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lignant Pleural Effusion

검색결과 141건 처리시간 0.02초

흉수의 감별에 있어서 procalcitonin과 C-반응성단백의 유용성 (Diagnostic Value of Procalcitonin and C-Reactive Protein in Differentiation of Pleural Effusions)

  • 김상하;박주영;박현숙;서희석;김신태;김종환;이부길;이석정;이선녕;노진규;이민수;리원연;용석중;신계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3권4호
    • /
    • pp.353-361
    • /
    • 2007
  • 연구 배경: 흉수의 감별을 위해 염증지표로 알려진 procalcitonin과 CRP를 흉수와 혈청에서 각각 측정하여, 삼출액과 여출액의 감별과 삼출성 흉수의 다양한 원인들에 대한 감별에 유용한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10월 1일부터 2006년 9월 30일까지 흉수로 입원하였거나 입원 중에 흉수가 발생하였던 총 198명을 전향적으로 연구하였으며, 원인 질환으로 한 가지의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였던 178명을 분석하였다. 악성 흉수 57명, 결핵성 흉수 51명, 부폐렴성 흉수 31명, 농흉 5명, 기타 원인의 양성 흉수 7명과 여출성 흉수 27명이었으며, 대상 환자의 혈청과 흉수에서 procalcitonin과 CRP를 포함한 측정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흉수 procalcitonin과 CRP는 여출액과 비교하여 삼출액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흉수 CRP가 2.06 mg/dL 이상일 때 특이도 96.3%, 민감도 45.0%로 삼출액을 감별할 수 있었다. 악성 흉수와 비교하였을 때에도 흉수 procalcitonin과 CRP는 양성 흉수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흉수 CRP가 2.28 mg/dL 이상일 때 특이도 86.0%, 민감도 53.2%로, 흉수 procalcitonin이 0.11 ng/mL 이상일 때 특이도 84.2%, 민감도 40.4%로 양성 흉수를 감별할 수 있었다. 또한 흉수 procalcitonin은 비결핵성 흉수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결론: 흉수에서 CRP와 procalcitonin을 측정하는 것은 삼출액과 여출액의 감별뿐 아니라 삼출성 흉수의 다양한 원인들 감별 등에 보조적으로 사용하기에 유용하다.

흉막액 감별에 있어서 C-반응성단백과 혈관내피성장인자의 유용성 (Diagnostic value of C-reactive Protein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in Differentiation of Pleural Effusions)

  • 김상하;이원연;박주영;박현숙;한혜경;주헌수;홍태원;이낙원;신계철;용석중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5권5호
    • /
    • pp.467-477
    • /
    • 2003
  • 배 경 : 흉막액은 임상적으로 Light's criteria에 의하여 여출액과 삼출액으로 구분하게 되며 삼출액일 경우에는 그 원인질환들을 감별해야 하나 적용할 만한 표지자가 많지 않다. 이에 CRP와 VEGF가 흉막액을 여출액과 삼출액으로 감별하는데 임상적으로 유용한지를 알아보고 나아가 악성삼출액에 대한 감별 표지자로서의 유용성이 있는지를 함께 검토하기 위하여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 흉막액 환자 80명을 대상으로 Light's criteria에 따라 여출액과 삼출액으로 구분하였고, 삼출액은 다시 원인에 따라 결핵성, 부폐렴성, 악성 흉막액으로 구분 하였다. 각 20명씩 네 군에서 혈청에서와 흉막액에서의 CRP, VEGF를 측정하였고 각각의 혈청에 대한 흉막액의 측정치의 비를 계산하였다. CRP는 turbidimetric immunoassay 로, VEGF는 ELlSA로 측정하였다. 결 과 : 여출액과 삼출액으로 나누어 측정치를 비교하였다. 흉막액 CRP는 여출액과 삼출액에서 각각 $1.29{\pm}1.45mg/d{\ell}$, $4.19{\pm}4.22mg/d{\ell}$로 측정되었으며 삼출액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cutoff value가 $2.35mg/d{\ell}$ 일 때 민감도 56.7%, 특이도 90.0%의 감별력을 보였다. 흉막액 VEGF는 여출액과 삼출액에서 각각 $389{\pm}325pg/m{\ell}$, $1,011{\pm}1,055pg/m{\ell}$로 측정되었으며 삼출액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VEGF비는 여출액과 삼출액에서 각각 $1.6{\pm}0.9$, $3.9{\pm}4.7$으로 계산되었으며 삼출액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또한 악성 흉막액과 양성 흉막액으로 나누어 측정치를 비교하였는데, 흉막액 CRP는 양성 흉막액과 악성 흉막액에서 각각 $4.15{\pm}4.20mg/d{\ell}$, $1.43{\pm}1.91mg/d{\ell}$로 측정되었으며 양성 흉막액에서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VEGF비는 양성 흉막액과 악성 흉막액에서 각각 $2.8{\pm}3.6$, $4.9{\pm}5.5$로 계산되었으며 악성 흉막액에서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 결 론 : 흉막액 CRP, 흉막액 VEGF, VEGF비는 흉막액의 감별에 있어서 여출액과 삼출액을 감별하는데 보완적인 표지자로서 유용하며, 흉막액 CRP와 VEGF비는 양성 흉막액과 악성 흉막액을 감별하는 표지자로서도 유용하리라 생각된다.

유방암의 폐전이로 인한 흉막 삼출의 한의치료에 대한 증례보고 (A Case Report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for Pleural Effusion due to Metastasis of Breast Cancer)

  • 문지성;김학겸;김예슬;민선우;박지윤;안립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420-430
    • /
    • 2021
  • The survival time of breast cancer patients with lung metastasis has been prolonged as treatment methods have improved. However, there is yet no definitive therapy for the additional symptoms of lung metastasi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se patients. We report a patient who was suffering from pleural effusion due to metastasized breast cancer. She was treated with Korean medicine, including herbal medicine (Bojungikgi-tang-gami), combined with hormone therapy, for two months. We assessed her other symptoms, such as shortness of breath, generalized weakness, and lower extremity swelling, using a numeric rating scale (NRS). We also evaluated pleural effusion with chest X-rays. Shortness of breath was maintained at NRS 5, generalized weakness was slightly improved from NRS 6~7 to NRS 7~8 (10=healthy condition), and lower extremity edema was improved from NRS 3 to NRS 2 (10=highest score of discomfort). Malignant pleural effusion was maintained during the admission period. This report suggests that Korean medicine can help to maintain malignant pleural effusion and improve additional symptoms of lung metastasis.

흉막삼출 원인질환의 감별진단에 있어서 흉막액 Adenosine Deaminase 활성도 및 Carcinoembryonic Antigen 병행측정의 임상적 의의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Combined Assay of Pleural Fluid ADA Activity and CEA Level in the Various Pleural Effusions)

  • 이장훈;장상호;이홍렬;곽승민;장중현;김병일;천선희;김세규;장준;김성규;이원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0권1호
    • /
    • pp.35-42
    • /
    • 1993
  • 연구배경 : 흉막삼출의 원인 규명을 위한 방법으로는 여출액과 삼출액을 감별하기 위한 흉막액 통상검사, 세균학적검사, 세포학적검사 및 흉막생검 등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여러가지 방법으로도 약 10~20% 에서는 그 원인을 정확히 진단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는 상기한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확진된 흉막삼출 환자를 대상으로 흉막액의 adenosine deaminase (ADA) 활성도 및 carcinoembryonic antigen (CEA)을 측정함으로써 흉막삼출 원인질환의 감별진단에 있어서의 임상적 의의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 1984년 3월부터 1987년 3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 병원에 삼출성 흉막염으로 입원하였던 환자중, 진단이 확실한 결핵성 흉막염 환자 61예, 폐결핵에 동반된 흉막삼출 17예, 악성 흉막염으로 확진된 17예, 폐암 및 기타 장기암에 동반된 흉막삼출 22예, 부폐렴성 흉막삼출 7예로서 총 124예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흉막액 ADA 활성도 및 CEA 치를 병행 측정하였다. 결과: 1) 결핵성 흉막삼출의 ADA 활성도는 악성 흉막삼출에 비하여 의의있게 높았다. 2) 악성 흉악삼출의 CEA 치는 결핵성 흉막삼출에 비하여 의의있게 높았다. 3) 흉막액 ADA 활성도가 40U/L 이상이면서 CEA 치 12ng/mL 미만인 경우를 결핵성 흉막염의 진단 기준으로 삼으면 그 예민도는 86.9%, 특이도는 100%이었다. 흉막액 CEA 치가 12 ng/mL 이상이면서 ADA 활성도가 40U/L 미만인 경우를 악성 흉막염의 진단 기준으로 하면 그 예민도는 76.5%, 특이도는 100%이었다. 결론 : 흉막액 ADA 활성도 및 CEA 치의 병행 측정은 흉막삼출 원인질환의 감별진단에 매우 중요한 지표로 삼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Diagnostic Value of Superoxide Dismutase in Tuberculous and Malignant Pleural Effusions

  • Wang, Xin-Feng;Wu, Yan-Hua;Jiao, Jin;Guan, Cui-Ping;Yang, Xiao-Guang;Wang, Mao-Shu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2호
    • /
    • pp.821-824
    • /
    • 2013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agnostic value of superoxide dismutase (SOD) in tuberculous pleural effusions (TPEs) and malignant pleural effusions (MPEs). Pleural effusion (PE) samples from 100 patients were classified on the basis of diagnosis as TPE (n=57) and MPE (n=43). The activity of SOD was determined by pyrolgallol assay.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SOD activity (P<0.01) between TPE and MPE, levels of being significantly higher in TPE compared to MPE. With a threshold value of 41 U/L, the area under the ROC curve was 0.653, SOD had a sensitivity of 61.4% and a specificity of 61.0% for differential diagnosis. Thus, SOD activity in PE was not a good biomarker in differentiating TPE and MPE.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five SOD isoforms may be present in PE. Identification of which SOD contributes to the difference of SOD level between TPE and MPE is very important for illustrating mechanisms and improving the differential diagnostic value.

Malignant Pleural Effusion: Medical Approaches for Diagnosis and Management

  • Nam, Hae-Seong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6권5호
    • /
    • pp.211-217
    • /
    • 2014
  • Malignant pleural effusions (MPEs) are the second leading cause of exudative pleural effusions after parapneumonic effusions. In the vast majority of cases, a MPE signifies incurable disease associated with high morbidity and mortality. Considerable advances have been made for the diagnosis of MP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improved methods in the specialized cytological and imaging studies. The cytological or histological confirmation of malignant cells is currently important in establishing a diagnosis. Furthermore, despite major advancements in cancer treatment for the past two decades, management of MPE remains palliative. This article presents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medical approaches for diagnosis and management of MPE.

결핵성 흉막염과 악성 흉수의 감별진단에 있어서 흉수 IFN-$\gamma$ 측정의 유용성 (The Usefulness of Pleural IFN-$\gamma$ Level in Differential Diagnosis of Tuberculous Pleural Effusion and Malignant Pleural Effusion)

  • 김명선;양성은;지현숙;김우성;김원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2호
    • /
    • pp.280-289
    • /
    • 1998
  • 연구배경: 결핵성 흉막염과 악성 흉수는 임상증상, 징후와 흉수내 백혈구 세포조성, 생화학적 검사로 감별하기 어렵고 미생물학적 검사와 세포진 또는 조직검사에 의해서도 확실히 진단하기 어렵다. 이런 문제 때문에 최근들어 결핵성 흉막염을 interleukin-2 (IL-2), interferon-$\gamma$(IFN-$\gamma$), tumor necrosis factor-$\alpha$(TNF-$\alpha$) 같은 면역 매개물질들을 이용하여 진단하려는 시도들이 있어 왔다. 결핵균에 대한 면역반응으로 주로 $Th_1$ 세포에 의해 분비되는 IFN-$\gamma$는 결핵성 흉막염에서 제 1형 반응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 악성 흉수 보다 휠씬 높게 측정되므로 흉수내 IFN-$\gamma$ 수치의 차를 이용하여 두 질환을 감별할 수 있다. 이에 저자들은 흉수 IFN-$\gamma$의 진단적 가치를 ADA, CEA와 비교하여 보고 한국인에서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알아보았다. 방 법: 결핵성 흉막염 40예, 악성 흉수 42예를 대상으로 흉수의 세포 조성, 생화학 검사와 IFN-$\gamma$, ADA, CEA 수치를 측정하였다. 결 과: 흉수내 IFN-$\gamma$와 ADA는 결핵성 흉막염에서 악성 흉수 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CEA는 악성 흉수에서 결핵성 흉막염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결핵성 흉막염에서 IFN-$\gamma$는 민감도 0.97, 특이도 1.0을 나타내었고 ADA는 만감도 0.87, 특이도 0.97을 나타내었다. 악성 흉수에서 CEA는 민감도 0.67, 특이도 1.0을 나타내었다. ADA 활성도와 IFN-$\gamma$ 수치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 론: IFN-$\gamma$는 결핵성 흉막염과 악성 흉수 감별에 매우 예민하고 특이적인 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경제적인 검사는 아니나 결핵성 흉막염의 진단에 유용한 검사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림프구성 흉막염의 감별 진단에서 NO(nitric oxide)의 측정 (Measurement of Nitric Oxide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Lymphocytic Pleural Effusion)

  • 김태형;손장원;윤호주;신동호;박성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4호
    • /
    • pp.361-367
    • /
    • 2005
  • 배 경 : 림프구성 흉막염의 감별 진단은 매우 중요하나, 적절한 검사 후에도 감별이 되지 않는 예가 있다. NO는 급성 염증반응 시 혈청, 객담, 호기 응축액 등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활동성 폐결핵 환자의 객담 및 호기에서도 증가하고 적절한 치료 후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어, 결핵성 흉막염에서도 증가 할 가능성이 있으나, 결핵성 흉막염에서 NO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가 없다. 이에 림프구성 흉막염 중 결핵성 흉막염의 감별진단에 있어서 NO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4년 4월부터 2005년 4월까지 한양대 구리병원에 급성 흉막염으로 입원하여 흉수 검사 결과 림프구성 흉막염 소견을 보였던 환자를 대상으로 흉수 및 혈청 NO를 측정하였으며, 대상 환자는 27명으로, 남:여 각각 14:13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48세였다. 최종진단은 결핵성 흉막염 17명, 악성 흉수 10명이었다. 결 과 : 흉수 NO는 결핵성 흉막염 $540.1{\pm}116.4{\mu}mol$, 악성흉수 $383.7{\pm}71.0{\mu}mol$이며, 혈청 NO는 결핵성 흉막염 $624.7{\pm}142.0{\mu}mol$, 악성 흉수 $394.4{\pm}90.4{\mu}mol$이었고, 각 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흉수 NO는 흉수 호중구수, 흉수/혈청 단백질비, 흉수/혈청 알부민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결핵성 흉막염군과 악성 흉수막염군의 비교에서 흉수 단백질양, 흉수 백혈구 수 및 림프구수는 결핵성 흉막염에서 유의하게 높았다(각 p<0.05). 결 론 : NO는 림프구성 흉막염의 감별 진단에 있어서는 유용성이 적으며, 흉수 NO는 흉강 내 호중구의 모집 및 단백 누출과 관련될 가능성이 있으나, 추후 다수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겠다.

흉막 삼출액에서 아밀라제가 증가된 환자들에 대한임상적 고찰 (Clinical Features in Patients with Amylase-Rich Pleural Effusion)

  • 이기동;신민기;이강완;조유지;김호철;황영실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4권5호
    • /
    • pp.563-569
    • /
    • 2003
  • 목적 : 흉막 삼출액에서 아밀라제가 증가된 경우에는 많은 원인 질환들이 있으며, 흔한 원인으로 췌장 질환과 식도 파열, 악성 질환 등이 있다. 여러 연구자들에 의하면 악성 질환이 흉막 삼출액에서 아밀라제가 증가하는 가장 흔한 원인이라고 보고되었다. 이처럼 다양한 원인 질환들과 아밀라제가 증가되어 있는 흉막 삼출액 사이의 여러 임상적인 면에 관한 국내의 보고는 아직 없는 실정이다. 방법 : 이에 연구자는 1998년 1월부터 2002년 8월까지 경상대학 병원에 내원한 흉막 삼출액 환자들 중에서 흉막액의 아밀라제 농도가 증가된 36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각 경우의 아밀라제 수치, 원인 질환, 악성 흉막액에서의 조직학적 세포 유형, 그리고 악성 흉막액의 아밀라제 농도와 포도당 농도간의 연관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 흉막 삼출액에서 아밀라제가 증가한 환자 36명의 평균 연령은 57.2세(범위 32~73)였으며 50대와 60대가 가장 많은 분포를 나타내었다. 원인 질환별분포는 악성 질환 18명, 부폐렴 흉막 삼출액 8명, 췌장 질환 7명, 기타 질환 3명이었다. 췌장 질환의 경우 흉막액의 아밀라제 농도는 다른 원인에 의한 경우보다 높게 측정되었다(p<0.01). 악성 질환이 원인인 18예 중 원발성 폐암이 13예, 전이성 암이 5예있었고 조직학적 세포 유형은 선암 10예, 편평상피 세포암 2예, 세포 유형이 확실치 않은 6예가 있었으며 선암에서 흉막액의 아밀라제 농도는 다른 세포 유형의 암종에 비해 높게 측정되었다(p<0.01). 아밀라제가 증가한 악성 흉막액에서 아밀라제 농도와 포도당 농도간의 연관성은 없었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 흉막 삼출액의 아밀라제가 증가한 원인 질환은 종전의 연구와 차이가 없었고, 그 원인으로 악성 질환에 의한 경우가 가장 많으며, 이중 원발성 폐암과 선암종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고 또한 선암에서 아밀라제 농도가 높았다. 아밀라제가 증가된 악성 흉막액에서 아밀라제 농도와 포도당 농도와의 관계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Importance of the Cell Block Technique in Diagnosing Patients with Non-Small Cell Carcinoma Accompanied by Pleural Effusion

  • Ugurluoglu, Ceyhan;Kurtipek, Ercan;Unlu, Yasar;Esme, Hidir;Duzgun, Nur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7호
    • /
    • pp.3057-3060
    • /
    • 2015
  • Background: Cytological examination of pleural effusions is very important in the diagnosis of malignant lesions. Thoracentesis is the first investigation to be performed in a patient with pleural effusion. In this study, we aimed to compare traditional with cell block methods for diagnosis of lung disease accompanied by pleural effusion.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94 patients with exudative pleural effusions were included. Ten mililiters of fresh pleural fluid were obtained by thoracentesis from all patients in the initial evaluation. The samples gathered were divided to two equal parts, one for conventional cytological analysis and the other for analysis with the cell block technique. In cytology, using conventional diagnostic criteria cases were divided into 3 categories, benign, malignant and undetermined. The cell block sections were evaluated for the presence of single tumor cells, papillary or acinar patterns and staining with mucicarmine. In the cell block examination, in cases with sufficient cell counts histopathological diagnosis was performed. Results: Of the total undergoing conventional cytological analyses, 154 (79.4%)were reported as benign, 33 (17%) as malignant and 7 (3.6%) as suspicious of malignancy. With the cell block method the results were 147 (75.8%) benign, 12 (6.2%) metastatic, 4 (2.1%) squamous cell carcinoma, 18 (9.3%) adenocarcinoma, 5 (2.6%) large cell carcinoma, 2 (1%) mesothelioma, 3 (1.5%) small cell carcinoma, and 3 (1.5%) lymphoma. Conclusions: Our study confirmed that the cell block method increases the diagnostic yield with exudative pleural effusions accompanying lung canc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