 존재하는 악성코드로, 같은 그룹으로 분류하여 처리하는 것이 유용하다. 변종 악성코드 분석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바이오인포매틱스 분야에서 사용하는 서열 정렬 기법을 사용하여 악성코드들의 API 호출 정보 간의 공통부분을 찾고자 하였다. 서열 정렬 기법은 API 호출 정보의 길이에 대해 의존적인 성능을 가지며, API 호출 정보의 길이가 커짐에 따라 성능이 매우 떨어진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서열 정렬 기법 적용 이전에 API 호출 정보에서 발견되는 반복 패턴을 제거하는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성능이 보장될 수 있도록 하였다. 최종적으로 서열 정렬 기법을 통한 악성코드 간의 유사도를 구하는 방법에 대하여 논하였다. 또한 실제 악성코드 샘플에 대한 실험 결과를 제시하였다.

실전 악성코드 개발 및 분석 방법 (Practical Malware Development And Analysis Method)

  • 김경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34-437
    • /
    • 2017
  • 1986년에 최초의 악성코드인 브레인 바이러스가 발견된 이후 현재까지 다양한 종류의 악성코드가 만들어졌고 대표적으로 웜, 드로퍼, 트로젠, 백도어, 루트킷, 다운로더, 스파이웨어 등이 있다. 특히 최근에는 드라이버 형식의 악성코드가 나타남에 따라 악성코드 분석이 더욱 어려워졌다. 따라서 악성코드 분석가는 상당한 실력이 요구된다. 악성코드를 잘 분석하기 위해서는 동작 원리를 알아야 하고 이는 직접 개발을 해봐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드로퍼, 백도어, 트로젠, 루트킷, 드라이버를 실전에 유포되는 악성코드와 유사하게 개발하고 가상 환경을 구축한 시스템에서 실행 동작을 보인다. 그리고 정적 분석과 동적 분석으로 악성코드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 PDF

SplitScreen: Enabling Efficient, Distributed Malware Detection

  • Cha, Sang-Kil;Moraru, Iulian;Jang, Ji-Yong;Truelove, John;Brumley, David;Andersen, David G.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13권2호
    • /
    • pp.187-200
    • /
    • 2011
  • We present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novel anti-malware system called SplitScreen. SplitScreen performs an additional screening step prior to the signature matching phase found in existing approaches. The screening step filters out most non-infected files (90%) and also identifiesmalware signatures that are not of interest (99%). The screening step significantly improves end-to-end performance because safe files are quickly identified and are not processed further, and malware files can subsequently be scanned using only the signatures that are necessary. Our approach naturally leads to a network-based anti-malware solution in which clients only receive signatures they needed, not every malware signature ever created as with current approaches. We have implemented SplitScreen as an extension to ClamAV, the most popular open source anti-malware software. For the current number of signatures, our implementation is $2{\times}$ faster and requires $2{\times}$ less memory than the original ClamAV. These gaps widen as the number of signatures grows.

Deep Learning in Drebin: Android malware Image Texture Median Filter Analysis and Detection

  • Luo, Shi-qi;Ni, Bo;Jiang, Ping;Tian, Sheng-wei;Yu, Long;Wang, Rui-ji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3권7호
    • /
    • pp.3654-3670
    • /
    • 2019
  • This paper proposes an Image Texture Median Filter (ITMF) to analyze and detect Android malware on Drebin datasets. We design a model of "ITMF" combined with Image Processing of Median Filter (MF) to reflect the similarity of the malware binary file block. At the same time, using the MAEVS (Malware Activity Embedding in Vector Space) to reflect the potential dynamic activity of malware. In order to ensure the improvement of the classification accuracy, the above-mentioned features(ITMF feature and MAEVS feature)are studied to train Restricted Boltzmann Machine (RBM) and Back Propagation (BP).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model has an average accuracy rate of 95.43% with few false alarms. to Android malicious code, which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95.2% of without ITMF, 93.8% of shallow machine learning model SVM, 94.8% of KNN, 94.6% of AN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