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lus pumila var. dulcissima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4초

골프장에서 주황긴다리풍뎅이(Ectinohoplia rufipes)의 신 기주 식물 (Newly Listed Host Plants of Ectinohoplia rufipes in Korean Golf Courses)

  • 이상영;이동운;정재민;김영섭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79-184
    • /
    • 2008
  • 경기도 가평의 골프장에서 주황긴다리풍뎅이의 기주식물을 조사한 결과 7과 10종의 미기록 기주가 추가되어 주황긴다리풍뎅이의 기주식물은 30과 94종이 된다. 노박덩굴과의 회잎나무와 진달래과의 영산홍, 황철쭉, 느릅나무과의 혹느릅나무, 장미과의 사과나무와 야광나무, 인동과의 삼색병꽃나무, 버드나무과의 키버들, 참나무과의 바늘참나무가 주황긴다리 풍뎅이의 새로운 기주가 되었고, 자작나무와 사과나무, 핀참나무의 피해도가 높았다.

Trichothecium roseum에 의한 사과 분홍빛열매썩음병 발생 (Pink Mold Rot on Apple (Malus pumila var. dulcissima Koidz.) Caused by Trichothecium roseum (Pers.) Link ex Gray in Korea)

  • 권진혁;김민정;심창기;지형진;이상대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29-433
    • /
    • 2014
  • 2012년 경상남도 진주시 농산물도매시장에서 구입한 사과에서 분홍빛열매썩음병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사과 과실 표면이 갈색으로 변하면서 약간 함몰되어지고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썩으면서 그 위에 분홍빛 곰팡이가 형성되었다. 감자한천배지 위에서 균총의 색깔은 처음 흰색이고 배양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분홍빛의 분생포자가 많이 형성되었다. 균사생육 적온은 $25^{\circ}C$이었다. 분생포자의 모양은 서양배형이며 좌우 지그자그로 부착하며 성숙한 분생포자는 2개의 세포로 되어있다. 크기는 $12-26{\times}8-12{\mu}m$이었다. 분생자경은 균사표면에 직립으로 형성하고, 폭이 $4-5{\mu}m$이고 무색이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 사과에서 발생한 병징과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을 기초로 하여 이 병을 Trichothecium roseum (Pers.) Link ex Gray에 의한 사과 분홍빛열매썩음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한다.

겨우살이의 종자의 기주목 접종 및 유묘 활착기술 (Germination and Seedling Induction of Viscum album var. coloratum (Kom.) Ohwi after Artificial Inoculation on the Branch of Host Plants)

  • 김철우;이재선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9권2호
    • /
    • pp.173-180
    • /
    • 2013
  • Berries of Korean mistletoe (Viscum album var. coloratum [Kom.] Ohwi) contained one seed, which have, in general, one or two embryos but very rarely three embryos. Mucilaginous substances in berries may help them adhere to the branches of host trees. It was observed that seeds need more than one and half years to develop into normal and healthy seedlings from the time of inoculation. Many factors such as adhesion of berry, thickness of host branch, orientation of haustorial root, etc. influenced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mistletoe plants. Through the application of six-year observation results on the germination of seeds and growth of seedlings, about 80% of germination rate for mistletoe seeds and 61% of survival ratio for germinated seeds, which is more than 23 times higher in natural conditions, were obtained after inoculation of seeds on the one-year-old branches of Malus pumila var. dulcissima and Quercus mongolica trees. The technological aspects of the success can be applied to other host plants and provide a critical clue to an artificial propagation system, for this medicinally valuable genus. This is the first successful report on artificial inoculation and plant development of Korean mistletoe.

Rhizopus stolonifer에 의한 사과 무름병 발생 (Occurrence of Rhizopus Soft Rot on Apple Fruit Caused by Rhizopus stolonifer in Korea)

  • 권진혁;지형진
    • 식물병연구
    • /
    • 제14권1호
    • /
    • pp.57-60
    • /
    • 2008
  • 2006년부터 2007년까지 2년 동안 진주시 농산물도매시장에 유통, 판매중인 사과(품종: 후지)에서 이상증상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상처나 열과된 과실이 수침상으로 물러지면서 빠르게 부패하였다. 균총은 처음 흰색에서 연한 갈색으로 되며 검은색의 포자낭을 많이 형성하며 균사생육 적온은 $25^{\circ}C$였다. 포자낭경은 처음 흰색에서 암갈색을 나타내며, 크기는 $950{\sim}1,900\;{\mu}m$이고 폭은 $12{\sim}22\;{\mu}m$이었다. 포자낭은 처음에 흰색에서 검은색으로 되며 모양은 구형 또는 반구형으로 크기는 $82{\sim}185\;{\mu}m$이었다. 주축의 모양은 반구형으로 크기는 $70{\sim}85\;{\mu}m$이었다. 포자낭포자는 담갈색으로 단포이며 구형 또는 타원형으로 크기는 $8{\sim}18{\times}7{\sim}8\;{\mu}m$이었다. 이상과 같이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과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본 병해를 Rhizopus stolonifer(Ehrenb.) Vuill.에 의한 사과 무름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Vegetative Compatibility Grouping and Pathogenicity of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Isolates from Different Host Plants

  • Ahn, Il-Pyung;Kim, Soonok;Im, Kyung-Hwan;Lee, Yong-Hwa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9권6호
    • /
    • pp.269-273
    • /
    • 2003
  • A total of 57 isolates of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were recovered from diseased tissues of Hall's crab apple (Malus haliana), 3 cultivars of edible apple (M. pumila var. dulcissima), red pepper (Capsicum annum), and grapevine (Vitis vinifera) fruits. All isolates showed strong virulence on their own host plants. Isolates from edible apple exhibited high level of cultivar specificity in pathogenicity tests. Ten isolates from apple cultivar 'Fuji' were virulent on 'Jonathan' and 'Rall's Genet'. However, 12 isolates from 'Jonathan' and 'Rall's Genet' were not virulent on 'Fuji'. Among the 24 isolates from red pepper, only seven and two isolates were infective on edible apple and grapevine fruits, respectively. All six isolates from grapevine were only virulent on their own host. These isolates were grouped into five vegetative compatibility groups (VCGs), A, B, C, D, and E, by demonstrating heterokaryosis through complementation using nitrate-nonutilizing (nit) mutants. Among them, isolates belong to VCG-A and VCG-D accounted for 24 and 17 isolates; those in VCG-A exhibited wide host range involving Hall's crab apple, all three edible apple cultivars, and red pepper. On the other hand, isolates of VCG-D and VCG-E showed limited host range specific to red pepper and grapevine, respectively. Taken together, the data suggest that among C. gloeosporioides isolates, the concepts of pathotype and/or forma specialis may exist, and that three is a relationship between host specificity and VCG grouping among C. gloeosporioides isolates.

Diplodia seriata에 의한 사과 검은썩음병 발생보고 (First Report of Black Rot Caused by Diplodia seriata on Apple)

  • 김영수;윤윤주;전용호
    • 식물병연구
    • /
    • 제24권4호
    • /
    • pp.321-327
    • /
    • 2018
  • 2018년 경북 영천지역 사과과수원에서 미이라화 된 과실, 배꼽이 썩어 들어간 과실과 점무늬를 형성한 과실의 증상을 관찰하였다. 이 증상의 원인균을 증명하기 위해 이병체에서 균사체를 분리하여 병원성 검정을 수행한 결과 건전한 사과 과실이 급격히 썩으면서 발견 시의 병징과 일치하였다. 곰팡이의 특성은 흰색의 균사로 자라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암회색으로 변하였다. 병자각 안에서 분생포자가 형성되고 분생포자는 갈색의 타원 형태였으며 격막이 없고 끝이 둥근 형태이다. 분생포자 크기는 $21.7-28.3{\times}9.9-15.3{\mu}m$이다. 병원균의 ITS, ${\beta}$-tubulin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유연관계를 분석한 결과 Diplodia seriata로 동정되었다. Diplodia seriata는 국내에서 식물병원균으로 보고된 바 없다. 사과에서 Diplodia seriata에 의한 Black rot은 우리나라에서 처음 보고되는 것이며 사과 검은썩음병으로 명명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다양한 과일나무에서 유래된 추출물의 농업해충 및 저장물해충에 대한 살충활성 (Toxicity of various fruit tree extracts to five agricultural and four stored-product anthropod pests)

  • 이상계;박병수;이성은;손재권;송철;이회선
    • 농약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7-32
    • /
    • 2001
  • 17과일의 43가지 부위의 메탄을 추출물을 대상으로 5종의 주요 농업해충 및 4종의 저장물 해충에 대한 살충효과를 조사한 효과는 과일류의 종류 및 해충의 종류에 따라 커다란 차이를 보였다. 5,000 ppm 농도에서 80% 이상의 살충효과를 나타내는 10종의 시료를 2,500 ppm에서 살충효과를 검정하였다. 모과와 석류씨가 벼멸구, 포도씨가 복숭아혹진딧물, 유자, 자몽, 메론, 감, 사과, 복숭아, 포도씨가 배추좀나방, 모과씨가 담배거세미나방, 모과와 포도 추출물이 점박이응애에 대하여 80% 이상의 살충효과를 나타냈다. 4종의 저장물해충에 대한 살충효과는 50 ppm의 농도로 처리할 때 모과 및 포도 추출물이 쌀바구미, 모과, 유자, 감 및 포도 추출물이 팥바구미에 대하여 80% 이상의 살충효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화랑곡나방와 궐련벌레에 대하여는 사용된 과일류의 추출물이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복숭아혹진딧물, 벼멸구, 배추좀나방 담배거세미나방 및 점박이응애에 높은 방제효과를 보인 상기과일류 추출물들은 농업해충 방제제로서 사용 가능성이 예상되었으며, 또한 쌀바구미와 팥바구미에 강한 살충효과를 보인 추출물은 저장물해충방제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자생식물 교육을 통한 학교 환경교육 개선에 관한 기초연구 - 서울시 마포구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 (Base Study for Improvement of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with the Education Indigenous Plants - In the case of Mapo-Gu Elementary School in Seoul -)

  • 방광자;박성은;강현경;주진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0-19
    • /
    • 2000
  • 본 연구는 초등학교 환경교육을 통해서 우리 자연자원의 소중함을 인식시키고, 실제 학교환경을 이용한 자생식물 교육을 위하여 제도적 교과서에서의 식물이용현황 및 학교현장의 녹지공간 현황, 자생식물 식재여부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향후 7차 교과 개정시에는 교과서에 자생식물에 대한 개념 및 훨씬 더 많은 자생식물이 그림이나 사전과 함께 실리며, 학생들이 접하기 힘든 어려운 식물들을 초기단계부터 교육하기 보다는 일상생활에서 늘 접할 수 있는 쉬운 가존의 소재들을 바탕으로 중기단계에서는 직접 실생활에서 응용되는 실용적 소재로 학생들에게 흥미를 유발하여 말기에는 희귀종, 어려운 식물 및 우리 자생식물을 '먹을 수 있는 식물', '나비와 벌이 모여드는 식물', '약으로 쓰이는 식물', '습지를 좋아하는 식물'들로 테마를 설정해 제시하는 단계별 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한다. 둘째, 현재의 학습원은 작물, 초화류 위주의 식물식재로 학생들에게 다양한 식물교육, 특히 자생식물 교육의 효과를 가지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교사와 학생들에 의해 식물이 식재되고, 관리되어지는 실습의 장으로써가 아닌 일부 교사, 또는 담당관리에 의해 조경수목 식재지의 일부로 관리되어지는 경우가 많음을 현황조사 결과 알 수 있었다. 학습원과 더불어 학교 녹지공간 전체의 배치, 식생의 층위구성, 자생식물의 식재수종 등에 변화가 요구된다. 학교환경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현재 조성되어 있는 학습원(재배원 교재원) 및 조경공간 등의 적극적인 활용과 비조성 학교에서의 학습원 조성을 위해 모델제시와 더불어 "어린이 자생식물 연구회", "우리꽃 가꾸기 모임", "1인(人) 한 나무 가꾸기" 등의 다양한 모임을 토대로 우리꽃 이름짓기 대회, 관찰일기 쓰기, 우리학교 자연이야기 신문 만들기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을 활성화하여 학교 내에서의 자생식물 실습교육을 유도한다. 향후 위 자료를 기초로 교사와 학생에 대한 식물교육 및 자생식물에 대한 향후 의식조사를 실시하여 현재 학교에서의 오염중심 환경교육에서 벗어나 자연과 접하며 실제 환경의 소중함을 체험할 수 있는 정확한 정보 및 다양한 자료를 통하여 생명의 소중함을 느끼게 하고, 환경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