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licious Patterns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41초

악성 스크립트 패턴 분석을 통한 악성코드 탐지 기법 (A Malware Detection Method using Analysis of Malicious Script Patterns)

  • 이용준;이창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613-621
    • /
    • 2019
  • 최근 IoT,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이 발전하면서 IoT 디바이스를 감염시키는 악성코드와 클라우드 서버에 랜섬웨어를 유포하는 신종 악성코드가 등장하여 보안 위협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시그니처 기반의 탐지 방식과 행위기반의 탐지 방식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난독화된 스크립트 패턴을 분석하여 점검하는 탐지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탐지 기법은 웹사이트 통해 유포되는 악성 스크립트 유형을 분석하여 유포패턴을 도출한 후, 도출된 유포패턴을 등록하여 점검함으로써 기존의 탐지룰 기반의 탐지속도를 유지하면서도 제로데이 공격에 대한 탐지가 가능한 악성 스크립트 패턴분석 기반의 악성코드 탐지 기법이다. 제안한 기법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통해 총 390개의 악성 웹사이트를 수집, 분석에 의해 도출된 10개의 주요 악성 스크립트 유포패턴을 실험한 결과, 전체 항목 평균 약 86%의 높은 탐지율을 보였으며, 기존의 탐지룰 기반의 점검속도를 유지하면서도 제로데이 공격까지도 탐지가 가능한 것을 실험으로 입증하였다.

LSTM 딥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한 악성코드 API 분류 기술 연구 (Malware API Classification Technology Using LSTM Deep Learning Algorithm)

  • 김진하;박원형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59-261
    • /
    • 2022
  • 최근 악성코드는 한 가지의 기법이 아닌 여러 기법들이 조합되고 합쳐지고 중요한 부분만 추출되어 새로운 악성코드들이 제작되고 변형되면서 점차적으로 공격 패턴이 다양해지고 공격 대상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기업들의 보안에서의 악성 행위로 인한 피해 사례는 시간이 지날수록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공격자들이 여러 악성코드를 조합하더라도 각 악성코드의 종류별로 API들은 반복적으로 사용되고 API들의 패턴들과 이름이 유사할 가능성이 높다. 그로 인해 본 논문은 악성코드에서 자주 사용되는 API의 패턴을 찾고 API의 의미와 유사도를 계산하여 어느 정도의 위험도가 있는지 판단하는 분류 기술을 제안한다.

  • PDF

연관규칙 마이닝과 나이브베이즈 분류를 이용한 악성코드 탐지 (Detection of Malicious Code using Association Rule Mining and Naive Bayes classification)

  • 주영지;김병식;신주현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1759-1767
    • /
    • 2017
  • Although Open API has been invigorated by advancements in the software industry, diverse types of malicious code have also increased. Thus, many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to discriminate the behaviors of malicious code based on API data, and to determine whether malicious code is included in a specific executable file. Existing methods detect malicious code by analyzing signature data, which requires a long time to detect mutated malicious code and has a high false detection rate. Accordingly,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hat analyzes and detects malicious code using association rule mining and an Naive Bayes classification. The proposed method reduces the false detection rate by mining the rules of malicious and normal code APIs in the PE file and grouping patterns using the DHP(Direct Hashing and Pruning) algorithm, and classifies malicious and normal files using the Naive Bayes.

Improving Malicious Web Code Classification with Sequence by Machine Learning

  • Paik, Incheon
    • IEIE Transactions on Smart Processing and Computing
    • /
    • 제3권5호
    • /
    • pp.319-324
    • /
    • 2014
  • Web applications make life more convenient. Many web applications have several kinds of user input (e.g. personal information, a user's comment of commercial goods, etc.) for the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there are a range of vulnerabilities in the input functions of Web applications. Malicious actions can be attempted using the free accessibility of many web applications. Attacks by the exploitation of these input vulnerabilities can be achieved by injecting malicious web code; it enables one to perform a variety of illegal actions, such as SQL Injection Attacks (SQLIAs) and Cross Site Scripting (XSS). These actions come down to theft, replacing personal information, or phishing. The existing solutions use a parser for the code, are limited to fixed and very small patterns, and are difficult to adapt to variations. A machine learning method can give leverage to cover a far broader range of malicious web code and is easy to adapt to variations and changes.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the adaptable classification of malicious web code by machine learning approaches for detecting the exploitation user inputs. The approach usually identifies the "looks-like malicious" code for real malicious code. More detailed classification using sequence information is also introduced. The precision for the "looks-like malicious code" is 99% and for the precise classification with sequence is 90%.

악성코드 실행과 은닉을 위한 다중 압축 연구 (A Study of Multiple Compression for Malicious Code Execution and Concealment)

  • 이정훈;박대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99-302
    • /
    • 2010
  • 최근의 악성코드는 백신에 쉽게 탐지 되지 않기 위해 바이러스를 압축파일로 변조시켜 악성코드 패턴을 지연하는 추세이다. 시중에 나와 있는 수많은 백신엔진 중에서는 압축파일로 변조된 악성코드 패턴 및 검사가 가능한지 알아 봐야한다. 본 논문은 다중 압축 파일로 위장 변조된 은닉된 악성코드의 패턴을 검사하여 검출되는지를 검사 엔진을 통해 모의실험을 한다. 은닉된 악성코드의 행위를 분석하며, 호스트 파일 변조와 시스템 드라이버 파일 감염 및 레지스트리 등록이 되는가를 분석한다. 본 연구를 통해 은닉형 악성코드의 검사와 백신 치료 효과를 강화시켜 악성코드로 인한 피해를 감소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 PDF

A System for Improving Data Leakage Detection based on Association Relationship between Data Leakage Patterns

  • Seo, Min-Ji;Kim, Myung-Ho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5권3호
    • /
    • pp.520-537
    • /
    • 2019
  • This paper proposes a system that can detect the data leakage pattern using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based on defining the behaviors of leaking data. In this case, the leakage detection scenario of data leakage is composed of the patterns of occurrence of security logs by administration and related patterns between the security logs that are analyzed by association relationship analysis. This proposed system then detects whether the data is leaked through th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using an insider malicious behavior graph. Since each graph is drawn according to the leakage detection scenario of a data leakage, the system can identify the criminal insider along with the source of malicious behavio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The results of the performance experiment using a virtual scenario show that even if a new malicious pattern that has not been previously defined is inputted into the data leakage detection system,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data has been leaked. In addition, as compared with other data leakage detection systems, it can be seen that the proposed system is able to detect data leakage more flexibly.

리얼 분석환경 기반 지능형 악성 웹페이지 탐지 시스템 (Intelligent Malicious Web-page Detection System based on Real Analysis Environment)

  • 송종석;이경석;김우승;오익균;김용민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5권1호
    • /
    • pp.1-8
    • /
    • 2018
  • 최근 인터넷의 발전과 동시에 인터넷을 이용한 악성코드 유포는 가장 심각한 사이버 위협 중 하나이며, 탐지 우회 기법이 적용된 악성코드 유포 기술 또한 발전하고 있어, 이를 탐지하고 분석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악성코드 유포 웹페이지 탐지 시스템은 시그니처 기반이어서 난독화된 악성 자바스크립트는 탐지가 거의 불가능하며, 탐지 패턴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해야 하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지능화된 악성코드 유포 웹사이트를 효과적으로 분석 및 탐지할 수 있는 리얼 브라우저를 이용한 지능형 악성코드 유포 웹페이지 탐지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머신러닝 기반 악성 URL 탐지 기법 (Machine Learning-Based Malicious URL Detection Technique)

  • 한채림;윤수현;한명진;이일구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2권3호
    • /
    • pp.555-564
    • /
    • 2022
  • 최근 사이버 공격은 지능적이고 고도화된 악성코드를 활용한 해킹 기법을 활용하여 재택근무 및 원격의료, 자동산업설비를 공격하고 있어서 피해 규모가 커지고 있다. 안티바이러스와 같은 전통적인 정보보호체계는 시그니처 패턴 기반의 알려진 악성 URL을 탐지하는 방식이어서 알려지지 않은 악성 URL을 탐지할 수 없다. 그리고 종래의 정적 분석 기반의 악성 URL 분석 방식은 동적 로드와 암호화 공격에 취약하다. 본 연구에서는 악성 URL 데이터를 동적으로 학습하여 효율적으로 악성 URL 탐지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탐지 기법에서는 머신러닝 기반의 특징 선택 알고리즘을 사용해 악성 코드를 분류했고, 가중 유클리드 거리(Weighted Euclidean Distance, WED)를 활용하여 사전처리를 진행한 후 난독화 요소를 제거하여 정확도를 개선한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본 연구에서 제안한 머신러닝 기반 악성 URL 탐지 기법은 종래의 방법 대비 2.82% 향상된 89.17%의 정확도를 보인다.

알려지지 않은 악성 암호화 스크립트에 대한 분석 기법 (An Analysis Technique for Encrypted Unknown Malicious Scripts)

  • 이성욱;홍만표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29권5호
    • /
    • pp.473-481
    • /
    • 2002
  • 악성 코드의 감지 및 분석에 있어 암호화된 악성코드의 해독은 필수적인 요소이다. 그러나, 기존의 엑스-레잉 또는 에뮬레이션에 의한 해독 기법들은 이진 형태의 악성 코드를 대상으로 개발되었으므로 스크립트 형태의 악성 코드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특정한 암호화 패턴을 기반으로 하는 접근 방식은 알려지지 않은 악성 스크립트가 암호화되어 있을 경우 대응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스크립트 암호화 기법에 대한 분석적인 접근을 통하여, 새로운 암호화 기법의 출현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새로운 암호 해독 기법을 제시하고 그 구현에 관해 기술한다.

SSL VPN기반의 행위.순서패턴을 활용한 접근제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ccess Control Through SSL VPN-Based Behavioral and Sequential Patterns)

  • 장은겸;조민희;박영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125-136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SSL VPN을 기반으로 사용자 인증과 사용자 단말의 무결성을 검증할 수 있는 네트워크 접근제어 기술을 제안한다. 사용자 단말이 VPN을 이용해 내부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사용자 인증과 사용자 단말의 보안패치, 바이러스 백신 등의 보안 서비스를 확인하는 안전성 검사를 수행한다. 그리고 변종의 악성코드를 탐지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의 윈도우 API 정보를 통한 행위패턴을 바탕으로 악성코드를 탐지하고, 탐지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순서패턴의 유사도를 비교하여 변종의 악성코드를 탐지하여 외부의 보안 위협으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한다.